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6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1055147 | |
005 | 20100805064114 | |
007 | ta | |
008 | 010115s2000 ulk 000a kor | |
020 | ▼a 8951103870 ▼g 93230: ▼c \11,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9 | 0 | ▼l 151091026 ▼l 151091027 |
082 | 0 4 | ▼a 270.6 ▼2 21 |
090 | ▼a 270.6 ▼b 2000a | |
100 | 1 | ▼a 정승훈 |
245 | 1 0 | ▼a 종교개혁과 칼빈의 영성 / ▼d 정승훈 지음. |
260 | ▼a 서울 : ▼b 대한기독교서회 , ▼c 2000. | |
300 | ▼a 303p. ; ▼c 23cm. | |
500 | ▼a 참고문헌수록 | |
500 | ▼a 부록: 종교개혁과 예배갱신의 전망, 현대 영성신학의 동향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270.6 2000a | 등록번호 1510910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270.6 2000a | 등록번호 1510910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승훈(지은이)
스위스 바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버클리 주립대학 사회학과와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칼뱅과 막스 베버, 바르트 신학을 현상학적 해석학과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했다. 와트버그신학대학과 루터신학대학에서 교수 생활을 거쳐 지금은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PLTS)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시카고신학대학원(LSTC) 석학교수로 있다. 종교학 분야에 기여한 업적으로 인해 대한민국정부가 최초로 해외 우수 인재로 선정했다. 바르트에 관한 저술로는 Karl Barth und Die Hegelsche Linke(Peter Lang, 1994), God's Word in Action(Cascade, 2008), Comparative Theology among Multiple Modernities(Macmillan, 2017), 《종교개혁과 칼빈의 영성》(대한기독교서회, 2000), 《프리드리히 빌헬름 마르크바르트: 아우슈비츠와 이스라엘의 하나님》(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칼 바르트와 동시대성의 신학》(대한기독교서회, 2006), 《칼 바르트 말씀의 신학해설 1》(새물결플러스, 2017), 《칼 바르트와 삼위일체 해설》(동연, 2020), 《공공신학과 학제적 소통이론》(동연, 2021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약어표 = 7 제1장 종교개혁의 영성 = 11 1. 루터의 성령론 = 11 2. 칼빈의 성령론 : 영성과 윤리의 근거 = 16 1) 칼빈의 영성 = 16 2) 칼빈의 윤리 = 22 3. 신비주의 문제 = 25 1) 루터 = 28 2) 칼빈 = 29 제2장 생명과 창조의 하나님 = 35 1. 생태신학과 영성 = 35 1) 성령의 우주적·보편적 차원 = 36 2) 인간 생명의 성령론적 차원 = 39 3) 인간의 삶을 성별하는 영 = 41 2. 성령과 삼위일체 하나님 = 43 3. 성령과 예수 그리스도 = 51 4. 필리오크베 논쟁 = 57 제3장 신비한 연합과 영성 = 67 1. 신비한 연합의 성령 = 67 2. 세례와 성찬 = 74 3. 루터란과 개혁교회의 성만찬 합의 문서 = 88 1) 루터의 성만찬 이해 = 89 2) 루터와 칼빈의 쟁점들 = 92 3) 교회 연합의 일치를 지향하여 = 95 제4장 영성과 은총의 삶 = 100 1. 의인과 성화 = 100 2. 예정과 책임성 = 106 3. 종교개혁과 신화(Theosis) = 112 제5장 영성과 자유의 윤리 = 124 1. 어거스틴 - 스콜라주의 영성과 윤리 = 124 2. 종교개혁과 윤리 = 135 1) 루터 = 138 2) 칼빈 = 140 3. 칼빈과 삶의 윤리 = 141 1) 율법 = 142 2) 제자직의 윤리 = 145 3) 자유의 윤리 = 147 4. 루터의 복음과 자유의 문제 = 150 제6장 교회의 영성과 사회윤리 = 157 1. 경제윤리 = 160 2. 정치윤리 = 168 3. 루터와 해방의 정치윤리 = 172 제7장 해방의 영성과 저항의 윤리 = 179 1. 칼빈과 프랑스 칼빈주의 = 179 2. 칼빈과 저항권 이론 = 184 1) 호트만 = 185 2) 베자 = 187 3) 모네이 = 189 3. 칼빈주의와 합리성 문제 -막스 베버와 루소의 관점에서- = 192 1) 시작하는 글 = 192 2) 막스 베버가 칼빈주의에서 본 것은? = 193 3) 루소와 칼빈주의 = 200 4) 나가는 글 = 204 제8장 결론에 대신하여 : 종교개혁과 교회일치적 유산 = 208 1. 성찬을 둘러싼 논쟁들 = 209 2. 예정과 자유에 관한 논쟁 = 216 3. 나가는 글 = 223 부록 A. 종교개혁과 예배갱신의 전망 = 226 부록 B. 현대 영성신학의 동향 = 262 주 = 282 참고문헌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