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50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1048197 | |
005 | 20100805051142 | |
007 | ta | |
008 | 000407s1997 ulkag 001a kor | |
020 | ▼a 8930035280 ▼g 93670 : ▼c \30,000 | |
020 | 1 | ▼a 8930035272(전2권)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9 | 0 | ▼l 151079734 ▼l 151079735 |
082 | 0 4 | ▼a 780.9 ▼2 21 |
090 | ▼a 780.9 ▼b 1997 ▼c 1 | |
100 | 1 | ▼a 홍정수 |
245 | 2 0 | ▼a (두길)서양음악사. ▼n 제1권 : ▼p 텍스트 / ▼d 홍정수 ; ▼e 김미옥 ; ▼e 오희숙 공저.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 ▼c 1997. | |
300 | ▼a 503 p. : ▼b 삽도(일부채색), 악보 ; ▼c 26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527 |
504 | ▼a 참고문헌: p.487-492 | |
504 | ▼a 찾아보기 수록 | |
700 | 1 | ▼a 김미옥 |
700 | 1 | ▼a 오희숙 |
950 | 0 | ▼b \30,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1997 1 | Accession No. 1115237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2/ | Call Number 780.9 1997 1 | Accession No. 1115237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1997 1 | Accession No. 1510797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1997 1 | Accession No. 1115237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2/ | Call Number 780.9 1997 1 | Accession No. 1115237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1997 1 | Accession No. 1510797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 음악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개론서. 1997년 초판이 출간된 <두 길 서양음악>의 개정판이다. '자세한 설명'과 '간단 요약'의 '두 길' 포맷은 유지하되, 전체 서양음악사를 간략하게 훑는 '서양음악의 큰 줄기', 서양음악 용어를 알기 쉽게 정의한 '장르 및 이론'을 추가했다. 각 시대의 음악전문가가 집필한 원고를 비롯하여 관련 사진, 작곡가의 자필악보 등 풍부한 자료가 실렸다.
지난 1997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은 물론, 음악에 대해 체계적으로 접근하려는 수많은 사람들의 지침서가 되었던 《두길 서양음악사》의 개정판. ‘자세한 설명’과 ‘간단 요약’의 ‘두 길’ 포맷은 유지하고, 전체 서양음악사를 간략하게 훑는 ‘서양음악의 큰 줄기’, 서양음악 용어를 알기 쉽게 정의한 ‘장르 및 이론’ 등 새로운 ‘두 길’을 추가했다.
각 시대의 음악전문가가 집필한 ‘글’뿐만 아니라, 관련 사진과 작곡가의 자필악보 등의 풍부한 그림자료 및 중간중간 삽입된 악보와 이에 해당하는 음악을 모은 CD는 눈과 귀를 자극하며 서양음악사를 보다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홍정수(지은이)
한국 외국어대 이태리어과 졸업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 음악학 박사 전 장신대 교수 [주요 저서] - 그런 음악 무슨 생각(초기 양악 작곡가들의 음악관) (2018) - A History of Korean Music(2013) - 이영조 음악(2012) - 교회음악 예배음악 신자들의 찬양(2002) - 한국교회음악사상사(2000)
오희숙(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이론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대 피아노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음악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사)음악미학연구회 대표로 활동하면서. 음악미학과 현대음악을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하고 있다. 대표적 저서로는 [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2021), [상호문화성으로 보는 한국의 현대음악](2020), [작곡으로 보는 한국현대음악사](2019), [음악과 천재: 음악적 천재 미학의 역사와 담론](2012), [음악 속의 철학], [철학 속의 음악](2009),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2008), [20세기 음악 1, 2](2004) 등이 있다. 공저로는 [중국 현대 오페라의 문화적 정체성](2021), [문화적 텍스트로서의 한국과 일본의 현대 오페라](2020), [작품으로 보는 음악미학](2016) 등이 있다.
