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경제학 포럼: 미시경제학

경제학 포럼: 미시경제학 (Loan 6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주한광
Title Statement
경제학 포럼: 미시경제학/ 주한광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栗谷出版社 ,   1999.  
Physical Medium
939 p. : 삽도 ; 23 cm.
ISBN
8985177273
000 00543namccc200205 k 4500
001 000001048993
005 20100805052134
007 ta
008 000703s1999 ulka 000a kor
020 ▼a 8985177273 ▼g 93320: ▼c \23000
040 ▼a 244002 ▼c 244002 ▼d 211009
049 0 ▼l 151082329 ▼l 151082330
082 0 4 ▼a 338.5 ▼2 21
090 ▼a 338.5 ▼b 1999g
100 1 ▼a 주한광
245 1 0 ▼a 경제학 포럼: ▼b 미시경제학/ ▼d 주한광 저.
260 ▼a 서울 : ▼b 栗谷出版社 , ▼c 1999.
300 ▼a 939 p. : ▼b 삽도 ; ▼c 23 cm.
950 0 ▼b \23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1999g Accession No. 1112916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1999g Accession No. 1112916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8.5 1999g Accession No. 1510823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1999g Accession No. 1112916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8.5 1999g Accession No. 1112916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8.5 1999g Accession No. 1510823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주한광(지은이)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경제학사) 미국 콜럼비아대학교 대학원(경제학석사 및 경제학박사) 세종대학교 부설 국제경제연구소 소장 역임 Journal of Economic Integration 편집위원장 역임 PECC(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 연구담당사무국장보 역임 국가고시출제위원(행정고시, 외무고시, 입법고시) 현, 세종대학교 경제통상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경제학으로의 안내

 제1장 경제

  Ⅰ. 경제의 주체·객체, 경제 행위 = 31

   1. 경제의 주체 = 31

   2. 경제의 객체 = 32

   3. 경제행위와 경제 = 32

  Ⅱ. 희소성의 원칙, 기회비용, 생산가능곡선 = 33

   1. 희소성의 원칙 = 33

   2. 선택과 기회비용 = 33

   3. 생산가능곡선 = 33

  Ⅲ. 경제의 기본적 문제와 경제의 평가기준 = 35

   1. 새무얼슨(P. A. Samuelson)이 분류한 경제의 기본적 문제 = 35

   2. 더 넓게 분류한 경제의 기본적 문제와 평가기준 = 35

   3. 경제의 평가기준 = 36

  Ⅳ. 경제체제 = 36

   1. 개념과 분류 = 37

   2.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사회주의 경제체제 = 37

   3. 혼합경제체제 = 37

 제2장 경제학

  Ⅰ. 경제모형 = 39

   1. 경제모형의 의의 = 39

   2. 경제모형의 세 단계 = 39

   3. 경제모형을 세울 때 범하기 쉬운 오류들 = 40

   4. 유량변수와 저량변수 = 42

  Ⅱ. 경제학의 분류 = 42

   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42

   2. 실중경제학과 규범경제학 = 43

   3. 부분균형분석 = 43

   4. 시간과 정태분석·동태분석 = 44

   5. 시간과 단기·장기 이론 = 44

  Ⅲ. 경제학의 표현방법 = 44

 제3장 경제학의 발달

  Ⅰ. 중상주의 = 46

  Ⅱ. 중농주의 = 46

  Ⅲ. 고전학파 = 47

  Ⅳ. 역사학파 = 47

  Ⅴ. Marx학파 = 48

  Ⅵ. 신고전학파 = 49

   1. 신고전학파의 출현배경 = 49

   2. 한계효용학파 = 49

   3. Lausanne학파 = 50

   4. Austria학파 = 50

   5. Cambridge학파 = 50

  Ⅶ. Keynes학파, 통화주의, 불균형거시경제학, 공급중시경제학, 합리적 기대가설과 새고전학파 및 새Keynes학파 = 50

  Ⅷ. 비주류경제학 = 51

   1. 제도학파 = 51

   2. 종속학파 = 51

   3. 신좌파 = 52

  부록: 경제사

   Ⅰ. 자본주의 이전의 사회 = 52

    1. 원시공산사회 = 53.

