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8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1058591 | |
005 | 20100805072621 | |
007 | ta | |
008 | 010330s2001 ulkd 001a kor | |
020 | ▼a 891802116X ▼g 93350: ▼c \24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9 | 0 | ▼l 151098894 ▼l 151098895 |
082 | 0 4 | ▼a 351.072 ▼2 21 |
090 | ▼a 351.072 ▼b 2001z1 | |
100 | 1 | ▼a 남궁근 |
245 | 1 0 | ▼a 행정조사방법론 / ▼d 남궁근 저.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法文社 , ▼c 2001. | |
300 | ▼a 571p. : ▼b 도표 ; ▼c 24cm. | |
440 | 0 0 | ▼a 행정학총서 |
500 | ▼a 부록 수록 | |
504 | ▼a 참고문헌(p.543-557)과 색인 수록 | |
950 | 0 | ▼b \24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1.072 2001z1 | 등록번호 15109889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1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1.072 2001z1 | 등록번호 1510988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남궁근(지은이)
학력: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사(1976)와 행정학석사(1978), 미국 Pittsburgh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1989) 학위를 받았다. 미국 Berkeley대학교 LG연암재단 연구교수(1996), 벨기에 KU Leuven 방문교수(2010),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2016),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석좌연구위원(2020-2021)을 지냈다. 경력: 제19회 행정고시에 합격(1977)한 후 경제기획원사무관(1981-1982)으로 근무하였고, 경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1982-2001)를 거쳐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행정학과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2001-2019), 초대 IT정책대학원장(2003-2005)과 제10대 총장(2011-2015)을 역임한 후 정년퇴임하였다. 주요학회활동: 한국행정학회의 43대 회장(2008)과 연구위원장(2002),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2000), 한국행정연구원 발간 「한국행정연구」 편집위원장(2016-2019),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의 「정책분석평가학회보」 편집위원장(1999)으로 봉사하였다. 주요저서: 「정책학」(2021), 「행정조사방법론」(2021),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Korea(co-ed., 2018),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KAPA(ed., 2009), 「정책분석론」(공역, 2018), 「비교정책연구」(1999),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거버넌스와 개혁」(공저, 2006), 전자정부를 통한 부패통제: 이론과 사례(공저, 2003), 시민과 정부개혁(공편, 2002), 고위공무원 개방형 임용제도(공저, 2000) 등이 있다. 주요정부자문활동: 대통령 위촉 정부자문활동으로는 정부업무평가위원회 민간위 원장(2018.4-현재), 행정정보공유추진위원회 위원장(2007.2-2009.2), 정책기획위원회 위원(2004.11- 2008.2), 규제개혁위원회 위원(2002.12-2004.12),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인사개혁간사위원(2003.4-2005.4) 등이 있다. 시민단체활동: 행정개혁시민연합의 정책위원장(2000-2002)을 역임하였고 공동대표(2016-현재)로 활동하고 있다. 수상・상훈: 미국행정대학원연합회(NASPAA) ‘우수박사논문상’(honorable mention, 1989), 한국행정학회 ‘학술상-저술부문’(1999)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정부의 청조근정훈장(2019.2)과 홍조근정훈장(2005.10), 미국 피츠버그대 GSPIA ‘올해의 동문상’(2014)을 받았다.