김미옥(지은이)
서울대 음대 피아노과를 졸업했다.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음악학 석사 과정을, 미시간대학 음악학 박사 과정을 마쳤다. 2006년 현재 한세대 대학원 겸임교수 및 서울대 미학과 및 숙명여대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ⅰ 그리스 1. 대체적윤곽① = 12 2. 대체적윤곽② = 14 3. 다시 연주될수 없는 음악 = 16 4. 음악미학의 기초 = 18 5. 그리스의 극음악 = 20 6. 서양음악 이론의 기초① = 22 7. 서양음악 이론의 기초② = 24 중세 1. 대체적윤곽과 음악적 특징① = 26 2. 대체적윤곽과 음악적 특징② = 28 3. 초대교회의 음악① = 30 4. 초대교회의 음악② = 32 5. 그레고리오 성가 = 34 6. 미사의 확립과 구조 = 36 7. 성무일도 = 38 8. 트로푸스와 세쿠엔치아 = 40 9. 세속적 단성부 노래 = 42 10. 다성음악의 초기 오르가눔 시대 = 44 11. 노트르담 시대의 다성음악 = 46 12. 아르스 안티쿠아① = 48 13. 아르스 안티쿠아② = 50 14. 아르스 안티쿠아③ = 52 15. 아르스 노바① = 54 16. 아르스 노바② = 56 17. 아르스 노바③ = 58 18. 아르스 노바④ = 60 19. 아르스 노바와 작곡가들① = 62 20. 아르스 노바와 작곡가들② = 64 21. 트레첸토 음악① = 66 22. 트레첸토 음악② = 68 23. 트레첸토 음악③ = 70 24. 기교적 예술시대 = 72 25. 악기와 기악음악① = 74 26. 악기와 기악음악② = 76 27. 음악이론① = 78 28. 음악이론② = 80 29. 음악이론③ = 82 30. 음악이론④ = 84 르네상스 1. 대체적 윤곽 = 86 2. 음악적 배경과 특징① = 88 3. 음악적 배경과 특징② = 90 4. 음악적 배경과 특징③ = 92 5. 영국음악의 영향① = 94 6. 영국음악의 영향② = 96 7. 영국음악의 영향③ = 98 8. 부르고뉴의 작곡가들 = 100 9. 부르고뉴 악파의 미사 = 102 10. 부르고뉴 악파의 모테트 = 104 11. 부르고뉴 악파의 세속음악 = 106 12. 플랑드르 악파Ⅰ: 작곡가 = 108 13. 플랑드르 악파Ⅰ: 미사 = 110 14. 플랑드르 악파Ⅰ: 모테트와 세속음악 = 112 15. 플랑드르 악파Ⅱ: 작곡가 = 114 16. 플랑드르 악파Ⅱ: 미사 = 116 17. 플랑드르 악파Ⅱ: 모테트와 세속음악 = 118 18. 1400∼1520경의 이태리 음악 = 120 19. 1400∼1520경의 독일 음악 = 122 20. 플랑드르 악파Ⅲ:작곡가 = 124 21. 플랑드르 악파Ⅲ:음악작품 = 126 22. 루터교회 음악 = 128 23. 장로교회 음악 = 130 24. 영국의 종교개혁과 성공회 음악 = 132 25. 반종교개혁과 카톨릭음악① = 134 26. 반종교개혁과 카톨릭음악② = 136 27. 반종교개혁과 카톨릭음악③ = 138 28. 반종교개혁과 카톨릭음악④ = 140 29. 1520 이후의 이태리 세속음악① = 142 30. 1520 이후의 이태리 세속음악② = 144 31. 1520 이후의 프랑스 세속음악 = 146 32. 1520 이후의 독일 세속음악 = 148 33. 1520 이후의 영국 세속음악 = 150 34. 기악음악①, 악기 = 152 35. 기악음악②, 개요 = 154 36. 기악음악③, 건반음악1 = 156 37. 기악음악④, 건반음악2 = 158 38. 기악음악⑤, 현·관악음악 = 160 39. 음악이론① = 162 40. 음악이론② = 164 바로크 1. 대체적 윤곽① = 166 2. 대체적 윤곽② = 168 3. 음악교육, 악보출판, 악기제작 = 170 4. 음악가들 = 172 5. 음악적 특징① = 174 6. 음악적 특징② = 176 7. 음악적 특징③ = 178 8. 음악적 특징④ = 180 9. 음형이론① = 182 10. 음형이론② = 184 11. 음형이론③ = 186 12. 음형이론④ = 188 13. 오페라①, 일반적 사항 = 190 14. 오페라②, 오페라의 탄생/카메라타 = 192 15. 오페라③, 오페라의 탄생/카메라타 = 194 16. 오페라④, 로마 오페라 = 196 17. 오페라⑤, 베니스 오페라 = 198 18. 오페라⑥, 베니스 오페라 = 200 19. 오페라⑦, 나폴리 오페라 = 202 20. 오페라⑧, 나폴리 오페라 = 204 21. 오페라⑨, 나폴리 오페라 = 206 22. 오페라⑩, 나폴리 오페라 = 208 23. 오페라⑪, 프랑스 오페라 = 210 24. 오페라⑫, 프랑스 오페라 = 212 25. 오페라⑬, 영국/독일 오페라 = 214 26. 오라토리오① = 216 27. 오라토리오② = 218 28. 오라토리오③ = 220 29. 개신교회 음악① = 222 30. 개신교회 음악② = 224 31. 개신교회 음악③ = 226 32. 몬테베르디 = 228 33. 쉿츠 = 230 34. 쉿츠/몬테베르디 = 232 35. 건반음악① = 234 36. 건반음악② = 236 37. 현악음악 = 238 38. 관악음악 = 240 39. 오케스트라 음악① = 242 40. 오케스트라 음악② = 244 41. 비발디 = 246 42. 바하 = 248 43. 헨델 = 250 44. 바하/헨델 = 252 고전 1. 대체적 윤곽① = 254 2. 대체적 윤곽② = 256 3. 음악가/연주회 = 258 4. 음악적 특징① = 260 5. 음악적 특징② = 262 6. 전고전주의① = 264 7. 전고전주의② = 266 8. 연주실제 = 268 9. 만하임 악파 = 270 10. 소나타① = 272 11. 소나타② = 274 12. 론도/미뉴엣 = 276 13. 오페라①, 모차르트 = 278 14. 