    2. 고대노예사회 = 53

    3. 중세봉건사회 = 53

   Ⅱ. 자본주의사회 = 54

    1. 상업자본주의 = 54

    2. 산업자본주의 = 54

    3. 독점자본주의 = 55

    4. 수정자본주의 = 55

   Ⅲ. 사회주의사회 = 56

    1. 사회주의사상 = 56

    2. 사회주의국가 = 56

    3. 사회주의 경제체제 = 56

    4.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수정 = 56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57

  응용문제 및 고급문제 = 81

제2편 수요·공급이론과 그 응용

 제4장 수요·공급이론

  Ⅰ. 시장과 가격 = 85

   1. 시장의 개념 = 85

   2. 가격의 종류 = 85

   3. 가격의 기능 = 86

   4. 시장가격기구 = 86

  Ⅱ. 수요와 공급 = 86

   1. 수요·공급의 개념 = 87

   2. 수요 공급의 결정요인들 = 87

   3. 수요함수·공급함수 = 88

   4. 수요곡선·공급곡선 = 88

   5. 수요법칙·공급법칙 = 89

   6. 수요량·공급량의 변화와 수요·공급의 변화 = 90

  Ⅲ. 균형가격의 결정 = 92

   1, 균형과 불균형 = 92

   2. 균형의 존재여부 = 92

   3. 수요·공급의 상호작용에 의한 시장가격의 결정 원리 = 93

   4.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과 마샬의 수요·공급이론 = 94

  Ⅳ. 균형가격(균형)의 변동 = 95

   1. 수요의 증가·감소 = 95

   2. 공급의 증가·감소 = 95

   3. 수요·공급의 동시증가 = 96

  Ⅴ. 균형의 안정성 = 97

   1. 균형의 안정성의 의의 = 97

   2. 왈라스의 가격조정과 균형의 안정성 = 98

   3. 마샬의 수량조정과 균형의 안정성 = 100

  부록: 복합승수

   1. 소비의 상호의존성 = 101

   2. 여러 종류의 상호의존효과 = 102

 제5장 수요·공급의 탄력성

  Ⅰ. 탄력성 의 개념 = 103

   1. 함수, 독립변수, 종속변수 = 103

   2. 탄력성 = 104

   3. 수요·공급이론에서의 탄력성의 종류 = 104

  Ⅱ. 수요·공급의 가격탄력성 = 105

   1. 가격탄력성의 정의 = 105

   2. 호탄력성 = 105

   3. 점탄력성 = 106

   4. 수요·공급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들 = 109

   5.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거래액 = 111

  Ⅲ. 수요의 교차탄력성 = 113

  Ⅳ. 수요의 소득탄력성 = 113

 제6장 수요·공급이론의 응용

  Ⅰ.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114

   1. 소비자·생산자 잉여의 개념 = 114

   2. 소비자·생산자 잉여의 원천 = 115

  Ⅱ. 조세와 보조금 = 116

   1. 조세부담·보조금혜택의 귀착 = 116

   2. 특수한 경우의 조세부담·보조금혜택의 귀착 = 117

   3. 조세와 보조금에 따른 사회후생 변동 = 118

   4. 조세와 보조금 실시 이유 = 119

  Ⅲ. 가격규제 = 120

   1. 가격규제의 개념과 효과 = 120

   2. 가격규제와 사회후생 변동 = 121

   3. 가격규제 실시 이유 = 121

   4. 노동시장의 최저임금제 = 121

  Ⅳ. 농산물가격의 불안정과 가격안정화 = 122

   1. 농산물가격 파동과 농가소득 불안정 = 122

   2. 거미집 이론 = 123

   3. 가격안정화 정책 = 125

  부록: 정부의 시장에 대한 개입

   1. 정부의 경제적 역할 = 125

   2. 정부의 경제정책과 규제 = 126

