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3증보판을 내면서
머리말
제1장 서론
제1절 국제정치학의 대상 = 13
1.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 13
2. 국제정치의 대상 = 15
제2절 국제정치학의 연구방법 = 16
1. 전통적 방법론과 행태주의적 방법론 = 16
2. 전통적 방법론과 행태주의적 방법론의 차이점 = 29
3. 이 책의 연구방법 = 32
제2장 현대 국제정치체제
제1절 현대 국제정치체제의 특징 = 35
제2절 세력균형체제(Balance of Power System) : 동맹의 형성(Alliance) = 39
1. 정의 = 39
2. 성립조건 = 39
3. 유형 = 40
4. 세력균형방법 = 42
제3절 공고한 양극체제(Tight Bipolar System) : 동서분쟁(East-West Conflict) = 57
1. 東西紛爭(冷戰)의 원인 = 58
2. 大西洋圈 = 59
3. 東歐圈 = 62
4. 양극체제의 특징 = 64
5. 세력균형체제와의 비교 = 66
제4절 이완된 양극체제(Loose Bipolar System) : 비동맹국가(Non-aligned Countries) = 69
1. 兩極體制 解弛의 원인 = 69
2. 弛緩된 兩極體制의 特徵 = 72
3. 비동맹운동 = 73
제5절 초기적 다극체제(Incipient Multipolar System) : 남북대결(North-South Conflict) = 79
1. 초기적 다극체제의 특징 = 79
2. 제3세계 = 82
제6절 다극·세력균형 공존체제 : 國際 레짐 = 89
1. 다극·세력균형 공존체제의 특징 = 89
2. 關稅와 貿易에 관한 一般協定 = 93
제3장 국제정치의 행위자
제1절 국가(Nation-State) : 국가권력(National Power) = 99
1. 국가의 종류 = 99
2. 국력 = 101
제2절 지역기구(Regional Organization) : 지역통합(Regional Integration) = 117
1. 국제기구의 발전과정 = 118
2. 지역기구의 목적 = 121
3. 지역적 통합 = 124
제3절 국제연합(United Nations) = 137
1. 기원 = 137
2. 목적 및 기관 = 139
3. 유엔의 實際 = 157
4. 유엔의 국제정치상의 역할 = 176
제4절 다국적 기업체(Multinational Corporation) = 177
1. 정의 = 178
2. 역할 = 179
제4장 국가의 목적
제1절 서론 = 183
제2절 국익 = 184
1. 정의 = 185
2. 종류 = 187
3. 평가 = 189
제3절 민족주의(Nationalism) = 190
1. 민족주의의 특징 = 192
2. 민족주의의 역할 = 196
3. 아시아·아프리카 민족주의 = 199
4. 현대 민족주의의 제문제 = 201
제4절 제국주의(Imperialism) = 204
1. 정의 = 204
2. 원인 = 210
제5절 신식민지주의(Neo-colonialism) = 227
1. 이론 = 227
2. 실제 = 230
3. 종합평가 = 236
제5장 국제정치의 실제
제1절 외교 = 239
1. 외교정책 = 239
2. 외교방법 = 241
3. 외교형태 = 251
제2절 전쟁 = 266
1. 政策決定者의 屬性 = 267
2. 國家의 屬性 = 269
3. 國家間의 相互關係 = 280
4. 國際體制 = 292
5. 綜合的 理論의 모색 = 305
제3절 핵전쟁 = 314
1. 핵전쟁 이론 = 315
2. 핵무기의 국제정치에서의 역할 = 320
3. 종합평가 = 326
제6장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와의 연계
제1절 외교정책 결정이론(Decision Making Theories) = 329
1. 합리적 정책결정 모델(Rational Decision-making Model) = 330
2. 누진적 정책결정 모델(Incrementalism) = 332
3. 지도자 정책결정 모델 = 335
4. 小그룹 정책결정 모델 = 337
5. 엘리트 갈등 모델(Elite Conflict Model) = 338
6. 위기정책 결정이론 = 341
7. 심리적 정책결정 모델 = 344
8. 結語 = 348
제2절 외교정책 결정요인 = 349
1. 개인적 요인(personality variables) = 351
2. 역할적 요인(role variables) = 354
3. 정치구조·정치변동 = 358
4. 경제구조·경제변동 = 363
5. 사회·문화구조 및 변동 = 367
6. 국가 간의 관계 및 국제정치체제 = 369
7. 결론 = 370
부록 Ⅰ : 국제기구 참가현황 = 373
부록 Ⅱ : 참고서적 = 383
부록 Ⅲ : 찾아보기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