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미국영어 외면사 = 25
1.1 머리말 = 25
1.2 식민지 시대 = 26
1.2.1 식민지 시대의 서곡 = 26
1.2.2 식민지 시대의 개막 = 29
1.2.3 청교도들 = 31
1.2.4 메이플라워 협약 = 35
1.2.5 필그림들의 언어 = 36
1.2.6 아메리칸 인디언 = 40
1.2.7 아프리칸 아메리칸 = 45
1.2.8 영어의 경쟁자들 = 46
1.2.8.1 스페인어 = 47
1.2.8.2 프랑스어 = 47
1.2.8.3 네덜란드어 = 48
1.2.8.4 독일어 = 48
1.2.8.5 스크틀랜드계 북 아일랜드어 = 49
1.3 독립전쟁과 건국 = 50
1.3.1 1776년 = 50
1.3.2 페인과 제퍼슨 = 51
1.3.3 "미국어"의 탄생 = 54
1.3.4 미국어 : 발음과 철자 = 57
1.3.5 미국 헌법 = 59
1.3.6 프랭클린 = 61
1.3.7 웹스터 = 62
1.4 영토확장과 부흥기(19세기 전반) = 65
1.4.1 1812년 전쟁 = 65
1.4.2 성조기, 애국가, 엉클 샘 = 66
1.4.3 서부 개척 = 67
1.4.4 골드 러시 = 69
1.4.5 19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단어들 = 70
1.5 남북전쟁 이후 = 72
1.5.1 1861년 = 72
1.5.2 링컨과 게티스버그 연설 = 74
1.5.3 대륙횡단철도 = 78
1.5.4 카우보이 = 80
1.5.5 트웨인 = 82
1.5.6 휘트먼 = 84
1.5.7 이민사회 = 86
1.5.8 뉴욕 = 93
1.6 세계의 열강으로 = 95
1.6.1 제1차 세계대전 = 95
1.6.2 전쟁과 신조어 = 96
1.6.3 멩켄 = 99
1.6.4 자동차와 외식문화 = 101
1.6.4.1 자동차 = 101
1.6.4.2 도로망 = 104
1.6.4.3 자동차 문화 = 105
1.6.4.4 외식산업 = 106
1.6.5 상품과 광고문화 = 108
1.6.5.1 상품과 상표 = 108
1.6.5.2 광고 = 110
1.6.6 금주법, 영화, 스포츠 = 111
1.6.6.1 금주법 = 111
1.6.6.2 영화 = 112
1.6.6.3 스포츠 = 114
1.6.7 대불황기 = 117
1.7 냉전의 시작과 끝 = 119
1.7.1 제2차 세계대전 = 119
1.7.2 경제대국 - 교외문화 = 121
1.7.2.1 경제대국 = 121
1.7.2.2 교외문화 = 122
1.7.3 냉전시대 = 123
1.7.3.1 냉전기의 사건들 = 124
1.7.3.2 한국전쟁과 신조어 = 125
1.7.3.3 베트남전쟁과 신조어 = 125
1.7.4 신세대들의 출현 = 127
1.7.4.1 10대 = 127
1.7.4.2 비트 세대 = 127
1.7.4.3 히피족 = 128
1.7.4.4 신 좌익세대 = 129
1.7.4.5 그 이후의 신세대들 = 130
1.7.5 우주 및 정보통신 산업 = 130
1.7.5.1 우주시대 = 130
1.7.5.2 정보통신 = 133
1.7.5.3 사이버스페이스 = 134
1.7.6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이후 = 137
2장 미국영어의 구조 = 139
2.1 머리말 = 139
2.2 어휘 = 140
2.2.1 어형성 = 141
2.2.1.1 복합 = 141
2.2.1.2 파생 = 147
2.2.1.3 단축 = 155
2.2.1.4 역혁성 = 156
2.2.1.5 혼성 = 157
2.2.1.6 품사전환 = 157
2.2.1.7 두문자어 = 158
2.2.2 차용 = 159
2.2.2.1 인디언어 차용 = 159
2.2.2.2 네덜란드어 차용 = 162
2.2.2.3 프랑스어 차용 = 164
2.2.2.4 스페인어 차용 = 166
2.2.2.5 독일어 차용 = 169
2.2.2.6 기타 = 171
2.2.3 어의의 변화 = 173
2.2.3.1 동식물의 명칭 = 174
2.2.3.2 지형 및 토지 = 174
2.2.3.3 주거 및 건물 = 175
2.2.3.4 음식, 의복, 일용품 = 175