   3. 규제의 종류 = 127

   4. 바람직한 규제완화 = 128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129

 응용문제 및 고급문제 = 190

제3편 소비자 선택

 제7장 한계효용이론

  Ⅰ. 소비 이론의 기초 = 203

   1. 효용 = 203

   2. 소비자 선택 = 204

   3. 소비자 선택이론 = 204

  Ⅱ. 효용함수와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205

  Ⅲ. 소비자 선택 = 206

   1. 효용극대화조건 = 206

   2. 소비조정에 의한 효용극대화 = 208

  Ⅳ.수요법칙(우하향 수요곡선) 도출 = 209

   1. 가중한계효용균등의 법칙·한계효용체감의 법칙에 의한 수요법칙 도출 = 209

   2. 가중한계효용균등의 법칙·화폐의 한계효용에 의한 수요법칙 도출 = 209

  Ⅴ. 가치의 역설에 대한 해명 = 210

   1. A. Smith의 가치의 역설 = 210

   2. 한계효용이론에 의한 해명 = 211

  Ⅵ. 한계효용이론의 의의·문제점 = 211

  부록: 수요함수의 수학적 도출 = 212

 제8장 무차별곡선이론

  Ⅰ. 무차별곡선이론의 의의와 기본가정 = 213

  Ⅱ. 무차별곡선 = 214

   1. 개념 = 215

   2. 일반적인 무차별곡선의 특징 = 216

   3. 한계대체율과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 = 217

   4. 한계효용이론과 무차별곡선이론 = 218

   5. 여러 형태의 특수한 무차별곡선·무차별지도 = 220

  Ⅲ. 예산선 = 221

   1. 예산선의 개념 = 221

   2. 특수한 경우의 예산선 = 222

   3. 예산선의 이동 = 223

  Ⅳ. 소비자 선택 = 224

   1. 효용극대화 조건 = 224

   2. 한계효용이론과 무차별곡선이론 = 224

   3. 소비조정에 의한 효용극대화 = 225

   4. 특수한 경우의 소비자선택 = 226

  Ⅴ. 소비자선택의 변동과 수요곡선 도출 = 228

   1. 소득효과와 소득소비곡선, 엥겔곡선 = 229

   2. 대체효과 = 231

   3. 가격효과와 가격소비곡선 = 232

   4. 수요곡선 도출 = 235

  Ⅵ. 여가수요와 노동공급 = 236

   1. 기본개념 = 236

   2. 무차별곡선 = 237

   3. 예산선 = 237

   4. 여가수요량·노동공급량 결정 = 238

   5. 노동공급곡선 도출 = 238

   6. 근로소득세 인하와 노동공급 = 240

  Ⅶ. 사회보장제도 비교 = 240

   1. 보조의 유형과 예산선 변화 = 240

   2. 현금보조와 현물보조 비교 = 241

   3. 현금보조와 가격보조 비교 = 241

  부록

   1. 소득변동에 대응한 보상, 보상효과, 보상수요곡선 = 242

   2. 사회보장제도 = 244

   3. 소득세와 물품세 비교 = 245

 제9장 현시선호이론

  Ⅰ. 현시선호이론의 의의·기본가정 = 246

  Ⅱ. 직접적·간접적 현시선호와 약공리·강공리 = 247

   1. 예산선 = 247

   2. 직접적·간접적 현시선호 = 247

   3. 약공리·강공리 = 248

   4. 약공리를 충족하는 경우들 = 248

  Ⅲ. 무차별곡선의 도출 = 250

   1. 제1단계 = 251

   2. 제2단계 = 251

   3. 계속되는 단계들 = 251

  Ⅳ. 수요곡선의 도출 = 251

   1. 가격효과, 대체효과 = 251

   2. 재화의 종류와 가격효과, 대체효과, 소득효과 = 252

   3. 개별수요곡선 도출 = 252

  Ⅴ. 수량지수 = 253

   1. 지수 = 253

   2. 수량지수 = 253

  부록

   1. 물가지수와 소득지수 = 255

   2. 물가지수·소득지수와 후생수준의 변화 = 255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256

