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이성과 권리: 칸트 법철학 연구

이성과 권리: 칸트 법철학 연구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충진
서명 / 저자사항
이성과 권리: 칸트 법철학 연구 / 이충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철학과현실사 ,   2000.  
형태사항
229 p. ; 23 cm.
ISBN
8977752981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주제명(개인명)
Kant, Immanuel  
000 00605namccc200229 k 4500
001 000001055766
005 20100805064736
007 ta
008 010202s2000 ulk 000a kor
020 ▼a 8977752981 ▼g 03130: ▼c \9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91486 ▼l 151091487
082 0 4 ▼a 340.1 ▼2 21
090 ▼a 340.1 ▼b 2000L
100 1 ▼a 이충진
245 1 0 ▼a 이성과 권리: ▼b 칸트 법철학 연구 / ▼d 이충진 지음.
260 ▼a 서울 : ▼b 철학과현실사 , ▼c 2000.
300 ▼a 22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600 1 4 ▼a Kant, Immanuel
950 0 ▼b \9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0L 등록번호 1510914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0L 등록번호 1510914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충진(지은이)

성균관대학교에서 헤겔 철학 연구로 석사학위를, 독일 마부르크대학교에서 칸트 법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성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몇 년 전 한국칸트학회의 회장직을 잠시 맡기도 했다. 주로 서양 근대 법철학과 정치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성과 권리』, 『독일 철학자들과의 대화』, 『세월호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사회철학 이야기』, 『행복 철학』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정언명령 ― 쉽게 읽는 칸트』, 『법이론』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칸트 실천철학의 구조
 1. 실천철학과 도덕형이상학 = 21
 2. 도덕형이상학의 세분화 Ⅰ : 도덕형이상학과 법이론 = 28
 3. 도덕형이상학의 세분화 Ⅱ : 도덕형이상학과 덕이론 = 38
 4. 실천철학의 건축술적 구조 = 44
 참고 문헌 = 49
제2장 법칙과 권리
 1. 칸트 법철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 51
 2. 법칙과 권리 = 57
 3. 이성법적 권리 = 74
 참고 문헌 = 79
제3장 내적 권리와 외적 권리
 1. 내적 권리 : 보편 권리법칙 = 81
 2. 외적 권리 : 법적 이성의 요청 = 86
 3. 권리의 보장 : 보편 의지 = 96
 4. 적용의 문제 : 점유의 오성 개념 = 103
 5. 끝에 = 107
 참고 문헌 = 109
제4장 재산권
 1. 재산권에 관한 오래된 기만? = 110
 2. 칸트의 재산권 이론 = 115
 3. 통합의지와 토지의 공동점유 = 125
 4. 루소와 로크 그리고 칸트 = 132
 5. 끝에 = 136
 참고 문헌 = 138
제5장 사회계약
 1. 자연상태와 시민상태 = 139
 2. 사회계약의 필연성 = 142
 3. 자연법적 사회계약이론과 이성법적 사회계약이론 = 147
 4. 반론과 변론 = 153
 5. 이념으로서의 사회계약 = 158
 참고 문헌 = 165
제6장 국가론 : 하나의 예비적 논의
 1. 논의의 예비적 성격에 관하여 = 167
 2. 자연상태에서 법적 상태로의 이행(§41-§44) = 172
 3. 권력 분립론과 대의제(§45-§52) = 178
 4. 저항권과 처벌권(「일반적 주석」 V 318-338) = 185
 5. 칸트 국가론의 위상에 관하여 = 193
 참고 문헌 = 197
부록 아헨발 : 칸트 법철학의 반면교사
 1. 칸트 시대의 법학·법철학 : 절대군주론과 계몽주의 = 198
 2. 아헨발과 칸트Ⅰ : 칸트의 "스승"으로서의 아헨발 = 205
 3. 아헨발과 칸트Ⅱ : 자연법의 분류 = 212
 4. 아헨발과 칸트Ⅲ : 저항권 = 218
 5. 칸트 법철학의 이해를 위해 적합하지 않은 설명 도식들 = 223
 참고 문헌 = 227
각 단락의 원제목과 논문 발표 학술지 목록 = 22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