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自序-서시 = 5
1 호박꽃
콩 삶는 날 = 13
갈옷 = 14
돌하르방 노래 = 15
방아타령 = 16
고향달 = 18
청량산 = 20
청학동 = 22
양파를 벗기며 = 23
항아리1 = 25
항아리2 = 26
어느 4月에 = 27
호박꽃 = 28
특별 특별 = 30
모기1 = 32
모기2 = 33
청개구리 = 34
한낮의 도깨비불로 태어나리라 = 35
타는 것은 사르비아만이 아니다 = 36
자화상 = 38
2 사랑하는 사람과 나의 거리에는
어느 가을에 = 41
선잠 = 42
사랑하는 사람과 나의 거리에는 = 44
노을 = 45
갈대 되어 = 46
난꽃 = 47
바다1 = 48
바다2 = 49
나의 詩 = 50
미풍 = 52
겨울 추자도 = 53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54
나느 아직 칠삭둥이인가봐 = 56
시계1 = 57
시계2 = 58
악몽 = 60
어머님 영전에 = 62
어머니 = 63
3 다시 올 삶을 위하여
삶1 = 67
삶2 = 68
지리산에 부는 바람 = 70
塔 = 72
먹돌1 = 73
먹돌2 = 74
먹돌3 = 75
먹돌4 = 76
여승1 = 77
여승2 = 78
탑 아래 = 79
이 가을에 = 80
山詩 = 81
다시 올 삶을 위하여 = 82
산(山)1 = 83
산(山)2 = 84
달맞이꽃1 = 86
달맞이꽃2 = 87
相思花1 = 88
相思花2 = 89
인연 = 90
해설 토박이 삶으로서의 恨의 극복과 자냥 정신 / 宋秀權(詩人) =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