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記號와 記號의 使用
제1장 記號化過程과 記號의 慣習化
Ⅰ. 人間과 言語 = 14
Ⅱ. 記號化의 過程과 恣意的 慣習 = 16
Ⅲ. 有緣性과 恣意性 = 20
Ⅳ. 要約 = 21
제2장 言語의 階層과 單位
Ⅰ. 三階層과 單位 = 23
Ⅱ. 談話單位로서의 適格文 = 24
Ⅲ. 語彙單位로서의 語彙素 = 36
Ⅳ. 要約 = 44
제3장 語彙의 階層的 構造
Ⅰ. 語彙의 性格 = 46
Ⅱ. 語彙素 一 場 一 語彙 = 47
Ⅲ. 語彙素間의 本質的 關係 = 50
Ⅳ. 語彙와 自然範疇 = 53
Ⅴ. 外來要素의 語彙論的 機能 = 54
Ⅵ. 要約 = 55
제4장 談話
Ⅰ. 基本的 觀點 = 57
Ⅱ. 意味 一 形式 一 實體(化) = 58
Ⅲ. 談話와 文章 = 61
Ⅳ. 談話의 眞實性 = 63
Ⅴ. 分析·理解의 纖細度 = 65
Ⅵ. 語彙素 分類의 一 方法 = 66
Ⅶ. 實用論 = 69
Ⅷ. 特殊한 談話 = 72
Ⅸ. 要約 = 74
제2부 超個人과 個人
제5장 指示와 表現
Ⅰ. 階層的 對象의 人間化 = 78
Ⅱ. 接辭의 意味 = 79
Ⅲ. 待遇形式의 意味 = 83
Ⅳ. 表現의 意味 = 85
Ⅴ. 沈默 = 88
Ⅵ. 要約 = 93
제6장 意味解釋과 自然論理
Ⅰ. 指示關係의 重要性 = 94
Ⅱ. 指示對象과 記號의 意味 = 95
Ⅲ. 心理內容의 表現 = 99
Ⅳ. 指示對象의 意味指定 機能 = 103
Ⅴ. 要約 = 104
제7장 發信者의 '選擇'
Ⅰ. 選擇制限의 問題點 = 106
Ⅱ. 文 成分의 選擇 = 108
Ⅲ. 文 類型의 選擇 = 112
Ⅳ. 敍述語와 論理的關與項 = 115
Ⅴ. 要約 = 117
제8장 適格文成分의 '必然'과 '必須'
Ⅰ. 必然性의 選擇 = 118
Ⅱ. 意味資質과 選擇 = 121
Ⅲ. 意味와 狀況에 따른 形式의 選擇 = 125
Ⅳ. 論理的關與項의 必然性 = 127
Ⅴ. 要約 = 131
제9장 言語使用者의 意味對立意識
Ⅰ. 反意語의 槪念과 調査의 目的 = 133
Ⅱ. 反應의 分析 = 134
Ⅲ. 反意意識의 基準 = 145
Ⅳ. 基準의 分布 = 148
Ⅴ. 非專門家의 意識과 專門家의 記述 = 150
Ⅵ. 要約 = 154
제3부 心的態度 表現形式의 選擇
제10장 待遇의 原理
Ⅰ. 待遇의 本質 = 158
Ⅱ. 話階 = 160
Ⅲ. 時代와 社會 = 163
Ⅳ. 要約 = 165
제11장 助詞의 意味
Ⅰ. 助詞에 대한 하나의 視覺 = 167
Ⅱ. 日常 言語活動과 助詞 = 167
Ⅲ. 意味添加形式으로서의 助詞 = 170
Ⅳ. 意味의 明瞭性과 助詞 = 172
Ⅴ. 格標識와 心的態度 = 174
Ⅵ. 要約 = 174
제12장 敍述終結語尾의 意味
Ⅰ. 論議의 方向 = 176
Ⅱ. V-는다 = 178
Ⅲ. V-었다 = 181
Ⅳ. V-겠다 = 185
Ⅴ. V-았었/었었-다 = 189
Ⅵ. 待遇의 語尾 = 191
Ⅶ. 要約 = 193
제13장 對象 指稱 '이, 그, 저'系 語彙素 選擇
Ⅰ. 指稱 機能 = 195
Ⅱ. 代用과 指稱 = 197
Ⅲ. 可視圈內對象의 指稱 = 199
Ⅳ. 可聽對象의 指稱 = 204
Ⅴ. 可視圈外 對象의 指稱 = 206
Ⅵ. 不可聽 對象의 指稱 = 208
Ⅶ. 像記號 媒介의 指稱 = 209
Ⅷ. 要約 = 211
제4부 規則과 記述
제14장 文法의 언저리
Ⅰ. 發信者 構築物인 文과 文章 = 216
Ⅱ. 自然言語의 文法과 意味 = 217
Ⅲ. 言語學習과 先天的 能力 = 221
Ⅳ. 理想的 言語使用者와 先天的 言語知識 = 223
Ⅴ. 言語 普遍性 = 225
Ⅵ. 言語能力의 正體 = 228
Ⅶ. 適格性과 容認可能性 = 230
Ⅷ. 要約 = 234
제15장 規則的인 것과 不規則的인 것
Ⅰ. 活用 = 235
Ⅱ. 不變의 規則性 = 237
Ⅲ. 變化의 規則性 = 242
Ⅳ. 複數 語幹 = 243
Ⅴ. 音韻規則과 活用의 規則性 = 246
Ⅵ. 要約 = 249
제16장 主要 語彙範疇의 意味論的·統辭論的 層位
Ⅰ. 各 言語範疇의 特性 = 251
Ⅱ. 主要 語彙範疇의 意味論的 層位와 그推移 = 256
Ⅲ. 要約 = 261
제17장 言語記述의 세 觀點
Ⅰ. 共時와 通時 = 262
Ⅱ. 歸納과 演繹 = 267
Ⅲ. 意味와 形式 = 272
Ⅳ. 要約 = 276
主要參考文獻 = 279
찾아보기 =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