 응용문제 및 고급문제 = 311

제4편 생산자 선택: 공급곡선·공급고선·공급점 도출을 위안 기초

 제10장 생산함수

  Ⅰ. 생산이론의 기초 = 320

   1. 생산과 생산요소 = 320

   2. 기업-생산의 주체 = 321

   3. 생산이론에서의 기간 = 321

  Ⅱ. 단기생산함수 = 322

   1. 단기생산함수와 (궁극적인) 한계생산물체감의 법칙 = 322

   2. 한계생산물 체감의 법칙의 여러 이름 = 323

   3. 단기 생산물곡선 그리기 = 324

   4. 한계생산물과 평균생산물의 관계 = 324

   5. 생산의 3단계와 경제적 영역 = 325

   6. 단기생산함수의 변동 = 325

  Ⅲ. 장기생산함수 = 325

   1. 장기생산함수와 등생산량곡선 = 325

   2. 일반적인 등생산량곡선의 특징 = 326

   3. 한계기술대체율과 한계기술대체율 체감의 법칙 = 327

   4. 특수한 형태의 등생산량곡선·등생산량지도 = 327

   5. 등비용선, 등생산량곡선·등비용선에 의한 생산자 선택 = 328

  Ⅳ. 장기생산함수와 규모에 대한 수확 = 328

   1. 규모에 대한 수확 = 328

   2. 규모에 대한 수확의 여러 이름 = 329

   3. 그림으로 나타낸 규모에 대한 수확 = 329

   4. 수식으로 나타낸 규모에 대한 수확 = 331

  Ⅴ. 여러가지 생산함수 = 331

  Ⅵ. 기술진보 = 332

 제11장 비용함수

  Ⅰ. 비용이론의 기초 = 333

   1. 경제학적(경제적) 비용 = 333

   2. 여러 종류의 비용 개념 = 334

  Ⅱ. 단기비용함수 = 334

   1. 단기비용함수와 (궁극적인) 한계비용체증의 법칙 = 335

   2. 단기비용곡선 그리기 = 336

   3. 한계비용과 평균비용의 관계 = 336

   4. 단기생산물곡선들과 단기비용곡선들의 관계 = 337

  Ⅲ. 목표생산량과 비용극소화 = 337

   1. 등비용선 = 337

   2. 비용극소화를 위한 생산자선택 = 338

   3. 생산자선택의 변동 = 340

   4. 요소의 대체효과 = 341

  Ⅳ. 장기비용함수 = 343

   1. 장기비용함수의 개념 = 343

   2. 장기비용곡선의 도출 = 344

   3. 장기평균비용과 적정시설규모, 최적시설규모, 최소효율규모 = 345

  Ⅴ. 장기비용함수와 규모에 대한 수확 = 347

  부록

   1. 콥-더글라스 생산함수 = 349

   2. 1차동차 콥-더글라스 생산함수 = 350

   3. CES(constant elasticity of substitution: 고정대체탄력성)생산함수 = 353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355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393