2.2.3.5 상업 및 통신 = 176
2.2.3.6 교통 = 177
2.2.3.7 교제, 오락, 스포츠 = 178
2.2.3.8 신문, 잡지, 영화 = 178
2.2.3.9 교육 및 학교생활 = 179
2.2.3.10 정치 및 법 = 180
2.2.4 어의의 보존 = 180
2.2.5 미국영어와 영국영어 : 어휘 대조 = 181
2.2.5.1 식음료 및 주방 = 182
2.2.5.2 가정용어 = 182
2.2.5.3 의류 및 패션 = 183
2.2.5.4 쇼핑 = 183
2.2.5.5 은행 = 184
2.2.5.6 일상용어 = 184
2.2.5.7 스포츠 및 연예 = 185
2.2.5.8 자동차 및 교통 = 186
2.2.5.9 철도 = 187
2.2.5.10 교육 = 187
2.2.5.11 노동 현장 = 188
2.2.5.12 사법과 행정 = 188
2.3 발음 = 188
2.3.1 모음 = 189
2.3.1.1 저모음 = 190
2.3.1.2 중모음 = 192
2.3.1.3 고모음 = 193
2.3.1.4 AE[-εri], [o :ri] : BE[-(○)ri] = 194
2.3.2. 자음 = 195
2.3.2.1 AE(○ :) : BE(○ :) = 195
2.3.2.2 [t]의 유성음화 = 196
2.3.2.3 [t]의 약화 또는 탈락 = 197
2.3.3 미국영어와 영국영어 : 발음 대조 = 197
2.3.3.1 철자식 발음 = 197
2.3.3.2 기타 발음의 차이 = 198
2.4 철자 = 198
2.4.1 AE(-er) : BE(-re) = 199
2.4.2 AE(-or) : BE(-our) = 200
2.4.3 AE(-l-) : BE(-ll-) = 201
2.4.4 AE(-se) : BE(-ce) = 201
2.4.5 AE(-ize) : BE(-ize/-ise) = 202
2.4.6 기타 = 202
2.4.7 철자개량운동 = 203
2.5 문법 = 205
2.5.1 미국어 문법의 특색 = 205
2.5.2 문법 기술과 그 배경 = 206
2.5.3 관사 = 207
2.5.3.1 정관사의 생략 = 207
2.5.3.2 정관사+명사 = 208
2.5.3.3 관사+인명+장소 = 208
2.5.3.4 부정관사의 위치 = 209
2.5.4 명사 = 209
2.5.4.1 명사복수형 = 209
2.5.4.2 명사복수형의 부사적 용법 = 209
2.5.4.3 단수로 취급되는 복수형 = 210
2.5.4.4 집합명사 = 210
2.5.5 대명사 = 211
2.5.5.1 인칭대명사 one = 211
2.5.5.2 2인칭 보수 : you-all, you-uns, mongst-ye = 211
2.5.5.3 독립소유격 : ourn, yourn, theirn = 211
2.5.5.4 주격으로서의 thee = 212
2.5.5.5 지시대명사 thisn = 212
2.5.6 형용사 = 213
2.5.6.1 이중비교 = 213
2.5.6.2 the best of the two = 213
2.5.6.3 than의 축약 = 213
2.5.6.4 -ed의 생략 = 214
2.5.6.5 older : elder = 214
2.5.6.6 형용사로 쓰이는 fool = 214
2.5.6.7 be liable to : be likely to = 215
2.5.6.8 some 'remarkable' = 215
2.5.7 부사 = 215
2.5.7.1 형용사와의 형태상의 혼동 = 215
2.5.7.2 불변화사의 남용 = 216
2.5.7.3 '강조'의 부사들 = 216
2.5.7.4 towards : toward = 217
2.5.7.5 most 'almost' = 217
2.5.7.6 maybe 'perhaps' = 217
2.5.8 조동사 = 217
2.5.8.1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쓰이는 do = 217
2.5.8.2 have to와 do = 218
2.5.8.3 used to와 do = 218
2.5.8.4 조동사로 쓰이는 done = 218
2.5.8.5 조동사 have = 220
2.5.8.6 단순미래의 will : shall = 220
2.5.9 동사 = 221
2.5.9.1 동사 활용 = 221
