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심리학의 성격
1. 심리학의 정의 = 2
2. 심리학의 역사 = 3
Ⅰ. 구조주의 = 3
Ⅱ. 기능주의 = 5
Ⅲ. 행동주의 = 6
Ⅳ. 형태주의 = 8
Ⅴ. 정신분석학 = 10
Ⅵ. 최근의 심리학 = 13
3. 심리학의 연구방법 = 15
Ⅰ. 실험법 = 16
Ⅱ. 관찰법 = 18
Ⅲ. 조사 및 검사법 = 19
Ⅳ. 임상법 및 사례연구법 = 20
4. 심리학의 분야 = 21
제2장 발달
1. 발달의 의의 = 26
Ⅰ. 발달의 개념 = 26
Ⅱ. 발달의 원리 = 26
Ⅲ. 발달에 관련된 이론들 = 31
Ⅳ. 발달연구의 접근방법 = 36
2. 신체 및 운동능력의 발달 = 38
Ⅰ. 신체발달 = 38
Ⅱ. 신체의 각 기관의 발달 = 40
Ⅲ. 운동기능의 발달 = 41
3. 인지발달 = 43
Ⅰ. 지각발달 = 44
Ⅱ. 기억발달 = 49
Ⅲ. 언어발달 = 49
Ⅳ.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51
4. 사회성 발달 = 60
Ⅰ. 애착 = 60
Ⅱ. 부모의 양육방식 = 64
Ⅲ. 또래집단 = 65
Ⅳ. 학교교육 = 66
Ⅴ. 기타의 요인 = 67
5. 도덕성 발달 = 67
Ⅰ. Freud의 정신분석이론 = 68
Ⅱ. 사회학습이론 = 68
Ⅲ. 인지발달이론 = 69
제3장 학습
1. 학습의 정의 = 76
2. 조건형성과 학습원리 = 77
Ⅰ. 고전적 조건형성 = 77
Ⅱ. 조작적 조건형성 = 85
Ⅲ. 인지학습 = 102
제4장 정서
1. 정서의 특징 = 110
Ⅰ. 정서는 개인마다 차이가 난다 = 110
Ⅱ. 정서는 신체변화를 가져온다 = 111
Ⅲ. 정서에는 강도가 있다 = 115
2. 정서의 종류 = 117
Ⅰ. 쾌정서 = 117
Ⅱ. 공포정서 = 118
Ⅲ. 불안정서 = 118
Ⅳ. 분노정서 = 119
Ⅴ. 사랑 = 119
3. 정서이론 = 121
Ⅰ. James - Lange이론 = 121
Ⅱ. Cannon - Bard이론 = 122
Ⅲ. Schachter의 인지이론 = 124
제5장 동기
1. 동기의 본질 = 128
2. 동기개념의 변천과정 = 130
3. 동기의 유형 = 131
Ⅰ. 생리적 동기 = 131
Ⅱ. 학습된 동기 = 147
제6장 지능
1. 지능의 정의 = 157
2. 지능의 구성요인설 = 159
Ⅰ. Spearman의 2요인설 = 159
Ⅱ. Thorndike의 다요인설 = 161
Ⅲ. Thurstone의 다요인설 = 161
Ⅳ. Guilford의 지능구조설 = 162
3. 지능의 양극단 = 164
Ⅰ. 정신지체 = 164
Ⅱ. 천재 = 166
4. 지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67
Ⅰ. 유전 = 168
Ⅱ. 환경 = 171
Ⅲ. 연령 = 174
Ⅳ. 성차 = 175
5. 창조성 = 176
Ⅰ. 창조성의 개념 = 176
Ⅱ. 창조적인 사람의 특성 = 177
Ⅲ. 지능과 창조성과의 관계 = 178
Ⅳ. 창조성 검사 = 179
6. 지능검사의 문제점 = 179
제7장 기억
1. 기억과정 = 183
Ⅰ. 약호화 = 183
Ⅱ. 저장 = 184
Ⅲ. 인출 = 185
2. 기억유형 = 186
Ⅰ. 감각기억 = 186
Ⅱ. 단기기억 = 187
Ⅲ. 장기기억 = 188
3. 단기기억과 장기기억과의 관계 = 190
Ⅰ. 뇌손상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의 기억장애의 증거 = 191
Ⅱ. 자유회상 실험의 증거 = 192
Ⅲ. 이중기억모형을 반대하는 증거 : 정보처리모형 = 193
4. 망각 = 194
Ⅰ. 기억흔적의 쇠퇴 = 196
Ⅱ. 간섭 = 197
Ⅲ. 인출단서의 변화 = 199
Ⅳ. 동기화된 망각 = 199
5. 기억을 향상시키는 방법 = 201
Ⅰ. 주의집중 = 201
Ⅱ. 조직화 = 202
Ⅲ. 자동화 = 205
Ⅳ. 학습의 SQ 3R의 방법 = 205
6. 기억의 생리적 과정 = 206
Ⅰ. 기억형성의 응고가설 = 206
Ⅱ. RNA 합성가설 = 207
제8장 성격
1. 성격의 심리학적 기초 = 210
Ⅰ. 성격의 정의 = 210
Ⅱ. 성격의 형성요인 = 210
2. 성격이론 = 217
Ⅰ. 유형론 = 217
Ⅱ. 특성론 = 224
Ⅲ. 행동주의 및 학습이론 = 228
Ⅳ. 현상학적 이론 = 233
제9장 심리검사
1. 심리검사의 기초 = 240
