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동의보감. [2] : 약재편](https://image.aladin.co.kr/product/23/64/cover/8988826272_1.gif)
000 | 00487namccc200181 k 4500 | |
001 | 000001055915 | |
005 | 20100805064905 | |
007 | ta | |
008 | 010206s2000 ulk 000a kor | |
020 | ▼a 8988826272 ▼g 03510 : ▼c \10000 | |
040 | ▼a 244002 ▼c 244002 | |
049 | 0 | ▼l 151091104 ▼l 151091105 |
090 | ▼a 610.95 ▼b 2000g ▼c 2 | |
100 | 1 | ▼a 허창걸 |
245 | 2 0 | ▼a (북한)동의보감. ▼n [2] : ▼p 약재편 / ▼d 허창걸 지음. |
260 | ▼a 서울 : ▼b 창조문화 , ▼c 2000. | |
300 | ▼a 575 p. ; ▼c 23 cm. | |
950 | 0 | ▼b \10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610.95 2000g 2 | 등록번호 1510911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610.95 2000g 2 | 등록번호 1510911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려약재 1,500여종과 고려약 처방전 280종, 고려민간 요법 17가지를 수록한 이 책은 고려약재의 연구와 발전은 물론, 한의학 분야에서 진일보한 북한의 연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원래 북한에서는 동의보감을 고려약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고려약의 활용도는 광범위하여 북한 주민들은 국가가 정한 처방전으로 쉽게 건강을 예방,치료하고 있다.
북한 동의보감은 방대한 분량의 내용을 약재편, 처방전으로 나누어 만들었으며 약재편은 고려약재의 성분과 특징에 대해, 처방편은 북한 주민을 위해 만든 국규처방전과 요법을 수록하였다.북한 주민들은 국규처방전을 한 집에 한 권씩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처방을 하면서 건강에 대비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허창걸(지은이)
1949년 평안북도 구성시 청년동에서 태어났다.어려서부터 약초와 '동의보감'을 손에서 놓지 않았던 허씨는 한약부문에서 북한 최고 명문인 사리원 동양대학에 입학했다. 이후 1989년 3월 중앙당으로부터 제2경제위원회 묘향산 요상소(만수무강 연구소산하 묘향산 요양소의 전신) 약국장으로 발령을 받았다. 그곳에서 전국에서 보내오는 최고급 한약재를 가지고 김일성과 그 가족들이 먹을 건강식품(보약)연구 제조에 전념했다. 그러나 모순된 현실에 점차 회의를 느끼고 이런 사실을 발설한 것이 탄로나 속도전11여단군의소 소장으로 좌천되고 급기야는 1996년 10월 북한체제에 환멸을 느껴 압록강을 건너 제3국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귀순하였다. 귀순후 허씨는 귀순자를 돕는 귀순의사로 소문나 있다. 해외 탈북자 지원 활동에 앞장서고 있고 남한내 탈북자를 무료진료하는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다. 최근 제기동에 "금강산 식품"이란 사무실을 마련하고 활동에 더 큰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고려약의 약성, 성분, 법제 고려약의 약성 = 20 고려약의 성분과 그 작용 = 35 고려약의 법제 = 54 고려약의 금기(꺼림) = 73 제2장 고려약제 보기약 = 76 보양약 = 112 보혈약 = 135 보음약 = 148 이기약 = 161 이혈약 = 178 행혈약 = 178 피멎이약 = 213 열내림약 = 234 해표약 = 235 1. 풍한표증약 = 236 2. 풍열표증약 = 249 서증약 = 264 청열약 = 275 1. 청열사화약 = 275 2. 청열량혈약 = 295 3. 청열조습약 = 306 4. 청열해독약 = 321 설사약 = 348 설사멎이약 및 게움멎이약 = 369 설사멎이약 = 369 게움멎이약 = 379 오즘내기약 = 385 풍습증약 = 416 한증약 = 441 진해화담약 = 459 진해평천약 = 460 화담약 = 476 전정진경약 = 498 진정약 = 498 진경약 = 510 소화약 = 521 구충약 및 살충약 = 527 구충약 = 527 살충약 = 542 외용약 =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