2.5.9.2 과거형 : 현재완료형 = 221
2.5.9.3 have broke : have broken = 222
2.5.9.4 have gotten : have got = 223
2.5.9.5 if-조건절의 가정법 = 224
2.5.9.6 that-, lest- 종속절의 가정법 = 224
2.5.9.7 go/come+부정사 = 225
2.5.9.8 say+to-부정사 = 225
2.5.9.9 belong+to-부정사 = 225
2.5.9.10 aim/fix+to-부정사 = 226
2.5.9.11 help me move : help me to move = 226
2.5.9.12 동사+목적어+과거분사 = 226
2.5.9.13 I guess와 I reckon = 226
2.5.9.14 How come…?과 (not) begin to… = 227
2.5.10 전치사 = 228
2.5.10.1 전치사 선택의 차이 = 228
2.5.10.2 around : round = 229
2.5.10.3 come/go/stop by = 229
2.5.10.4 belong+전치사 = 229
2.5.11 접속사 = 230
2.5.11.1 like = 230
2.5.11.2 기타 접속사들 = 230
2.5.12 기타 통사적 특성 = 232
2.5.12.1 이중부정 = 232
2.5.12.2 분할부정사 = 233
2.5.12.3 have+목적어+과거분사 = 233
2.5.12.4 give it to me = 234
2.5.12.5 different than = 234
3장 미국영어 방언 = 235
3.1 머리말 = 235
3.2 미국방언의 배경 = 236
3.2.1 식민지 이전의 영국방언 = 236
3.2.2 식민지 : 영국방언의 흔적 = 237
3.2.3 미국식 말투의 인지 = 239
3.3 미국방언의 형성 = 240
3.3.1 지역방언의 형성 = 240
3.3.1.1 초기 이민 = 240
3.3.1.2 아일랜드인의 대이동 = 241
3.3.1.3 산업화 = 242
3.3.1.4 도시화 = 242
3.3.1.5 교육적 요인 = 243
3.3.2 지역방언 예(19세기 중반) = 244
3.3.2.1 북부(Maine) = 244
3.3.2.2 남부(Georgia) = 246
3.3.2.3 서부(Nevada) = 247
3.3.3 지역방언 형성의 원인 = 248
3.4 미국방언의 특성 = 251
3.4.1 획일성 = 251
3.4.2 이동성 = 253
3.4.3 계층의 유연성 = 254
3.5 미국방언학회 및 언어지도 = 255
3.5.1 미국방언학회 = 255
3.5.2 언어지리학/방언학 = 255
3.5.3 언어지도 = 256
3.5.3.1 언어지도 제작사업 = 256
3.5.3.2 사업의 진행 = 257
3.5.3.3 자료의 해석 = 262
3.5.4 미국방언사전 = 266
3.6 지역방언 = 269
3.6.1 행정역과 방언역 = 269
3.6.2 방언역 구분에 대한 견해들 = 271
3.6.2.1 쿠라스의 구분 = 271
3.6.2.2 앨런의 구분 = 271
3.6.2.3 베어드의 구분 = 271
3.6.2.4 맥데이빗의 구분 = 272
3.6.3 북부방언 = 273
3.6.3.1 전체적 특징 = 273
3.6.3.2 뉴잉글랜드 동부방언 = 274
3.6.3.3 북부 내륙지방 = 275
3.6.3.4 뉴욕 시와 허든슨강 유역 = 276
3.6.4 중부방언 = 277
3.6.4.1 전체적 특징 = 277
3.6.4.2 북부 중부방언 = 278
3.6.4.3 동부 펜실바니아 = 279
3.6.4.4 서부 펜실바니아 = 280
3.6.4.5 남부 중부방언 = 280
3.6.5 남부방언 = 281
3.6.5.1 전체적 특징 = 281
3.6.5.2 동부 버지니아 = 283
3.6.5.3 사우스캐롤라이나, 조지아 저지대 = 284
3.6.5.4 남부방언과 남방중부방언 = 285
3.7 사회방언 = 287
3.7.1 수평분포와 수직분포 = 287
3.7.2 사회계층의 형성 = 287
3.7.3 사회계층적 방언의 분류 = 288
3.7.4 사회계층과 언어구조 = 290
3.7.4.1 발음 = 290
3.7.4.2 어법 = 291
3.7.5 문체(스타일) = 292
