
000 | 00802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1059011 | |
005 | 20100805073151 | |
007 | ta | |
008 | 010409s2000 ulka 000a kor | |
020 | ▼a 8995112824 ▼g 13510 : ▼c \15000 | |
040 | ▼a 244002 ▼c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49 | 0 | ▼l 151096785 ▼l 151096786 ▼f R |
082 | 0 4 | ▼a 618.97 ▼2 21 |
090 | ▼a 618.97 ▼b 2000 | |
110 | ▼a interRAI | |
245 | 1 0 | ▼a 재가노인 기능상태 평가 매뉴얼 / ▼d interRAI 지음 ; ▼e 김창엽 ; ▼e 김선민 외 옮김. |
246 | 1 9 | ▼a RAI-Home Care for use with version 2.0 of the MDS-HC |
260 | ▼a 서울 : ▼b 한국의료컨설팅 , ▼c 2000. | |
300 | ▼a 296p. : ▼b 삽도 ; ▼c 26cm. | |
500 | ▼a 부록 : A. 흔히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와 이름 B. 저자의 인적사항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김창엽 |
700 | 1 | ▼a 김선민 |
950 | 0 | ▼b \15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참고 | 청구기호 R 618.97 2000 | 등록번호 151096785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참고 | 청구기호 R 618.97 2000 | 등록번호 151096786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Inter Rai(지은이)
<재가노인 기능 상태 평가 매뉴얼>
김창엽(옮긴이)
의학과 건강정책을 공부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민간독립연구소(사단법인)인 ‘시민건강연구소’의 이사장과 소장으로도 일한다. 건강보장, 건강권, 건강 불평등과 건강정의, 건강체제개혁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비판건강연구’에 관심을 두고 가능성을 모색하는 중이다. 최근 펴낸 책으로는 『건강보장의 이론』(2018, 개정판), 『건강정책의 이해』(2016, 역서), 『한국의 건강 불평등』(2015, 편저),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2015, 공저), 『건강할 권리』(2013), 『무상 의료란 무엇인가』(2012, 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재가노인 기능상태 평가도구 (RAI-HC)의 개요 = 1 1. 서론 = 1 2. 재가노인 기능상태 평가도구 (RAI-HC)의 체계 = 1 3. 재가노인 기능상태 평가도구 (RAI-HC) 개발과정 = 2 제2장 재가노인 기능상태 평가를 위한 기초 정보군(MDS-HC)의 서식과 소개 = 9 제3장 재가노인 기능상태 평가를 위한 기초 정보군(MDS-HC)의 항목별 정의 = 28 AA. 이름과 등록 번호 = 32 BB. 개인 신상기록 항목 = 33 CC. 등록시 정보 = 35 SECTION A. 건강 평가 정보 = 38 SECTION B. 인지 = 39 SECTION C. 의사소통/청력 = 44 SECTION D. 시력 = 47 SECTION E. 정서와 행동 = 49 SECTION F. 사회적 기능 = 55 SECTION G. 지원 서비스 = 58 SECTION H. 신체적인 기능 = 63 SECTION I. 지난 7일간의 배설 조절 = 76 SECTION J. 질병 진단 = 79 SECTION K. 건강상태와 예방적인 조치 = 82 SECTION L. 영양/수분상태 = 90 SECTION M. 구강 건강 = 93 SECTION N. 피부 상태 = 93 SECTION O. 환경평가 = 97 SECTION P. 서비스 이용 = 99 SECTION Q. 투약 = 106 제4장 문제별 상세평가(CAPs) 이용에 대한 안내 = 110 제5장 기능수행과 관련된 문제별 상세평가(CAPs) = 113 1. 일상생활수행(ADL)과 재활 가능성 = 114 2. 수단적 일상생활수행(IADL) = 124 3. 건강증진 = 132 4. 시설입소의 가능성 = 139 제6장 감각기능과 관련된 문제별 상세평가(CAPs) = 143 5. 의사소통장애 = 144 6. 시각기능 = 151 제7장 정신건광고 관련된 문제별 상세평가(CAPs) = 156 7. 알코올 남용과 유해한 음주 = 157 8. 인지 = 163 9. 행동 = 171 10. 우울과 불안 = 178 11. 노인 학대 = 184 12. 사회적 기능 = 189 제8장 건강문제와 관련된 문제별 상세평가(CAPs) = 194 13. 심장-호흡기계 = 195 14. 탈수 = 201 15. 낙상 = 207 16. 영양 = 215 17. 구강건강 = 222 18. 통증 = 227 19. 욕창 = 231 20. 피부와 발의 상태 = 236 제9장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문제별 상세평가(CAPs) = 239 21. 치료지시 이행 = 240 22. 약한 지지체계 = 247 23. 투약 관리 = 252 24. 완화 케어 = 258 25. 예방적 조치 : 예방접종과 검진 = 263 26. 향정신성 약물 = 270 27. 공식적 서비스의 감소 = 277 28. 환경평가 = 281 제10장 배설조절과 관련된 문제별 상세평가(CAPs) = 285 29. 배변 관리 = 286 30. 요실금과 삽입 카테터 = 290 부록 A = 295 부록 B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