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와 언어학: 인지적 탐색

언어와 언어학: 인지적 탐색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Dirven, Rene Verspoor, Marjolijn 이기동
서명 / 저자사항
언어와 언어학: 인지적 탐색 / Rene Dirven ; Marjolijn Verspoor [공저] ; 이기동 [외역].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1999.  
형태사항
xv,393p. : 도표 ; 24cm.
원표제
Cognitive exploration of language and linguistics
ISBN
897735661X
일반주기
찾아보기 수록  
000 00761namccc200253 k 4500
001 000001058105
005 20100805071910
007 ta
008 010322s1999 ulkd 001a kor
020 ▼a 897735661X ▼g 93740: ▼c \15,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1 1 ▼a kor ▼h eng
049 0 ▼l 151093982 ▼l 151093983
082 0 4 ▼a 410 ▼2 21
090 ▼a 410 ▼b 1999g
100 1 ▼a Dirven, Rene
245 1 0 ▼a 언어와 언어학: ▼b 인지적 탐색 / ▼d Rene Dirven ; ▼e Marjolijn Verspoor [공저] ; ▼e 이기동 [외역].
246 1 9 ▼a Cognitive exploration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1999.
300 ▼a xv,393p. : ▼b 도표 ; ▼c 24cm.
500 ▼a 찾아보기 수록
700 1 ▼a Verspoor, Marjolijn
700 1 ▼a 이기동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0 1999g 등록번호 1510939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10 1999g 등록번호 1510939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역자서문 = ⅶ