Ⅰ. 심리검사의 요건 = 240
Ⅱ. 심리검사의 종류 = 246
2. 정신능력의 측정 = 247
Ⅰ. 지능검사 = 248
Ⅱ. 적성검사 = 254
3. 성격검사 = 255
Ⅰ. 성격질문지법 = 256
Ⅱ. 투사법 = 261
제10장 정신분석
1. 역사적 배경 = 267
2. 의식구조 = 270
Ⅰ. 의식 = 271
Ⅱ. 전의식 = 271
Ⅲ. 무의식 = 271
3. 성격구조 = 272
Ⅰ. 이드와 쾌락원칙 = 273
Ⅱ. 자아와 현실원칙 = 274
Ⅲ. 초자아와 양심 = 274
4. 성격발달단계 = 276
Ⅰ. 구강기 = 277
Ⅱ. 항문기 = 277
Ⅲ. 남근기 = 278
Ⅳ. 잠재기 = 279
Ⅴ. 생식기 = 280
5. 정신분석학이론의 평가 = 280
6. 신정신분석학 = 282
Ⅰ. Alfred Adler = 283
Ⅱ. Karen Horney = 285
Ⅲ. Carl Jung = 286
제11장 스트레스와 적응
1. 스트레스 = 292
Ⅰ. 스트레스의 본질 = 292
Ⅱ. 스트레스의 측정 = 294
Ⅲ. 스트레스의 원인과 유형 = 296
Ⅳ.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차 = 303
2. 적응 = 306
Ⅰ. 적응의 의미 = 306
Ⅱ. 적응방법 = 307
제12장 이상행동
1. 이상행동의 정의 = 320
Ⅰ. 이상행동의 특성 = 320
Ⅱ. 이상행동의 정의 = 321
2. 이상행동의 역사적 배경 = 323
3. 이상행동의 이해를 위한 모형 = 324
Ⅰ. 의학적 모형 = 325
Ⅱ. 정신분석적 모형 = 325
Ⅲ. 행동주의 모형 = 326
Ⅳ. 인본주의 모형 = 326
Ⅴ. 사회문화적 모형 = 327
Ⅵ. 가정환경적 모형 = 327
4. 이상행동의 분류 = 328
Ⅰ. 이상행동 분류체계 = 328
Ⅱ. 이상행동 분류체계의 장단점 = 329
5. 불안장애 = 330
Ⅰ. 공포증 = 330
Ⅱ. 일반화된 불안장애 = 332
Ⅲ. 강박증 장애 = 334
6. 신체형 장애 = 336
Ⅰ. 전환장애 = 336
Ⅱ. 신체화 장애 = 338
Ⅲ. 신체형 장애의 원인 = 338
7. 해리성 장애 = 339
Ⅰ. 기억상실증 = 339
Ⅱ. 둔주 = 340
Ⅲ. 다중성격 = 340
Ⅳ. 이인증 장애 = 341
Ⅴ. 해리성 장애의 원인 = 341
8. 정서장애 = 341
Ⅰ. 우울증 = 342
Ⅱ. 조증 = 343
Ⅲ. 조울증 = 343
Ⅳ. 우울증의 원인 = 344
9. 정신분열증 = 348
Ⅰ. 정신분열증의 주요증상 = 348
Ⅱ. 정신분열증의 원인 = 349
10. 편집증 = 353
11. 성격장애 = 353
12. 정신생리적 장애 = 357
13. 알콜중독 및 약물사용 장애 = 358
제13장 이상행동의 치료
1. 신체치료 = 363
Ⅰ. 정신충격요법 = 363
Ⅱ. 정신외과수술 = 364
Ⅲ. 약물치료 = 365
2. 통찰치료 = 368
Ⅰ. 정신분석 = 368
Ⅱ. 내담자 중심치료 = 372
3. 행동치료 = 374
Ⅰ. 단계적 둔감화 = 374
Ⅱ. 혐오치료 = 377
Ⅲ. 자극흥수법 = 377
Ⅳ. 긍정적 강화 = 378
Ⅴ. 소거 = 379
Ⅵ. 행동조성 = 379
Ⅶ. 모방, 모델링 및 관찰학습 = 380
Ⅷ. 주장훈련 = 380
4. 인지적 행동치료 = 380
5. 집단치료 = 383
Ⅰ. 가족치료 = 384
Ⅱ. 집단감수성 훈련 = 384
Ⅲ. 만남집단 = 385
제14장 사회행동
1. 대인지각 = 388
Ⅰ. 인상의 형성 = 388
Ⅱ. 도식적 처리 = 391
Ⅲ. 귀인 = 393
2. 친교와 공격 = 395
Ⅰ. 친교 = 395
Ⅱ. 공격 = 399
3. 사회적 영향 = 403
Ⅰ. 도움행동 = 403
Ⅱ. 동조 = 406
Ⅲ. 순종과 복종 = 409
4. 태도와 태도변화 = 412
Ⅰ. 태도의 개념 = 412
Ⅱ. 태도와 관련된 이론들 = 413
Ⅲ. 태도와 행동 = 414
Ⅳ. 태도변화 = 415
5. 집단행동의 심리적 이해 = 418
Ⅰ. 집단의 특성 = 417
Ⅱ. 집단의 경쟁과 협동 = 420
Ⅲ. 집단의 과제수행 = 423
Ⅳ. 지도력과 지도자 = 425
Ⅴ. 군중행동 = 428
6. 환경심리학 = 429
Ⅰ. 환경심리학의 성격 = 429
Ⅱ. 인간과 공간활동 = 430
Ⅲ. 과밀의 영향 = 431
Ⅳ. 소음의 영향 = 432
참고문헌 = 435
인명색인 = 451
사항색인 =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