3.7.5.1 기능적 변이형들 = 292
3.7.5.2 직업적 변이형들 = 292
3.7.5.3 성별의 차이 = 293
3.7.5.4 세대간의 차이 = 293
3.8 방언학과 사회언어학 = 293
3.8.1 1930~40년대 = 293
3.8.2 1950년대 = 295
3.8.3 1960년대 이후 = 297
4장 흑인영어 = 301
4.1 머리말 = 301
4.2 흑인영어의 기원에 관한 견해들 = 302
4.2.1 전통파 = 304
4.2.1.1 크랩 = 304
4.2.1.2 리드 = 305
4.2.1.3 맹켄 = 306
4.2.2 크리얼파 = 307
4.2.2.1 터너 = 307
4.2.2.2 베일리 = 308
4.2.2.3 스튜어트 = 309
4.2.2.4 딜러드 = 310
4.3 역사적 배경 = 311
4.3.1 노예무역과 서아프리카 = 311
4.3.2 삼각무역 = 313
4.3.3 미국의 노예제도 = 314
4.4 흑인영어의 뿌리 = 316
4.4.1 링구아프랑카, 피진, 크리얼 = 316
4.4.1.1 링구아프랑카 = 316
4.4.1.2 피진 = 317
4.4.1.3 크리얼 = 318
4.4.2 피진영어 = 319
4.4.3 서아프리카의 피진영어 = 320
4.4.4 서아프리카의 크리얼 = 323
4.4.5 카리브해 크리얼 = 324
4.4.5.1 자메이카 크리얼 = 325
4.4.5.2 자메이카 크리얼의 특성 = 326
4.5 걸러 = 329
4.5.1 걸러 = 329
4.5.2 걸러의 문헌들 = 330
4.5.3 18세기의 사회변화와 걸러 = 333
4.6 19세기의 흑인영어 = 333
4.6.1 남부에 침투한 흑인영어 = 333
4.6.2 흑인방언의 문법적 특성 = 334
4.6.2.1 계사 'be'의 탈락 = 334
4.6.2.2 소유격 굴절('s)의 탈락 = 335
4.6.2.3 인칭대명사 격의 단일화 = 335
4.6.2.4 '과거'표시의 'been' = 336
4.6.3 문헌 예 = 336
4.6.4 노예제도가 빚어낸 새 어휘 = 339
4.7 남북전쟁 이후 = 339
4.7.1 탈크리얼화 = 339
4.7.2 흑인들의 남부 이탈 = 341
4.7.3 흑인음악 = 343
4.7.3.1 흑인영가 = 343
4.7.3.2 블루스 = 344
4.7.3.3 재즈 = 345
4.7.3.4 자이브 토크 = 346
4.7.3.5 랩 = 348
4.8 민권운동과 그 여파 = 350
4.8.1 민권운동 = 350
4.8.2 교육논쟁 = 351
4.9 흑인영어의 문법구조 = 355
4.9.1 발음 = 355
4.9.1.1 피치와 억양 = 355
4.9.1.2 자음 = 355
4.9.1.3 모음 = 358
4.9.2 어법 = 358
4.9.3 문헌 예(1) = 364
4.9.4 문헌 예(2) = 367
5장 미국속어 = 371
5.1 머리말 = 371
5.2 속어의 정의 = 372
5.3 속어의 속성 = 374
5.3.1 무제약, 무제한 = 374
5.3.2 속어의 생성과 전파 = 374
5.3.3 속어의 생존 양상 = 375
5.3.4 속어 존폐의 요인 = 377
5.4 속어 사용의 동기 = 378
5.4.1 소속집단에 대한 자각 = 378
5.4.2 격식(표준어)에 대한 반발 = 378
5.4.3 남성다움의 표현 = 379
5.4.4 범법자들의 은어 = 380
5.5 미국속어의 특성 = 381
5.5.1 일반적인 특성 = 381
5.5.2 음운론적 특성 = 382
5.5.3 형태론적 특성 = 382
5.5.3.1 파생 = 382
5.5.3.2 복합 = 384
5.5.3.3 단축 = 388
5.5.3.4 역독 속어 = 390
5.5.3.5 피그 라틴 = 390
5.5.3.6 의성어 = 391
5.5.3.7 혼성어 = 391
5.5.4 의미론적 특성 = 391
5.5.4.1 사전적 의미와 암시적 의미 = 392
5.5.4.2 전이와 은유 = 393
5.5.4.3 '의미'의 탄생과 소멸 = 395
5.6 미국속어의 영역 = 401
5.6.1 미국속어의 영역 = 401
5.6.2 식품이 주는 이미지 = 401
5.6.3 동의어들 = 402
5.6.3.1 식품이 주는 성적 의미 = 402
5.6.3.2 음주 표현의 동의어 = 403
5.7 속어원 = 404