제1장 언어의 인지적 기초 : 언어와 사고 = 1

 1.0. 개관 = 1

 1.1. 들어가기 : 기호 체계 = 1

 1.2. 언어의 구조 원리 = 5

  1.2.1. 언어에서의 지표성 원리 = 5

  1.2.2. 언어에서의 도상원리 = 9

  1.2.3. 언어에서의 상징성 원리 = 17

 1.3. 언어범주 및 개념범주 = 18

  1.3.1. 개념범주 = 18

  1.3.2. 어휘범주 = 22

  1.3.3. 문법범주 = 24

 1.4. 요약 = 27

 1.5. 더 읽을 문헌 = 29

 1.6. 연습문제 = 29

제2장 단어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어휘론 = 33

 2.0. 개관 = 33

 2.1. 들어가기 : 단어, 의미, 개념 = 33

 2.2. 단어에서 의미로 : 어의론 = 37

  2.2.1. 현저성 : 원형적 단어 의의와 지시대상 = 40

  2.2.2. 단어 의의들 사이의 연결관계 : 방사상 망 = 41

  2.2.3. 개념범주와 단어 의의들의 불명확성 = 47

 2.3. 개념에서 단어로 : 용어론 = 48

  2.3.1. 개념영역에서의 현저성 : 기본 층위어 = 49

  2.3.2. 개념영역 안의 연결관계 : 분류관계 = 52

  2.3.3. 개념영역에서의 불명확성 : 문제가 되는 분류관계 = 55

 2.4. 결론 : 어의론과 용어론의 상호작용 = 57

 2.5. 요약 = 58

 2.6. 더 읽을 문헌 = 59

 2.7. 연습문제 = 60

제3장 의미를 가진 건축용 블록 : 형태론 = 65

 3.0. 개관 = 65

 3.1. 들어가기 = 66

  3.1.1. 두 종류의 건축용 블록: 단어와 접사 = 66

  3.1.2. 어형성과 이름 붙이기 = 69

 3.2. 합성 = 71

  3.2.1. 합성어의 기본유형 = 71

  3.2.2. 합성어 대 통사군 = 74

  3.2.3. 사물의 이름을 붙일 때 합성어의 역할 = 76

 3.3. 파생 = 77

  3.3.1. 파생 접사 대 굴절 접사 = 77

  3.3.2. 접사의 기원 : 문법화 = 78

  3.3.3. 접사의 의미와 생산성 = 79

  3.3.4. 접사의 하위유형과 새로운 접사 같은 형태 = 82

 3.4. 다른 어형성 과정 = 83

 3.5. 굴절과 기능어 = 87

 3.6. 결론 : 형태론, 어휘론 통사론 = 90

 3.7. 요약 = 91

 3.8. 더 읽을 문헌 = 93

 3.9. 연습문제 = 93

제4장 개념들 엮기 : 통사론 = 99

 4.0. 개관 = 99

 4.1. 들어가기 : 통사론과 문법 = 100

 4.2. 사건도식과 참여자 역할 = 102

  4.2.1. "이기" 도식 = 105

  4.2.2. "일어나기" 도식 = 106

  4.2.3. "하기' 도식 = 107

  4.2.4. "경험하기" 도식 = 109

  4.2.5. "가지기" 도식 = 110

  4.2.6. "이동하기" 도식 = 111

  4.2.7. "전달하기" 도식 = 114

 4.3. 문장의 계층 구조와 선형 구조 = 116

  4.3.1. 문장 성분들의 계층 구조 = 116

  4.3.2. 문장에 있어서의 선형적 순서 : 문형들 = 119

 4.4. 문자의 토대형성 요소들 = 122

  4.4.1. 의사소통 기능 : 서법 = 124

  4.4.2. 화자의 태도 : 양상 = 125

  4.4.3. 발화행위 시간 : 시제 = 126

  4.4.4. 사건들을 서로 관련짓기 : 완료상 = 127

  4.4.5. 사건의 내적 모습 : 진행상 = 128

  4.4.6. 종합 : 사건의 토대형성 = 129

 4.5. 요약 = 130

 4.6. 더 읽을 문헌 = 132

 4.7. 연습문제 = 132

제5장 말소리의 연구 : 음성학과 음운론 = 139

 5.0. 개관 = 139

 5.1. 들어가기 : 음성학과 음운론 = 140

  5.1.1. 철자와 발음 = 141

  5.1.2. 음성기호 = 142

 5.2. 말소리의 발음 = 142

  5.2.1. 발성 = 143

  5.2.2. 조음 = 145

 5.3. 자음 = 146

  5.3.1. 조음위치 = 146

  5.3.2. 조음방법 = 147

 5.4. 모음 = 149

  5.4.1. 기본모음 = 150

  5.4.2. 표준 영국영어의 모음 = 152

  5.4.3. 표준 영국영어에서의 이중모음 = 153

 5.5. 음소와 이음, 그리고 음소적 표기 = 154

  5.5.1. 정의 = 155

  5.5.2. 자유변이와 상보적 분포 = 156

  5.5.3. 음성표기의 원리 = 157

 5.6. 음소의 상위 단위 = 158

  5.6.1. 음절 = 158

  5.6.2. 강세, 성조, 억양 = 161

 5.7. 문맥 속의 말소리 = 162

  5.7.1. "연결" = 162

  5.7.2. 탈락 = 162

  5.7.3. 동화 = 163

  5.7.4. 구개음화 = 165

  5.7.5. 모음축약 = 165

  5.7.6. 강형과 약형 = 166

  5.7.7. 복합적인 음성변화 = 166

 5.8. 요약 = 167

 5.9. 더 읽을 문헌 = 168

 5.10. 연습문제 = 169

제6장 언어, 문화, 의미 : 비교 문화 의미론 = 173

 6.0. 개관 = 173

 6.1. 들어가기 : 언어 상대주의와 보편주의 = 174

  6.1.1. 언어 및 문화 상대주의 = 174

  6.1.2. 비교문화 연구의 열쇠 : 의미소수 = 179

 6.2. 문화특정적 단어 = 182

 6.3. 문화특정적 문법 = 187

 6.4. 문화 스크립트 = 191

 6.5. 결론 : 언어와 문화와 사고 = 195

 6.6. 요약 = 197

 6.7. 더 읽을 문헌 = 198

 6.8. 연습문제 = 199

제7장 말은 행동 : 화용론 = 203

 7.0. 개관 = 203

 7.1. 들어가기 : 화용론이란? = 204

  7.1.1. 의사소통 의도와 발화행위 = 204

  7.1.2. 발화행위의 인지적 유형 = 208

 7.2. 구성적 발화행위와 적절성 조건 = 212

  7.2.1. 구성적 발화행위의 하위 범주들 = 213

  7.2.2. 적절성 조건 = 217

 7.3. 정보적 발화행위와 협력적 상호관계 = 218

  7.3.1. 대화전제와 고정전제 = 219

  7.3.2. 협력원리와 대화격률 = 220

  7.3.3. 대화함축과 고정함축 = 226

 7.4. 당위적 발화행위와 공손한 대응관계 = 229

  7.4.1. 정보질문과 지시형 행위의 차이 = 230

  7.4.2. 공손 : 타인의 존재를 인정하기 = 232

 7.5. 결론: 문장구조와 발화행위 유형의 관계 = 237

 7.6. 요약 = 239

 7.7. 더 읽을 문헌 = 240

 7.8. 연습문제 = 241

제8장 텍스트의 구조화 : 텍스트 언어학 = 249

 8.0. 개관 = 249

 8.1. 의사소통, 텍스트, 텍스트 언어학 = 250

 8.2. 텍스트 표상 = 251

 8.3. 결속성 대 결속구조 = 256

 8.4. 지시적 결속성 = 259

 8.5. 관계적 결속성 = 265

 8.6. 결속성 관계의 개관 = 273

 8.7. 요약 = 278

 8.8. 더 읽을 문헌 = 280

 8.9. 연습문제 = 281

제9장 시간의 흐름과 언어 : 역사 언어학 = 287

 9.0. 개관 = 287

 9.1. 언어 변화와 언어변이 = 288

 9.2. 역사 언어학의 연구 방법 = 294

 9.3. 언어 변화의 유형 = 302

  9.3.1. 방사상 망 내의 변화 = 303

  9.3.2. 방사상 망을 가로지르는 변화 = 305

  9.3.3. 도식의 변화 = 308

  9.3.4. 유추적 변화 = 314

 9.4. 원인과 예측가능성 = 315

 9.5. 요약 = 319

 9.6. 더 읽을 문헌 = 322

 9.7. 연습문제 = 322

제10장 언어의 비교 : 언어 사회획, 언어 유형론 및 대조 언어학 = 327

 10.0. 개관 = 327

 10.1. 언어의 비교 = 328

  10.1.1. 왜 언어를 비교하는가? = 328

  10.1.2. 언어의 설정 및 집계 = 330

  10.1.3. 언어와 방언의 언어학적 규명 = 331

  10.1.4. 언어의 사회학적 위상 = 333

 10.2. 언어 유형론 = 336

  10.2.1. 유형론의 토대로서의 계통 관련성 = 336

  10.2.2. 유형론의 토대로서의 언어의 보편성 = 344

 10.3. 대조 언어학 = 350

  10.3.1. "비교"인가 "대조"인가? = 351

  10.3.2. 대조 언어학의 방법론적 측면 = 354

  10.3.3. 동사구의 대조 = 357

 10.4. 요약 = 362

 10.5. 더 읽을 문헌 = 364

 10.6. 연습문제 = 365

한글 찾아보기 = 369

영문 찾아보기 = 38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