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지각의 이론과 인지 언어학 = 11
1.1. 게시탈트 심리학에서의 지각의 이론 = 11
1.2. Figure와 Ground의 분화 = 17
1.2.1. 지각 심리학에서의 Figure와 Ground = 17
1.2.2. Figure와 Ground의 언어에의 응용 = 20
1.2.2.1. 단문 구조에서의 Figure와 Ground = 20
1.2.2.2. 복문 구조에서의 Figure와 Ground = 22
1.2.2.3. 분사 구조에서의 Figure와 Ground = 24
1.3. 퍼스펙티브와 언어 = 27
1.3.1. 시점을 취하는 방식과 표현의 의미 = 27
1.3.2. 방향성(directionality)의 문제 = 30
1.3.3. 해석의 주체성·객체성(subjective or objective construal) = 32
1.4. 인지 문법의 기본 개념 : Figure-Ground 및 시점의 응용적 파악 방식 = 36
1.4.1. 베이스(base)와 프로파일(profile) = 36
1.4.2. 사물(thing)과 관계(relation) = 38
제2장 카테고리화와 인식 = 45
2.1. 카테고리화와 카테고리론 = 45
2.1.1. 고전적 카테고리론과 그 문제 = 46
2.1.2. 프로토타입 이론 = 51
2.1.2.1. 프로토타입과 기본 레벨 카테고리 = 52
2.1.2.2. 프로토타입 이론의 언어에의 적용 예 = 56
2.1.2.3. 프로토타입 이론의 문제점 = 60
2.1.3. 새로운 프로토타입 이론으로 = 61
2.1.3.1. 지식 구조로서의 프레임, 스키마 = 61
2.1.3.2. 이상 인지 모델(Idealized Cognitive Model) = 63
이상 인지 모델을 사용한 분석(1) : Sweetser에 의한 lie의 분석 = 65
이상 인지 모델을 사용한 분석(2) : Lakoff의 방사상 카테고리 = 67
2.1.3.3. 카테고리의 확장과 동기 부여 = 69
메타퍼 = 70
메토니미 = 71
이미지 스키마 = 72
·실제의 응용에-분류사『本』에 관하여 = 73
2.1.4. 스키마에 입각한 카테고리 이론 : Langacker의 생각 = 77
2.1.5. 카테고리화의 간추림 = 80
2.2. Lakoff and Johnson(1980)의 메타퍼론 = 81
2.2.1. 구조의 메타퍼(structural metaphors) = 82
2.2.2. 방향 부여의 메타퍼(orientational metaphors) = 83
2.2.3. 존재의 메타퍼(ontological metaphors) = 84
2.2.4. 간추림 = 85
2.3. 개념 구조의 형성 : Lakoff(1987)·Johnson(1987) = 86
제3장 어휘의 의미 연구 = 89
3.1. 어휘적 형태소와 문법적 형태소 = 89
3.2. 분석 가능성 = 94
3.2.1. 분석 가능성이란 = 94
3.2.2. 분석 가능성과 의미의 관계 = 95
3.2.3. 형태소의 조립 경로와 의미와의 관련 = 97
3.3. 어휘 항목과 카테고리화 = 101
3.3.1. Langacker의 프로토타입과 스키마에 입각한 카테고리화 = 101
3.3.2. Lakoff 등에 의한 프로토타입에 입각한 어휘적 카테고리화 = 104
3.3.2.1. 어휘적 네트워크 : 동사 take의 경우 = 105
3.3.2.2. 어휘적 네트워크 : 복수의 카테고리에 걸치는 over의 경우 = 118
중심적인 의의 : 「위쪽을 가로지른다」(above-across) = 118
「위에」(above)라는 의의 = 125
「덮다」(covering)라는 의의 = 128
재귀적 스키마 = 133
초과의 스키마 = 137
반복의 스키마 = 138
over의 메타퍼적 의의 = 140
간추림 = 142
3.3.2.3. 의미 확장과 이미지 스키마 변환 : Dewell(1994)의 분석 = 143
분절의 프로파일 변환 = 144
경로 초점에서 종단(결과상태) 초점으로의 이미지 스키마 변환 = 147
물체의 일부에서 트라젝터로의 프로파일 변환 = 149
이차원적인 견지에서 삼차원적인 견지로의 변환 = 151
재귀적 트라젝터 = 153
「덮개」의 이미지 = 154
간추림 = 155
제4장 구문연구 = 157
4.1. 사태의 해석에 관한 인지 모델 = 158
4.1.1. action chain : Langacker(1990b) = 158
4.1.2. causal chain : Croft(1990) = 162
