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편 행정이란 무엇인가?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 윤영진 = 11
제1절 행정의 개념 = 11
제2절 행정의 구조 = 17
제3절 행정의 기능 = 20
제4절 행정의 담당자 = 26
제2장 행정과 환경 / 권해수 ; 조택 = 28
제1절 행정과 정치 = 28
제2절 행정과 경제 = 32
제3절 행정과 사회 = 36
제3장 행정을 보는 시각(視角) / 김인 = 39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39
제2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46
제2편 무엇을 위한 행정인가?
제4장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 이종수 ; 김항규 = 67
제1절 행정철학과 가치 = 67
제2절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 74
제3절 행정가치의 구현 = 92
제5장 행정윤리 / 이종수 = 95
제1절 행정윤리의 의의 = 95
제2절 행정권의 오용과 행정윤리 = 97
제3절 행정윤리의 저해요인과 확보 방안 = 99
제6장 행정통제 / 권해수 = 101
제1절 행정통제의 의의 = 101
제2절 행정통제의 유형과 비용 = 104
제3절 행정통제의 한계와 통제력의 향상방안 = 106
제3편 행정의 이론과 실제
제7장 행정이론의 변천 / 이창기 = 117
제1절 행정학의 탄생과 전개과정 = 117
제2절 행정이론의 변천과정 = 124
제8장 정책 / 송병주 ; 이경은 ; 이대희 ; 이시경 ; 이종렬 ; 이준형 = 131
제1절 정책과 정책론 = 131
제2절 정책과정의 참여자 = 136
제3절 정책형성 = 141
제4절 정책집행 = 147
제5절 정책평가 = 157
제6절 정책과 기획 = 165
제9장 조직 / 김태수 ; 남상화 ; 박종주 ; 임학순 = 171
제1절 조직론 서론 = 171
제2절 조직의 구조 = 177
제3절 관료제 = 198
제4절 조직과 인간 = 212
제5절 조직의 관리 = 224
제6절 조직과 환경 = 235
제10장 인사 / 김복규 ; 백종섭 = 243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 243
제2절 공직의 충원 = 265
제3절 능력발전과 사기 = 282
제4절 근무규율과 자율적 활동 = 313
제5절 한국 인사행정의 과거와 미래 = 330
제11장 예산 / 강인재 ; 신무섭 = 336
제1절 예산회계 체제 = 336
제2절 예산관계 법규와 조직 = 347
제3절 예산과정 = 352
제4절 예산개혁 = 365
제12장 정보 / 박병식 ; 조만형 = 374
제1절 정보사회와 행정 = 374
제2절 행정정보체계의 의미와 구조 = 378
제3절 행정정보체계의 영향과 역기능 = 389
제13장 지방자치 / 박호숙 ; 최봉기 = 394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 394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기능 = 399
제3절 지방자치의 민주적 가치와 제약요인 = 414
제4편 행정의 미래에의 도전
제14장 행정개혁 / 정준금 = 421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 421
제2절 행정개혁의 과정과 저항 = 427
제3절 한국의 행정개혁 = 434
제15장 한국행정의 과제 / 김영삼 =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