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韓國語의 意味와 文法. Ⅰ : 基本的인 觀點

韓國語의 意味와 文法. Ⅰ : 基本的인 觀點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李庸周
서명 / 저자사항
韓國語의 意味와 文法 : 基本的인 觀點 . Ⅰ / 이용주 著.
발행사항
서울 :   三知院 ,   1993.  
형태사항
296p. ; 23cm.
ISBN
8974908204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찾아보기수록
000 00555namccc200205 k 4500
001 000001057337
005 20100805070900
007 ta
008 010307s1993 ulk 1c kor
020 ▼a 8974908204 ▼g 93810: ▼c \9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495.75 ▼2 21
090 ▼a 497.5 ▼b 1993o1 ▼c 1
100 1 ▼a 李庸周
245 1 0 ▼a 韓國語의 意味와 文法 : ▼b 基本的인 觀點 . ▼n Ⅰ / ▼d 이용주 著.
260 ▼a 서울 : ▼b 三知院 , ▼c 1993.
300 ▼a 296p. ; ▼c 23cm.
504 ▼a 참고문헌과 찾아보기수록
950 0 ▼b \9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97.5 1993o1 1 등록번호 1510960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97.5 1993o1 1 등록번호 1510960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용주(지은이)

비교종교학과 유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동양의 사상 종교 전통에 대해 공부했으며,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지스트 대학에서 철학 및 비교종교학을 가르치고 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의 공부를 정리하는 작업으로 동양 고전에 대한 연구와 해석에 힘을 쏟으려고 한다. 학자로서 남은 인생이 길지 않지만, 평생 공부의 마무리로서 학계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작업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이 책 『주역의 예지』는 앞으로 출간될 고전 연구 및 해석의 첫 번째 결과물이다. 지은 책으로는 『세계관 전쟁』(2020), 『성학집요: 군자의 길, 성찰의 힘』(2018), 『죽음의 정치학: 유교의 죽음이해』(2015), 『생명과 불사: 포박자 갈홍의 도교사상』(2009), 『동아시아 근대사상론』(2009), 『도, 상상하는 힘』(2003), 『주희의 문화 이데올로기』(2003)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세계 종교의 역사』(2018), 『종교 유전자: 진화심리학으로 본 종교의 기원과 진화』(2015), 『20세기 신화이론』(2008), 『세계종교사상사1』(2005)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記號와 記號의 使用

 제1장 記號化過程과 記號의 慣習化

  Ⅰ. 人間과 言語 = 14

  Ⅱ. 記號化의 過程과 恣意的 慣習 = 16

  Ⅲ. 有緣性과 恣意性 = 20

  Ⅳ. 要約 = 21

 제2장 言語의 階層과 單位

  Ⅰ. 三階層과 單位 = 23

  Ⅱ. 談話單位로서의 適格文 = 24

  Ⅲ. 語彙單位로서의 語彙素 = 36

  Ⅳ. 要約 = 44

 제3장 語彙의 階層的 構造

  Ⅰ. 語彙의 性格 = 46

  Ⅱ. 語彙素 一 場 一 語彙 = 47

  Ⅲ. 語彙素間의 本質的 關係 = 50

  Ⅳ. 語彙와 自然範疇 = 53

  Ⅴ. 外來要素의 語彙論的 機能 = 54

  Ⅵ. 要約 = 55

 제4장 談話

  Ⅰ. 基本的 觀點 = 57

  Ⅱ. 意味 一 形式 一 實體(化) = 58

  Ⅲ. 談話와 文章 = 61

  Ⅳ. 談話의 眞實性 = 63

  Ⅴ. 分析·理解의 纖細度 = 65

  Ⅵ. 語彙素 分類의 一 方法 = 66

  Ⅶ. 實用論 = 69

  Ⅷ. 特殊한 談話 = 72

  Ⅸ. 要約 = 74

제2부 超個人과 個人

 제5장 指示와 表現

  Ⅰ. 階層的 對象의 人間化 = 78

  Ⅱ. 接辭의 意味 = 79

  Ⅲ. 待遇形式의 意味 = 83

  Ⅳ. 表現의 意味 = 85

  Ⅴ. 沈默 = 88

  Ⅵ. 要約 = 93

 제6장 意味解釋과 自然論理

  Ⅰ. 指示關係의 重要性 = 94

  Ⅱ. 指示對象과 記號의 意味 = 95

  Ⅲ. 心理內容의 表現 = 99

  Ⅳ. 指示對象의 意味指定 機能 = 103

  Ⅴ. 要約 = 104

 제7장 發信者의 '選擇'