4.1.3. 스테이지 모델 : 사태의 참여자와 세팅 = 163
4.2. 타동성과 문법 관계 = 165
4.2.1. 타동성 사태의 프로토타입과 주어·목적어의 프로토타입 = 166
4.2.2. 프로토타입에서 조금 벗어난 타동적 사태 : 지각 경험의 경우 = 169
4.2.3.「대칭적 관계」를 나타내는 타동사문 = 171
4.2.4. 세팅 주어 구문에 보이는 문법 관계 = 173
4.2.5. 간추림 : 프로토타입과 스키마에서 본 주어·목적어·타동성 = 175
4.3. 구문 선택과 사태 해석의 관계 = 177
4.3.1. 이중 목적어 구문·여격 구문 = 177
4.3.2. 능동문·수동문 = 180
4.3.3. 간추림 = 184
4.4. 레이징 구문(raising constructions) : Langacker(1995) = 184
4.4.1. 레이징 구문의 특징 = 184
4.4.2. 레이징 술사의 다의성 = 188
4.4.3. 참조점과 레이징 구문 = 190
4.4.3.1. 참조점이란 = 191
4.4.3.2. 프로파일과 활성 영역의 불일치 = 193
4.4.3.3. 레이징 구문에서의 프로파일과 활성 영역의 불일치 = 195
4.4.3.4. 레이징 구문과 비레이징 구문의 의미적 차이 = 197
4.4.4. 투과성과 통사적 더미 요소·이디엄 = 197
4.4.5. 부정사 보문의 생략 = 201
4.4.6. 레이징 구문의 간추림 = 203
4.5. 방사상 카테고리를 이루는 문법 구문 : Lakoff(1987)의 there 구문 분석 = 204
4.5.1. 두 종류의 there 구문 = 205
4.5.2. 두 가지 there 구문에 속하는 하위 구문 = 207
4.5.3. 직시의 there 구문 : 중심적인 경우 = 208
4.5.4. 비중심적인 직시의 there 구문 = 213
4.5.4.1. 지각적 직시 구문 = 214
4.5.4.2. 담화의 직시 구문 = 216
4.5.4.3. 존재의 직시 구문 = 217
4.5.4.4. 활동 개시의 직시 구문 = 218
4.5.4.5. 배달의 직시 구문 = 219
4.5.4.6. 간추림: 직시의 there 구문이 형성하는 방사상 카테고리 = 223
4.5.5. 존재의 there 구문과 직시의 there 구문의 관계 = 223
4.5.6. 간추림: 하나의 카테고리로서의 there 구문 = 226
4.6. 구문의 의미와 구문 사이의 관계 : Goldberg(1995) = 226
4.6.1. Construction Grammar = 226
4.6.2. 참여자 역할과 논항 역할 : 동사의 의미와 구문의 의미 = 228
4.6.3. 참여자 역할과 논항 역할의 융합 = 230
4.6.4. 참여자 역할과 논항 역할의 불일치(1) : 이중 목적어 구문의 경우 = 232
4.6.5. 참여자 역할과 논항 역할의 불일치(2) : CAUSED-MOTION 구문의 경우 = 234
4.6.6. 구문간의 링크 = 236
4.6.6.1. 다의성에 의한 링크 = 238
4.6.6.2. 메타퍼적 확장에 의한 링크 = 239
4.6.6.3. 부분 관계의 링크 = 244
4.6.6.4. 사례의 링크 = 245
4.6.7. 간추림 : 구문 사이의 계승 관계 = 246
제5장 사적 연구 - 문법화·의미 변화 = 249
5.1. 문법화란 = 250
5.2. 일방향성 가설(unidirectionality) = 252
5.2.1. 의미의 표백화(bleaching) 현상 = 253
5.2.2. 탈범주화(decategorization) = 255
5.2.3. 화용론적 강화(pragmatic strengthening) = 256
5.3. 메타퍼와 역사적 의미 변화 = 258
5.3.1. 미래 표지로서의 go : Sweetser(1988) = 259
5.3.2. 조동사의 역사적 의미 변화 : Sweetser(1990) = 261
5.3.2.1. 근원적 용법에서 인식적 용법으로의 변화 = 262
5.3.2.2. 근원적 용법에서 발화내 행위적 용법으로의 변화 = 268
5.3.3. 간추림 = 270
5.4. 주체화에 의한 역사적 의미 변화 : Langacker(1990c) = 270
5.4.1. 주체화란 = 271
5.4.2. 주체화와 그라운드 = 272
5.4.3. 주체성의 차이와 의미의 차이 : 전치사 across의 경우 = 274
5.4.4. 문법화에 대한 주체화의 영향 = 276
5.4.5. 간추림 = 280
기본 개념 해설 = 283
기본 문헌 해제 = 295
참고문헌 = 305
색인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