제5편 생산물 시장형태

 제12장 생산물 시장형태와 수입함수, 이윤극대화

  Ⅰ. 생산자선택과 수입 및 생산물 시장형태 = 399

   1. 소비자선택과 생산자선택 = 399

   2. 생산자선택과 비용·수입 = 399

  Ⅱ. 생산물 시장형태 = 400

   1. 시장형태를 결정하는 근본원인 = 400

   2. 시장형태의 종류와 특징 = 401

  Ⅲ. 수입함수 = 402

   1. 수입함수의 개념 = 402

   2. 시장형태별 수요곡선 = 403

   3. 완전경쟁기업과 불완전경쟁기업의 수입함수 수입곡선 = 404

   4. 수입곡선 그리기 = 405

   5. 한계수입, 평균수입, 수요의 가격탄력성 = 405

  Ⅳ. 이윤극대화를 위한 생산자선택 = 406

   1. 이윤극대화 조건 = 406

   2. 생산조정에 의한 이윤극대화 = 407

 제13장 완전경쟁

  Ⅰ. 단기의 완전경쟁기업·산업(시장)의 선택 = 408

   1. 주어진 시장가격 아래서의 이윤극대화 기업의 선택·공급량 = 408

   2. 매개변수로 주어지는 여러 시장가격 아래서의 기업의 선택·공급량 = 408

   3. 단기균형의 특징 = 410

   4.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공급곡선 = 410

   5. 주어진 가격 아래서의 여러 완전경쟁기업들 = 410

   6. 완전경쟁시장(산업)의 단기공급곡선 = 410

  Ⅱ.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과 그 변동 = 411

  Ⅲ. 장기의 완전경쟁기업·산업(시장)의 선택 = 411

   1. 장기조정 = 411

   2. 장기균형의 특징 = 413

   3. 완전경쟁기업의 장기공급곡선 = 413

   4. 완전경쟁시장(산업)의 장기공급곡선 = 415

  Ⅳ.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과 그 변동 = 416

  Ⅴ. 완전경쟁과 자원배분의 효율성 = 418

   1. 자원배분의 효율성 = 418

   2. 완전경쟁시장의 한계 = 418

 제14장 독점

  Ⅰ. 기초개념 = 419

  Ⅱ. 단기의 독점기업의 선택 = 420

   1. 주어진 시장수요 아래서의 이윤극대화 독점기업의 선택 = 420

   2. 시장수요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초과이윤·정상이윤·손실 = 420

   3. 독점기업의 단기균형(공급점)의 특징 = 421

  Ⅲ. 독점시장 단기균형의 변동 = 423

   1. 수요증가 = 423

   2. 비용증가 = 423

  Ⅳ. 장기의 독점기업의 선택 = 424

   1. 장기조정 = 424

   2. 장기균형의 특징 = 424

  Ⅴ. 독점시장 장기균형의 변동 = 425

   1. 시장수요증가 = 425

   2. 비용증가 = 425

  Ⅵ. 독점과 가격차별 = 426

   1. 개념과 종류 = 426

   2. 일반적인 가격차별 = 427

   3. 가격차별의 의의 = 429

  Ⅶ. 다공장 독점기업 = 430

   1. 개념 = 430

   2. 이윤극대화조건 = 430

   3. 그림에 의한 다공장독점기업의 가격·생산량 결정 = 431

  Ⅷ. 독점의 경제적 효과 = 431

   1.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 431

   2. X-비효율성 = 434

   3. 소득분배의 형평성과 경제력 집중 = 434

   4. 기술혁신 = 435

  Ⅸ. 독점에 대한 규제 = 435

   1. 조세를 통한 규제 = 435

   2. 가격규제 = 436

 제15장 독점적 경쟁

  Ⅰ. 단기의 독점적 경쟁기업의 차별화된 개별시장에서의 선택 = 439

   1. 주어진 국지시장수요 아래서의 이윤극대화 기업의 선택 = 439

   2. 주어진 비용함수(생산비용여건) 아래서 개별시장수요의 크기에 따른 초과이윤·정상이윤·손실 = 440

   3. 독점적 경쟁기업의 단기균형의 특징 = 441

  Ⅱ. 독점적 경쟁시장 단기균형의 변동 = 441

  Ⅲ. 장기의 독점적 경쟁기업의 선택 = 441

   1. 장기조정 = 442

   2. 장기균형의 특징 = 442

  Ⅳ. 독점적 경쟁시장 장기균형의 변동 = 442

  Ⅴ. 독점적 경쟁과 가격차별 = 443

  Ⅵ. 독점적 경쟁의 경제적 효과 = 443

   1. 상품차별화 = 443

   2.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 443

   3. 과잉설비 = 443

   4. 비가격경쟁과 광고 = 443

 제16장 과점

  Ⅰ. 과점의 발생원인과 여러 이론 = 444

   1. 발생원인 = 444

   2. 과점에 대한 여러 이론 = 444

  Ⅱ. 굴절 수요곡선 모형 = 445

   1. 의의와 가정 = 445

   2. 굴절수요곡선과 균형 = 445

   3. 문제점 = 446

  Ⅲ. 꾸르노모형 = 447

   1. 의의와 가정 = 447

   2. 반응곡선과 균형공급량 = 447

   3. 가격설정 = 448

   4. 균형의 변동 = 448

   5. 완전경쟁·독점·과점(꾸르노모형)의 비교 = 449

  Ⅳ. 게임이론 = 449

   1. 게임이론의 개요 = 449

   2. 게임의 균형 = 450

   3. 우월전략균형 = 451

   4. 내시균형 = 453

  Ⅴ. 가격선도의 이론 = 455

   1. 개요 = 455

   2. 대기업에 의한 가격선도 = 456

   3. 효율적 기업에 의한 가격선도 = 457

  Ⅵ. 카르텔의 이론: 완전한 담합 = 458

   1. 개요 = 458

   2. 카르텔의 이윤극대화 = 458

   3. 카르텔의 불안전성 = 459

  부록

   1. 진입저지가격 이론 = 460

   2. 전비용원리 = 460

   3. 유효경쟁 이론 = 461

   4. 경합시장 이론 = 461

 제17장 산업, 산업조직. 산업구조, 산업정책

  Ⅰ. 기본개념 = 462

  Ⅱ. 산업조직 = 462

   1. 시장집중지수 = 462

   2. 우리나라 제조업부문의 산업조직 = 463

  Ⅲ. 산업구조 = 464

   1. 산업구조 = 464

   2. 산업구조의 변화 = 466

   3. 우리나라의 산업구조 변화 = 467

  Ⅳ. 산업정책 = 468

   1. 산업정책의 개념과 종류 = 468

   2. 공정거래법과 산업조직정책 = 468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470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546