  Ⅰ. 選擇制限의 問題點 = 106

  Ⅱ. 文 成分의 選擇 = 108

  Ⅲ. 文 類型의 選擇 = 112

  Ⅳ. 敍述語와 論理的關與項 = 115

  Ⅴ. 要約 = 117

 제8장 適格文成分의 '必然'과 '必須'

  Ⅰ. 必然性의 選擇 = 118

  Ⅱ. 意味資質과 選擇 = 121

  Ⅲ. 意味와 狀況에 따른 形式의 選擇 = 125

  Ⅳ. 論理的關與項의 必然性 = 127

  Ⅴ. 要約 = 131

 제9장 言語使用者의 意味對立意識

  Ⅰ. 反意語의 槪念과 調査의 目的 = 133

  Ⅱ. 反應의 分析 = 134

  Ⅲ. 反意意識의 基準 = 145

  Ⅳ. 基準의 分布 = 148

  Ⅴ. 非專門家의 意識과 專門家의 記述 = 150

  Ⅵ. 要約 = 154

제3부 心的態度 表現形式의 選擇

 제10장 待遇의 原理

  Ⅰ. 待遇의 本質 = 158

  Ⅱ. 話階 = 160

  Ⅲ. 時代와 社會 = 163

  Ⅳ. 要約 = 165

 제11장 助詞의 意味

  Ⅰ. 助詞에 대한 하나의 視覺 = 167

  Ⅱ. 日常 言語活動과 助詞 = 167

  Ⅲ. 意味添加形式으로서의 助詞 = 170

  Ⅳ. 意味의 明瞭性과 助詞 = 172

  Ⅴ. 格標識와 心的態度 = 174

  Ⅵ. 要約 = 174

 제12장 敍述終結語尾의 意味

  Ⅰ. 論議의 方向 = 176

  Ⅱ. V-는다 = 178

  Ⅲ. V-었다 = 181

  Ⅳ. V-겠다 = 185

  Ⅴ. V-았었/었었-다 = 189

  Ⅵ. 待遇의 語尾 = 191

  Ⅶ. 要約 = 193

 제13장 對象 指稱 '이, 그, 저'系 語彙素 選擇

  Ⅰ. 指稱 機能 = 195

  Ⅱ. 代用과 指稱 = 197

  Ⅲ. 可視圈內對象의 指稱 = 199

  Ⅳ. 可聽對象의 指稱 = 204

  Ⅴ. 可視圈外 對象의 指稱 = 206

  Ⅵ. 不可聽 對象의 指稱 = 208

  Ⅶ. 像記號 媒介의 指稱 = 209

  Ⅷ. 要約 = 211

제4부 規則과 記述

 제14장 文法의 언저리

  Ⅰ. 發信者 構築物인 文과 文章 = 216

  Ⅱ. 自然言語의 文法과 意味 = 217

  Ⅲ. 言語學習과 先天的 能力 = 221

  Ⅳ. 理想的 言語使用者와 先天的 言語知識 = 223

  Ⅴ. 言語 普遍性 = 225

  Ⅵ. 言語能力의 正體 = 228

  Ⅶ. 適格性과 容認可能性 = 230

  Ⅷ. 要約 = 234

 제15장 規則的인 것과 不規則的인 것

  Ⅰ. 活用 = 235

  Ⅱ. 不變의 規則性 = 237

  Ⅲ. 變化의 規則性 = 242

  Ⅳ. 複數 語幹 = 243

  Ⅴ. 音韻規則과 活用의 規則性 = 246

  Ⅵ. 要約 = 249

 제16장 主要 語彙範疇의 意味論的·統辭論的 層位

  Ⅰ. 各 言語範疇의 特性 = 251

  Ⅱ. 主要 語彙範疇의 意味論的 層位와 그推移 = 256

  Ⅲ. 要約 = 261

 제17장 言語記述의 세 觀點

  Ⅰ. 共時와 通時 = 262

  Ⅱ. 歸納과 演繹 = 267

  Ⅲ. 意味와 形式 = 272

  Ⅳ. 要約 = 276

主要參考文獻 = 279

찾아보기 = 28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