목차
목차 제1장 과학적 연구의 의미와 논리 = 21 제1절 연구의 의미 = 21 제2절 연구방법의 유형 = 22 1. 권위적 방법 = 23 2. 신비적 방법 = 24 3. 논리적-합리적 방법 = 25 4. 과학적 방법 = 26 제3절 과학적 방법의 기본가정 = 28 1. 자연에는 질서와 규칙성이 있다 = 28 2. 모든 사건에는 원인이 있다 = 29 3. 현상은 이해될 수 있다 = 30 4. 자명한 지식은 없다 = 30 5. 진리는 상대적이다 = 31 6. 경험과 관찰은 지식의 원천이다 = 31 제4절 과학적 연구과정에서의 논리체계 = 32 1.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의 개관 = 32 2. 연역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33 3. 귀납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34 4.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 35 5. 행정학 연구에서 연역법과 귀납법의 적용 = 36 주요 추천문헌 = 40 제2장 과학적 연구의 목적과 유형 = 41 제1절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 = 41 1. 주류 사회과학의 관점 : 기술과 설명 = 42 2. 해석학 관점 : 이해와 해석 = 51 3. 비판이론적 관점 = 59 제2절 과학적 조사연구의 유형 = 61 1. 연구의 성격에 따른 분류 : 순수연구, 응용연구, 평가연구 = 61 2.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 : 탐색, 기술, 설명 = 64 3. 연구의 방법에 따른 분류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70 제3절 행정 및 정책문제의 조사연구 = 78 1. 행정현상과 행정변수 = 78 2. 정책결정의 단계 = 79 3. 정책결정의 단계와 경험적 조사연구 = 82 주요 추천문헌 = 86 제3장 과학적 연구의 절차와 계획 = 88 제1절 과학적 연구의 일반적 절차 = 88 1. 연구문제의 선정 및 가설설정 = 90 2. 연구대상의 선정 = 91 3. 조사설계의 선택 = 91 4. 개념화 및 조작화 = 92 5. 자료수집 = 92 6. 자료분석 = 93 7. 자료해석 및 보고서 작성 = 93 제2절 연구의 분석단위 = 94 1. 분석단위의 분류 = 96 2. 분석단위 선정과 해석의 오류 = 99 제3절 연구의 시간적 범위 = 101 1. 횡단면적 연구 = 102 2. 종단면적 연구 = 102 3. 분석단위가 지방정부나 국가인 경우 = 102 제4절 연구계획서의 작성 = 104 1. 연구계획서의 의미 = 104 2. 연구계획서의 구성요소 = 104 3. 연구계획서의 활용 = 107 주요 추천문헌 = 108 제4장 연구문제 및 가설의 형성 = 109 제1절 연구문제 = 109 1. 연구문제의 의미와 진술 = 109 2. 연구문제의 원천 = 110 3. 연구문제의 평가기준 = 112 4. 연구문제의 형성과정 = 114 5. 경험적 연구문제의 사례 = 115 제2절 이론 = 117 1. 이론의 개념 = 117 2. 이론의 분류 = 120 3. 이론평가의 기준 = 122 제3절 연구의 개념적 준거틀 = 124 1. 개념적 준거틀의 의미 = 124 2. 개념적 준거틀의 구조 = 125 3. 개념적 준거틀의 표현방법 = 130 4. 개념적 준거틀의 기능 = 132 제4절 가설 = 134 1. 가설의 의미 = 134 2. 가설의 종류 = 134 3. 가설의 기능 = 137 4. 연구가설의 사례 = 139 주요 추천문헌 = 141 제5장 기존문헌의 검토 = 142 제1절 기존문헌의 검토의 의의 = 142 1.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 142 2. 기존문헌 검토와 종합연구 = 143 제2절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및 시기 = 144 1.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 144 2. 기존문헌 검토의 시기 = 144 제3절 개별 연구문헌의 검토기준 = 145 1. 기존문헌의 원천과 탐색방법 = 145 2. 개별문헌의 검토기준 = 148 제4절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 = 151 1. 전통적 방법에 의한 기존문헌 검토의 문제점 = 151 2.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방법 = 151 3. 