제6편 생산요소시장

 제18장 생산요소의 가격과 거래량

  Ⅰ. 기본적 개념 = 557

   1. 생산물시장이론을 응용한 생산요소시장이론의 전개 = 557

   2. 파생수요 = 558

   3. 생산요소시장과 생산물시장의 여러 형태 = 559

  Ⅱ. 생산요소시장의 수요자·공급자 선택 = 560

  Ⅲ. 생산요소시장의 수요자(기업) 선택 = 561

   1. 한계수입생산물 = 561

   1'. 한계생산물가치 = 562

   2. 한계요소비용 = 562

   2'. 평균요소비용 = 563

   3. 요소비용곡선 그리기 = 563

   4. 이윤극대화를 위한 요소수요자(기업)의 선택 = 564

  Ⅳ. 생산요소시장의 공급자(가계) 선택 = 565

   1. 요소공급의 한계수입 = 565

   2. 요소공급의 한계비용 = 565

   3. 순편익극대화를 위한 요소공급자(가계)의 선택 = 566

  Ⅴ. 완전경쟁 생산물·완전경쟁 요소시장과 요소시장 균형 = 566

   1. 특징 = 566

   2. 주어진 생산요소가격 아래서 개별요소수요량·개별요소공급량 = 567

   3. 매개변수로 주어지는 여러 요소가격 아래서의 개별요소수요량·공급량 = 568

   4. 시장요소수요·시장요소공급과 균형 = 568

  Ⅵ. 불완전경쟁 생산물·완전경쟁 요소시장과 요소시장 균형 = 569

  Ⅶ. 완전경쟁 생산물·수요독점 요소시장과 요소시장 균형 = 570

  Ⅷ. 공급독점 생산물·수요독점 요소시장과 요소시장 균형 = 571

  Ⅸ. 완전경쟁 또는 불완전경쟁 생산물 공급독점 요소시장과 요소시장 균형 = 572

  Ⅹ. 완전경쟁 또는 불완전경쟁 생산물·쌍방독점 요소시장과 요소시장 균형 = 573

  부록

   1. 생산요소의 수요·공급의 가격탄력성 = 576

   2. 요소소득 = 577

   3. 생산요소의 수요자잉여·공급자잉여 = 578

   4. 소득세 부과와 보조금 지급 = 578

   5. 가격규제 = 578

   6. 불완경쟁시장에서의 최저임금제도 = 579

 제19장 토지·임대토지와 지대

  Ⅰ. 기본개념 = 580

  Ⅱ. 지대의 결정 = 581

   1. 일반적인 경우 = 581

   2. 극단적인 경우 = 581

  Ⅲ. 여러 종류의 지대 = 581

   1. 경제지대와 전용수입 = 582

   2. 준지대 = 586

   3. 경제지대와 준지대의 비교 = 587

  Ⅳ. 지대에 대한 전통적 이론 = 587

 제20장 노동과 임금

  Ⅰ. 기본개념 = 588

  Ⅱ. 임금의 결정 = 588

  Ⅲ. 최저임금규제 = 589

  Ⅳ. 노동조합 = 589

  Ⅴ. 임금격차의 원인 = 590

  Ⅵ. 임금과 물가 사이의 관계 = 591

  Ⅶ. 여러 종류의 임금 이론 = 591

   1. 현대적 이론 = 591

   2. 전통적 이론 = 591

   3. 노동가치설과 인적자본론 = 592

 제21장 자본·자본서비스와 가격·거래량

  Ⅰ. 기본개념 = 593

   1. 생산물·생산요소의 분류와 자본의 여러 개념 = 593

   2. 화폐자본과 실물자본 = 594

   3. 이자율의 개념과 종류 = 594

  Ⅱ. 자본서비스의 수요·공급과 가격 거래량 = 595

  Ⅲ. 자본재(투자재)의 수요·공급[투자·저축]과 가격·거래량 = 596

   1. 자본재의 수요-투자수요 = 596

   2. 자본재의 공급-저축 = 597

   3. 실질이자율의 결정 = 600

  Ⅳ. 내구소비재와 인적 자본에 대한 소비자 선택 = 600

   1. 비내구재와 내구재 = 600

   2. 내구소비재(자동차)의 현재가치 = 601

   3.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의 현재가치 = 602

  Ⅴ. 여러 종류의 이자율 이론 = 602

   1. 현대적 이론 = 602

   2. 전통적 이론 = 603

 제22장 기업가 능력과 이윤

  Ⅰ. 기본개념 = 604

  Ⅱ. 여러 종류의 이윤 이론 = 605

 제23장 소득분배

  Ⅰ. 기능별 소득분배 = 606

   1. 개념 = 606

   2. 완전분배의 정리 = 607

   3. 한계생산물을 이용한 분석 = 608

  Ⅱ. 계층별 소득분배 = 609

   1. 십분위 분배율 = 609

   2. 로렌츠곡선 = 609

   3. 지니계수 = 610

   4. 앳킨슨지수 = 611

   5. 쿠즈네츠의 U자 가설 = 612

  Ⅲ. 소득불평등의 발생원인과 재분배 = 613

   1. 소득불평등의 발생원인 = 613

   2. 부와 소득의 재분배 = 613

   3. 소득재분배와 소득가능곡선 = 614

  부록: 기능별 소득분배와 요소의 대체탄력성 = 616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617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663

