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역자서문 = ⅶ
제1장 언어의 인지적 기초 : 언어와 사고 = 1
1.0. 개관 = 1
1.1. 들어가기 : 기호 체계 = 1
1.2. 언어의 구조 원리 = 5
1.2.1. 언어에서의 지표성 원리 = 5
1.2.2. 언어에서의 도상원리 = 9
1.2.3. 언어에서의 상징성 원리 = 17
1.3. 언어범주 및 개념범주 = 18
1.3.1. 개념범주 = 18
1.3.2. 어휘범주 = 22
1.3.3. 문법범주 = 24
1.4. 요약 = 27
1.5. 더 읽을 문헌 = 29
1.6. 연습문제 = 29
제2장 단어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어휘론 = 33
2.0. 개관 = 33
2.1. 들어가기 : 단어, 의미, 개념 = 33
2.2. 단어에서 의미로 : 어의론 = 37
2.2.1. 현저성 : 원형적 단어 의의와 지시대상 = 40
2.2.2. 단어 의의들 사이의 연결관계 : 방사상 망 = 41
2.2.3. 개념범주와 단어 의의들의 불명확성 = 47
2.3. 개념에서 단어로 : 용어론 = 48
2.3.1. 개념영역에서의 현저성 : 기본 층위어 = 49
2.3.2. 개념영역 안의 연결관계 : 분류관계 = 52
2.3.3. 개념영역에서의 불명확성 : 문제가 되는 분류관계 = 55
2.4. 결론 : 어의론과 용어론의 상호작용 = 57
2.5. 요약 = 58
2.6. 더 읽을 문헌 = 59
2.7. 연습문제 = 60
제3장 의미를 가진 건축용 블록 : 형태론 = 65
3.0. 개관 = 65
3.1. 들어가기 = 66
3.1.1. 두 종류의 건축용 블록: 단어와 접사 = 66
3.1.2. 어형성과 이름 붙이기 = 69
3.2. 합성 = 71
3.2.1. 합성어의 기본유형 = 71
3.2.2. 합성어 대 통사군 = 74
3.2.3. 사물의 이름을 붙일 때 합성어의 역할 = 76
3.3. 파생 = 77
3.3.1. 파생 접사 대 굴절 접사 = 77
3.3.2. 접사의 기원 : 문법화 = 78
3.3.3. 접사의 의미와 생산성 = 79
3.3.4. 접사의 하위유형과 새로운 접사 같은 형태 = 82
3.4. 다른 어형성 과정 = 83
3.5. 굴절과 기능어 = 87
3.6. 결론 : 형태론, 어휘론 통사론 = 90
3.7. 요약 = 91
3.8. 더 읽을 문헌 = 93
3.9. 연습문제 = 93
제4장 개념들 엮기 : 통사론 = 99
4.0. 개관 = 99
4.1. 들어가기 : 통사론과 문법 = 100
4.2. 사건도식과 참여자 역할 = 102
4.2.1. "이기" 도식 = 105
4.2.2. "일어나기" 도식 = 106
4.2.3. "하기' 도식 = 107
4.2.4. "경험하기" 도식 = 109
4.2.5. "가지기" 도식 = 110
4.2.6. "이동하기" 도식 = 111
4.2.7. "전달하기" 도식 = 114
4.3. 문장의 계층 구조와 선형 구조 = 116
4.3.1. 문장 성분들의 계층 구조 = 116
4.3.2. 문장에 있어서의 선형적 순서 : 문형들 = 119
4.4. 문자의 토대형성 요소들 = 122
4.4.1. 의사소통 기능 : 서법 = 124
4.4.2. 화자의 태도 : 양상 = 125
4.4.3. 발화행위 시간 : 시제 = 126
4.4.4. 사건들을 서로 관련짓기 : 완료상 = 127
4.4.5. 사건의 내적 모습 : 진행상 = 128
4.4.6. 종합 : 사건의 토대형성 = 129
4.5. 요약 = 130
4.6. 더 읽을 문헌 = 132
4.7. 연습문제 = 132
제5장 말소리의 연구 : 음성학과 음운론 = 139
5.0. 개관 = 139
5.1. 들어가기 : 음성학과 음운론 = 140
5.1.1. 철자와 발음 = 141
5.1.2. 음성기호 = 142
5.2. 말소리의 발음 = 142
5.2.1. 발성 = 143
5.2.2. 조음 = 145
5.3. 자음 = 146
5.3.1. 조음위치 = 146
5.3.2. 조음방법 = 147
5.4. 모음 = 149
5.4.1. 기본모음 = 150
5.4.2. 표준 영국영어의 모음 = 152
5.4.3. 표준 영국영어에서의 이중모음 = 153