상충되는 연구결과의 검토 및 기술방법 = 153 주요 추천문헌 = 158 제6장 기술적 조사설계 = 160 제1절 기술적 조사설계의 개념 및 유형 = 160 1. 기술적 조사연구의 개념 = 160 2. 기술적 조사연구의 유형 = 161 제2절 횡단면적 조사설계 = 163 1. 횡단면적 설계의 특징 = 163 2. 현황조사를 위한 설계 = 164 3. 상관적 연구설계 = 166 제3절 미래예측설계 = 168 1. 미래의 유형과 미래예측의 방법 = 168 2. 양적 방법에 의한 미래예측 = 169 3. 질적 방법에 의한 미래예측 = 178 제4절 사례연구의 설계 = 185 1. 사례연구의 개념 = 185 2. 사례의 의미 = 186 3. 사례연구의 특징 = 189 4. 사례지향적 연구와 변수지향적 연구의 비교 = 190 5. 사례연구의 유형 = 193 6. 사례연구의 설계 = 198 주요 추천문헌 = 203 제7장 인과관계의 추론 = 204 제1절 원인의 개념 = 204 1. 원인, 결과, 인과관계의 개념 = 204 2. 행정 및 정책연구에서의 원인 = 205 3. 사회적 인과관계의 복잡성과 다원적 원인론 = 206 제2절 인과적 추론의 조건 = 207 1. 시간적 선후관계 = 208 2. 공동변화와 연관성 = 208 3. 비허위적 관계 = 210 제3절 조사설계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214 1. 타당성의 개념 및 종류 = 215 2. 통계적 결론의 타당성 = 216 3. 내적 타당성의 의미와 위협요인 = 216 4. 구성개념의 타당성 = 226 5. 외적 타당성 = 227 주요 추천문헌 = 230 제8장 설명적 조사설계 = 231 제1절 설명적 조사설계의 기본원리 = 231 1. 인과적 설명을 위한 조사설계의 원리 = 231 2. 실험설계의 구성요소 = 233 3. J. S. Mill의 실험설계 기본논리 = 238 제2절 인과적 설명을 위한 조사설계의 유형 = 246 1. 진실험설계 = 247 2. 준실험설계 = 253 3. 비실험설계 = 266 주요 추천문헌 = 275 제9장 개념과 측정 = 276 제1절 서론 = 276 제2절 개념, 구성개념 및 개념적 정의 = 279 1. 개념 및 구성개념 = 279 2. 개념적 정의 = 280 제3절 변수와 조작적 정의 = 281 1. 변수 = 281 2. 조작적 정의 = 282 3.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의 사례 = 283 4. 변수의 종류 = 288 제4절 변수의 측정 = 290 1. 측정의 개념 = 290 2. 측정의 수준과 척도 = 292 제5절 측정도구와 척도의 구성 = 296 1. 측정도구 및 척도의 의미 및 필요성 = 296 2. 척도구성의 기본전제 = 297 3. 척도구성의 방법 = 299 4. 척도분석의 방법 = 304 주요 추천문헌 = 312 제10장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 = 314 제1절 측정과 측정오차 = 314 1. 측정오차의 개념 = 314 2. 측정오차의 종류 :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 오차 = 315 제2절 측정의 타당성 = 317 1. 타당성의 개념 = 317 2. 내용타당성과 평가방법 = 318 3. 기준타당성과 평가방법 = 319 4. 구성개념 타당성 = 320 제3절 측정의 신뢰성 = 326 1. 신뢰성의 개념 = 326 2. 신뢰도의 추정방법 = 328 3. 신뢰도의 제고방안 = 331 주요 추천문헌 = 333 제11장 표본추출 및 표본설계 = 335 제1절 표본추출의 의의 = 335 1. 표본추출의 의의 = 335 2. 표본조사의 이점 = 336 제2절 표본추출의 기초개념 = 337 1. 모집단 = 337 2. 구성요소와 표본추출단위 = 338 3. 표본추출의 프레임 = 338 제3절 표본추출의 설계 = 340 1. 표본추출설계의 의의 = 340 2. 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341 3. 비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346 제4절 표본추출분포에 관한 이론 = 349 1. 표본추출분포의 의미 = 349 2. 표본평균의 표본추출분포 = 350 3. 표본비율의 표본추출분포 = 354 제5절 표본추출오차와 표본크기의 결정 = 356 1. 표본추출오차와 비표본추출오차 = 356 2. 표본크기와 신뢰수준에 따른 표본추출오차의 크기 = 356 3. 적정표본크기의 결정 = 359 주요 추천문헌 = 361 제12장 자료수집방법 = 363 제1절 자료의 종류와 수집방법 = 363 1. 