제7편 파레토효율성, 후생경제학, 시장과 정부, 정보경제학

 제24장 일반균형분석

  Ⅰ.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 673

  Ⅱ. 일반균형분석의 발전 = 674

  Ⅲ. 왈라스법칙 = 675

  부록: 산업 연관분석

   Ⅰ. 산업연관분석의 의의와 발전 = 676

   Ⅱ. 투입산출표 = 677

    1. 행 = 677

    2. 열 = 677

    3. 투입산출표 = 678

    4. 투입계수 = 678

    5. 역행렬계수 = 679

   Ⅲ. 산업연관분석의 용도와 문제점 = 680

 제25장 파레토효율성

  Ⅰ. 파레토효율성: 개요 = 681

   1. 미시경제학의 주요 평가기준 = 681

   2. 파레토효율성(파레토최적) = 682

  Ⅱ. 교환(소비)의 파레토효율성 = 683

  Ⅲ. 생산의 파레토효율성 = 685

  Ⅳ. 생산가능곡선 = 687

   1. 생산가능곡선과 한계전환율 = 687

   2. 여러 형태의 생산가능곡선 = 688

   3. 생산물의 상대가격이 주어지는 경우의 생산자선택 = 689

  Ⅴ. 생산물구성의 파레토효율성 = 689

   1. 생산물구성의 파레토효율성 = 689

   2. MRS_XY=MRT_XY의 의미 = 690

   3. 생산물구성의 파레토효율성을 달성하는 두 상황 비교 = 691

  Ⅵ. 완전경쟁과 파레토효율성 = 692

   1. 후생경제학 = 693

   2. 후생경제학의 제1정리 = 693

   3. 후생경제학의 제2정리 = 695

 제26장 후생경제학과 사회후생함수

  Ⅰ. 후생경제학 = 697

  Ⅱ. 효용측면의 사회후생함수와 사회후생극대화 = 699

   1. 대효용가능곡선 = 699

   2. 효용측면의 사회후생함수 = 701

   3. 사회후생의 극대화 = 704

   4. 사회후생의 개선 = 704

  Ⅲ. 소득측면의 사회후생함수와 사회후생극대화를 위한 소득재분배 = 705

  Ⅳ. 생산·소비측면의 사회후생함수와 사회후생극대화 = 705

  Ⅴ. 사회후생함수·사회후생극대화에 대한 세 종류의 접근방법 비교 = 706

  Ⅵ. 차선의 이론 = 707

  Ⅶ. 사회후생함수에 대한 애로의 불가능성정리 = 708

  부록: 사회후생함수와 투표

   1. 다수결투표의 모순 = 709

   2. 다수결투표 모순의 해결 = 711

   3. 다수결투표와 만장일치제도 = 712

 제27장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개입

  Ⅰ. 시장실패(market failure)의 개념과 원인 = 713

  Ⅱ. 가격경직성·불완전경쟁 = 714

  Ⅲ. 외부성 = 714

   1 외부성의 개념과 분류 = 714

   2. 생산의 외부경제·외부불경제 = 715

   3. 소비의 외부경제·외부불경제 = 716

  Ⅳ. 공공재 = 717

   1. 공공재의 개념 = 717

   2. 공공재의 특성 및 분류 = 717

   3. 공공재와 관련된 문제 = 718

   4. 사적재(사용재)와 비교한 공공재의 적정공급 = 718

  Ⅴ. 환경오염과 환경경제학 = 720

   1. 적정 환경정화수준 = 720

   2. 환경오염(외부불경제)의 해결방안 = 721

   3. 환경오염에 대한 정부의 직접규제 = 722

   4. 환경오염에 대한 조세부과·부담금부과 = 722

   5. 환경오염(배출)권 시장개설 = 723

   6. 합병 = 724

   7. 협상에 의한 해결 = 724

  Ⅵ. 불확실성 = 724

  Ⅶ. 정부의 개입과 정부의 실패 = 725

   1. 시장의 실패에 대응한 정부의 개입수단 = 725

   2. 정부의 실패 = 725

  Ⅷ. 공공선택이론 = 726

  부록: 공공경제

   Ⅰ. 공공경제 = 727

    1. 공공경제(재정)의 개념 = 727

    2. 공공경제의 특징 = 728

    3. 공공경제(재정)의 주요 기능 = 728

   Ⅱ. 공공경제학(재정학)의 변천 = 728

    1. 고전학파의 재정학 = 728

    2. '사회시대'와 A.Wagner의 재정학 = 729

    3. 현대의 재정학 = 729

    4. 현대의 재정학에 대한 비판 = 730

   Ⅲ. 조세 = 731

    1. 조세의 개념 = 731

    2. 조세의 3 요소 = 731

    3. 조세부과의 근거 = 731

    4. 조세의 원칙 = 732

   Ⅳ. 조세의 분류 = 732

 제28장 불확실성과 정보경제학

  Ⅰ. 불확실성·위험 = 734

  Ⅱ. 기대효용이론 = 735

   1. 기대효용이론의 개요 = 735

   2. 그림과 숫자로 살펴보는 기대소득과 기대효용 = 735

   3. 효용함수의 형태와 위험에 대한 태도 = 736

   4. 확실성 등가, 위험프리미엄 = 739

   5. 위험에 대한 태도와 확실성 등가, 위험프리미엄 = 740

  Ⅲ. 기대효용이론과 보험시장 = 740

   1. 보험시장 = 740

   2. 기대소득과 기대효용 = 741

  Ⅳ. 정보의 비대칭성 = 742

  Ⅴ. 역선택 = 743

  Ⅵ. 역선택의 해결방안 = 744

   1. 정보를 갖지 못한 측과 가진 측 = 744

   2. 정부의 정보정책 = 744

  Ⅶ. 도덕적 해이 = 745

  Ⅷ. 도덕적 해이(주인-대리인 문제)의 해결방안 = 746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747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833