5.7.1 미국항공우주국 = 404
5.7.2 스포츠계 = 405
5.7.2.1 야구 = 405
5.7.2.2 미식축구 = 405
5.7.2.3 농구 = 406
5.7.2.4 골프 = 406
5.7.2.5 경마 = 406
5.7.3 연예 및 방송계 = 406
5.7.3.1 연극 = 406
5.7.3.2 영화 = 407
5.7.3.3 재즈 = 407
5.7.3.4 서커스 = 409
5.7.3.5 방송 = 410
5.7.4 범죄집단 및 경찰 = 410
5.7.4.1 청소년 범죄 = 410
5.7.4.2 일반 범죄 = 411
5.7.4.3 마약 = 411
5.7.4.4 불량배 = 412
5.7.4.5 경찰 = 412
5.7.5 교통 및 운송계 = 412
5.7.5.1 철도 = 412
5.7.5.2 트럭 = 413
5.7.5.3 자동차 = 413
5.7.5.4 항공 = 414
5.7.6 군대 = 415
5.7.6.1 남북전쟁 = 415
5.7.6.2 1차 세계대전 = 415
5.7.6.3 2차 세계대전 = 415
5.7.6.4 한국전쟁 = 416
5.7.6.5 베트남전쟁 = 416
5.8 금기어와 완곡어법 = 417
5.8.1 금기어 = 417
5.8.2 완곡어법 = 420
5.8.3 금기어의 해금 = 421
5.9 속어연구의 선구자들 = 422
6장 미국의 고유명 = 427
6.1 머리말 = 427
6.2 인명 = 428
6.2.1 성 = 428
6.2.1.1 성의 역사 = 429
6.2.1.2 미국에서 흔한 성 = 433
6.2.1.3 미국인 성의 특징 = 433
6.2.1.4 성이 변하는 이유 = 434
6.2.1.5 비 영어권 이민의 성의 변화 = 435
6.2.2 이름 = 449
6.2.2.1 First Name과 John = 449
6.2.2.2 이름의 역사 = 449
6.2.2.3 성에서 이름으로 = 457
6.2.2.4 미들네임 = 457
6.2.2.5 이름으로 굳어진 애칭들 = 458
6.2.2.6 팬시한 남자이름 = 459
6.2.2.7 팬시한 여자이름 = 460
6.2.2.8 기발하고 엉뚱한 이름들 = 462
6.2.2.9 비영어권의 이름들 = 464
6.3 지명 = 469
6.3.1 미국 지명의 특성 = 469
6.3.2 영국에서 온 지명들 = 470
6.3.3 유럽에서 온 지명들 = 471
6.3.3.1 네덜란드어 = 471
6.3.3.2 프랑스어 = 472
6.3.3.3 스페인어 = 473
6.3.3.4 기타 유럽지명의 흔적 = 474
6.3.4 개척자 및 국민적 영웅의 이름을 딴 지명 = 474
6.3.5 인디언어에서 온 지명 = 474
6.3.5.1 원어의 흔적이 없어진 것들 = 474
6.3.5.2 원어의 흔적이 남은 것들 = 475
6.3.5.3 인디언어 지명의 철자표기 = 475
6.3.6 성경 및 신화에서 온 지명 = 475
6.3.7 묘사적인 지명 = 476
6.3.8 동식물 및 광물의 이름에서 따 온 지명 = 476
6.3.8.1 동물 = 476
6.3.8.2 식물 = 477
6.3.8.3 광물 = 477
6.3.9 기발한 지명 = 477
6.3.9.1 유머러스한 지명 = 477
6.3.9.2 혼성에 의해 만들어진 지명 = 478
6.3.9.3 거꾸로 읽도록 만들어진 것들 = 478
6.3.10 지명과 발음 = 479
6.3.11 주명과 별칭 = 480
6.3.12 거리의 이름 = 489
6.4 기타 미국 고유명 = 490
6.4.1 주민과 도시인의 호칭 = 490
6.4.1.1 주민에 대한 호칭 = 490
6.4.1.2 도시인에 대한 호칭 = 492
6.4.2 전화번호 = 493
6.4.3 공동주택의 이름 = 493
6.4.4 호텔 및 모텔의 이름 = 494
6.4.5 기차와 노선의 이름 = 495
6.4.6 선박명 = 495
6.4.6.1 상선 = 495
6.4.6.2 해군함정 = 496
6.4.7 교회명 = 497
6.5 미국고유명학회 = 498
참고문헌 = 501
부록1. 미국어 외면사 연표 = 525
부록2. 미국 역대대통령 = 543
색인
1. 인명·지명·사건·문서 = 545
2. 영어학 관련용어 = 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