오페라②, 모차르트/롯시니 = 280 15. 오페라③, 프랑스 오페라 = 282 16. 오페라④, 독일 오페라 = 284 17. 오페라⑤, 글룩의 오페가 개혁 = 286 18. 오페라⑥, 오페라 세리아/베토벤 = 288 19. 교회음악(1), 나폴리 악파/하이든/모차르트 = 290 20. 교회음악(2), 모차르트/베토벤 = 292 21. 하모베① = 294 22. 하모베② = 296 23. 하이든① = 298 24. 하이든② = 300 25. 하이든③ = 302 26. 모차르트① = 304 27. 모차르트② = 306 28. 모차르트③ = 308 29. 베토벤① = 310 30. 베토벤② = 312 31. 베토벤③ = 314 19세기 1. 대체적 윤곽 = 316 2. 역사적 흐름 = 318 3. 고전과 낭만 = 320 4. 음악관 = 322 5. 절대음악과 표제음악 = 324 6. 음악적 특징 = 326 7. 바하와 팔레스트리나의 재발견 = 328 8. 음악문화와 낭만시대 예술가 = 330 9. 음악적 리얼리즘 = 332 10. 예술가곡① = 334 11. 예술가곡② = 336 12. 오페라①, 이태리 = 338 13. 오페라②, 이태리 = 340 14. 오페라③, 프랑스 = 342 15. 오페라④, 프랑스 = 344 16. 오페라⑤, 독일 = 346 17. 음악극① = 348 18. 음악극② = 350 19. 피아노음악①, 소나타 = 352 20. 피아노음악②, 성격소곡 = 354 21. 피아노음악③, 작곡가별 특성 = 356 22. 교향곡① = 358 23. 교향곡② = 360 24. 교향곡③ = 362 25. 표제음악①, 표제교향곡 = 364 26. 표제음악②, 교향시 = 366 27. 협주곡 = 368 28. 실내악 = 370 29. 교회음악① = 372 30. 교회음악② = 374 31. 작곡가①, 슈베르트 = 376 32. 작곡가②, 슈만 = 378 33. 작곡가③, 쇼팽 = 380 34. 작곡가④, 브람스 = 382 35. 세기전환기①, 일반적 특징 = 384 36. 세기전환기②, 말러 = 386 37. 세기전환기③, R. 슈트라우스 = 388 38. 세기전환기④, 레거, 부조니 = 390 39. 세기전환기⑤, 민족주의 = 392 40. 세기전환기⑥, 스크리아빈 = 394 41. 세기전환기⑦, 인상주의 = 396 42. 세기전환기⑧, 드뷔시 = 398 20세기 1. 대체적 윤곽 = 400 2. 역사적 흐름① = 402 3. 역사적 흐름② = 404 4. 역사적 흐름③ = 406 5. 역사적 흐름④ = 408 6. 신음악의 개념과 새로운 음악기관 = 410 7. 음악관의 변화 = 412 8. 무조음악 = 414 9. 12음기법① = 416 10. 12음기법② = 418 11. 신고전주의① = 420 12. 신고전주의② = 422 13. 실용음악 = 424 14. 재즈의 영향 = 426 15. 종교음악 = 428 16. 영화음악 = 430 17.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①, 쇤베르크 = 432 18.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②, 베르크 = 434 19.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③, 베베른 = 436 20.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④, 스트라빈스키 = 438 21.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⑤, 바르톡 = 440 22.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⑥, 힌데미트 = 442 23.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⑦, 바일 = 444 24.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⑧, 아이브스 = 446 25. 20세기 전반의 작곡가⑨, 바레즈/거쉬인 = 448 26. 50년대 음렬음악① = 450 27. 50년대 음렬음악② = 452 28. 우연음악과 알레아 = 454 29. 오페라의 새로운 경향 = 456 30. 전자음악과 컴퓨터음악① = 458 31. 전자음악과 컴퓨터음악② = 460 32. 음향작곡 = 462 33. 최소음악과 새로운 단순성 = 464 34. 새로운 조성적 음악 = 466 35.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①, 메시앙 = 468 36.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②, 블레즈 = 470 37.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③, 슈톡하우젠 = 472 38.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④, 케이지 = 474 39.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⑤, 윤이상 = 476 40.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⑥, 루토스와브스키 = 478 41.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⑦, 펜데레츠키 = 480 42.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⑧, 노노 = 482 43. 20세기 후반의 작곡가⑨, 크럼 = 484 참고문헌 = 487 찾아보기 = 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