제8편 국제무역

 제29장 국제무역이론

  Ⅰ. 개방경제의 의의 = 853

   1. 경제개방도 = 853

   2. 무역의 이득 = 854

   3. 국제경쟁력 = 857

  Ⅱ. 국제무역론의 전개 = 858

  Ⅲ. 절대우위론 = 859

   1. 절대우위론의 내용 = 859

   2. 절대우위론의 의의 = 859

   3. 절대우위론의 한계 = 860

  Ⅳ. 비교우위론Ⅰ = 860

   1. 비교우위론Ⅰ의 내용 = 860

   2. 생산가능곡선 그리기 = 861

   3. 그림으로 나타낸 비교우위론Ⅰ = 861

   4. 비교우위론Ⅰ의 검증과 한계 = 862

  Ⅴ. 비교우위론Ⅱ = 863

   1. 비교우위론Ⅱ의 내용 = 863

   2. 그림으로 나타낸 헥셔-올린 정리 = 864

   3. 헥셔-올린 정리의 검증과 레온티에프 역설 = 865

  Ⅵ. 비교우위론의 의의 = 866

   1. 비교우위론의 문제점 = 866

   2. 동태적 비교우위를 향하여 = 867

  Ⅶ. 기술관련 무역이론 및 대표수요이론 = 867

   1. 기술 갭(격차)설 = 867

   2.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설 = 868

   3. 대표수요설 = 869

  Ⅷ. 불완전경쟁 무역이론 = 869

   1. 독점과 무역 = 869

   2. 규모의 경제와 무역 = 869

   3. 독점적 경쟁과 국제무역 = 870

   4. 산업간 무역과 산업내 무역 = 870

  Ⅸ. 교역조건 = 871

  Ⅹ. 무역의 균형과 오퍼곡선 = 872

   1. 무역의 균형과 오퍼곡선 = 872

   2. 오퍼곡선의 도출 = 872

   3. 수식으로 나타낸 무역균형의 안정성-마샬-러너조건 = 873

   4. 오퍼곡선에 의한 무역균형 = 874

   5. 무역균형의 안정성 = 874

  ⅩⅠ. 궁핍화 성장 = 875

   1. 궁핍화 성장 = 875

   2. 그림에 의한 설명 = 876

  부록

   Ⅰ. 헥셔-올린 이론의 나머지 세 정리 = 877

    1. Rybczynski정리 = 877

    2. 요소가격균등화정리 = 877

    3. Stolper-Samuelson정리 = 878

   Ⅱ. 경제성장과 생산가능곡선 = 878

   Ⅲ. 완전경쟁 아래서의 개방경제의 파레토효율성 = 879

 제30장 국제무역정책

  Ⅰ.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 880

   1.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의 비교 = 880

   2. 유치산업보호론 = 880

   3. 보호산업의 선정 = 881

   4. 신보호무역주의 = 882

  Ⅱ. 관세 = 882

   1. 관세의 종류 = 882

   2. 관세의 효과 = 883

   3. 실효보호율 = 884

  Ⅲ. 비관세장벽 = 884

  Ⅳ. GATT와 UR 및 WTO = 886

   1. 성립 = 886

   2. 주요원칙 = 886

   3. 여덟 차례의 다자간 무역협상 = 887

   4. 우루과이라운드(UR)와 WTO = 887

   5. 앞으로 예상되는 의제 = 888

  Ⅴ. 남북문제와 UNCTAD = 888

   1. 남북문제 = 889

   2. UNCTAD = 889

  Ⅵ. 신국제경제질서 = 890

   1. 의의 = 890

   2. 주요내용 = 890

  Ⅶ. 신보호무역주의 = 890

   1. 신보호무역주의의 배경 = 890

   2. 신보호무역주의의 특징 = 891

  Ⅷ. 경제협력개발기구 = 891

  Ⅸ. 경제통합 = 892

   1. 경제통합의 단계와 종류 = 892

   2. 경제통합의 효과 = 892

   3. 경제통합의 사례 = 893

  부록

   1. 관세의 효과 = 894

   2. 메츨러(Melzler) 역설 = 894

   3. 최적관세 = 895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894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93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Potter, Robert B. (2023)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