자료의 종류 = 363 2. 자료수집방법의 분류 = 365 제2절 관찰방법 = 366 1. 관찰방법의 의의 = 366 2. 관찰방법의 유형 = 367 3. 관찰방법의 장점과 단점 = 368 제3절 면접방법 = 369 1. 면접방법의 의의 = 369 2. 면접방법의 종류 = 370 제4절 질문서법 = 372 1. 질문서법의 의의 = 372 2. 질문서의 작성 = 373 3. 질문서 적용방법 = 384 제5절 2차자료 수집방법 = 387 1. 2차자료 수집의 의의 = 387 2. 2차자료의 유형 = 388 제6절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 389 1. 현지상황의 특성 = 389 2. 자료수집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 = 393 3. 자료수집비용 = 394 주요 추천문헌 = 395 제13장 자료분석방법 = 396 제1절 통계적 자료분석의 기초 = 396 1. 조사연구의 목적 : 기술 또는 설명 = 397 2. 분석해야 할 변수의 수 = 397 3. 변수측정의 수준 = 398 제2절 단일변수의 기술통계 = 399 1. 중앙경향값의 측정수단 = 400 2. 산포도의 측정수단 = 402 3. 분포형태의 측정수단 = 404 제3절 두 변수간 연관성 분석 = 406 1. 변수간 연관성 분석의 기초 = 406 2. 명목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408 3. 서열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414 4. 등간 또는 비율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416 제4절 다변량분석 = 421 1. 다변량통계분석기법의 분류 = 421 2. 다변량분석기법 개관 = 424 제5절 소시오메트리와 연결망 분석 = 427 1. 소시오메트리 = 427 2. 연결망분석 = 433 주요 추천문헌 = 436 제14장 통계적 가설검증 = 438 제1절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의 = 438 1.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미 = 438 2.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 = 439 3. 표본의 통계량과 모집단의 모수 = 440 제2절 가설검증의 과정 = 444 1. 가설의 설정 = 444 2. 표본자료수집 및 검증방법의 결정 = 447 3. 유의수준의 선택과 임계치의 결정 = 448 4. 검증통계량의 계산 = 449 5. 검증결과의 해석 = 450 6. 가설검증의 오류 = 451 제3절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 검증 = 451 1. 개관 = 452 2. 상관분석 = 454 3. 부분상관분석 = 455 4. 다중회귀분석 = 457 5. 경로분석 = 458 6. 공분산구조분석 = 459 7. 상대적 영향력 비교방법 적용사례 = 461 8. 요약 = 468 주요 추천문헌 = 469 제15장 공분산구조모형 = 470 제1절 공분산구조분석의 개념과 대두배경 = 470 1. 공분산구조분석의 개념 = 470 2. 공분산구조분석의 대두배경 = 472 3. 전통적 통계분석방법과의 관계 : 요인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 474 제2절 공분산구조모형의 분석절차 = 476 1. 모형작성 = 476 2. 모형식별 = 483 3. 분석자료 및 추정방법의 선택 = 485 4. 패러미터값 및 모형의 적합도 평가 = 485 제3절 공분산분석모형의 활용분야와 한계 = 487 1. 활용분야 = 487 2. 한계 = 488 주요 추천문헌 = 489 제16장 연구보고서 작성과 활용 = 490 제1절 연구보고서의 유형과 구조 = 490 1. 연구보고서의 목적 = 490 2. 학술연구보고서의 구조 = 491 3. 정책분석보고서의 특징과 구조 = 497 제2절 연구결과의 활용 = 499 1. 연구결과의 활용과정 = 499 2. 연구결과의 활용유형 = 500 3. 연구결과 활용의 증진방안 = 502 주요 추천문헌 = 505 부록 1. χ^2분포표 = 508 2. 정규분포표 = 509 3. t분포표 = 510 4.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발행 승인통계현황 = 511 참고문헌 = 545 색인 =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