5.5. 음소와 이음, 그리고 음소적 표기 = 154
5.5.1. 정의 = 155
5.5.2. 자유변이와 상보적 분포 = 156
5.5.3. 음성표기의 원리 = 157
5.6. 음소의 상위 단위 = 158
5.6.1. 음절 = 158
5.6.2. 강세, 성조, 억양 = 161
5.7. 문맥 속의 말소리 = 162
5.7.1. "연결" = 162
5.7.2. 탈락 = 162
5.7.3. 동화 = 163
5.7.4. 구개음화 = 165
5.7.5. 모음축약 = 165
5.7.6. 강형과 약형 = 166
5.7.7. 복합적인 음성변화 = 166
5.8. 요약 = 167
5.9. 더 읽을 문헌 = 168
5.10. 연습문제 = 169
제6장 언어, 문화, 의미 : 비교 문화 의미론 = 173
6.0. 개관 = 173
6.1. 들어가기 : 언어 상대주의와 보편주의 = 174
6.1.1. 언어 및 문화 상대주의 = 174
6.1.2. 비교문화 연구의 열쇠 : 의미소수 = 179
6.2. 문화특정적 단어 = 182
6.3. 문화특정적 문법 = 187
6.4. 문화 스크립트 = 191
6.5. 결론 : 언어와 문화와 사고 = 195
6.6. 요약 = 197
6.7. 더 읽을 문헌 = 198
6.8. 연습문제 = 199
제7장 말은 행동 : 화용론 = 203
7.0. 개관 = 203
7.1. 들어가기 : 화용론이란? = 204
7.1.1. 의사소통 의도와 발화행위 = 204
7.1.2. 발화행위의 인지적 유형 = 208
7.2. 구성적 발화행위와 적절성 조건 = 212
7.2.1. 구성적 발화행위의 하위 범주들 = 213
7.2.2. 적절성 조건 = 217
7.3. 정보적 발화행위와 협력적 상호관계 = 218
7.3.1. 대화전제와 고정전제 = 219
7.3.2. 협력원리와 대화격률 = 220
7.3.3. 대화함축과 고정함축 = 226
7.4. 당위적 발화행위와 공손한 대응관계 = 229
7.4.1. 정보질문과 지시형 행위의 차이 = 230
7.4.2. 공손 : 타인의 존재를 인정하기 = 232
7.5. 결론: 문장구조와 발화행위 유형의 관계 = 237
7.6. 요약 = 239
7.7. 더 읽을 문헌 = 240
7.8. 연습문제 = 241
제8장 텍스트의 구조화 : 텍스트 언어학 = 249
8.0. 개관 = 249
8.1. 의사소통, 텍스트, 텍스트 언어학 = 250
8.2. 텍스트 표상 = 251
8.3. 결속성 대 결속구조 = 256
8.4. 지시적 결속성 = 259
8.5. 관계적 결속성 = 265
8.6. 결속성 관계의 개관 = 273
8.7. 요약 = 278
8.8. 더 읽을 문헌 = 280
8.9. 연습문제 = 281
제9장 시간의 흐름과 언어 : 역사 언어학 = 287
9.0. 개관 = 287
9.1. 언어 변화와 언어변이 = 288
9.2. 역사 언어학의 연구 방법 = 294
9.3. 언어 변화의 유형 = 302
9.3.1. 방사상 망 내의 변화 = 303
9.3.2. 방사상 망을 가로지르는 변화 = 305
9.3.3. 도식의 변화 = 308
9.3.4. 유추적 변화 = 314
9.4. 원인과 예측가능성 = 315
9.5. 요약 = 319
9.6. 더 읽을 문헌 = 322
9.7. 연습문제 = 322
제10장 언어의 비교 : 언어 사회획, 언어 유형론 및 대조 언어학 = 327
10.0. 개관 = 327
10.1. 언어의 비교 = 328
10.1.1. 왜 언어를 비교하는가? = 328
10.1.2. 언어의 설정 및 집계 = 330
10.1.3. 언어와 방언의 언어학적 규명 = 331
10.1.4. 언어의 사회학적 위상 = 333
10.2. 언어 유형론 = 336
10.2.1. 유형론의 토대로서의 계통 관련성 = 336
10.2.2. 유형론의 토대로서의 언어의 보편성 = 344
10.3. 대조 언어학 = 350
10.3.1. "비교"인가 "대조"인가? = 351
10.3.2. 대조 언어학의 방법론적 측면 = 354
10.3.3. 동사구의 대조 = 357
10.4. 요약 = 362
10.5. 더 읽을 문헌 = 364
10.6. 연습문제 = 365
한글 찾아보기 = 369
영문 찾아보기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