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문법의 최소성 = 1
1.1. 문법체계의 최소화 = 1
1.1.1. 문법체계 = 1
1.1.2. 어휘항목과 어휘자질 = 2
1.1.3. 배번집합과 도출 = 4
1.1.4. 문자화 = 6
1.1.5. 의미해석 = 7
1.2. 문법운용의 최소화 = 8
1.2.1. 내포성 조건 = 8
1.2.2. 일관성 조건 = 10
1.2.3. 개념적 필연성 = 11
1.3. 문법조건의 최소화 = 12
1.3.1. 필수출력조건 = 12
1.3.2. 음성형태 해독조건 = 13
1.3.3. 필수출력조건의 확인 = 16
1.3.4. 논리형태 해독조건 = 18
1.3.5. 최소이론의 특이성 = 20
1.3.6. 언어학의 특이성 = 21
제2장 문법의 최적성 = 23
2.1. 필요성 = 23
2.1.1. 유인과 병합의 요인 = 23
2.1.2. 배번집합의 범위 = 26
2.1.3. 수의성과 의무성 = 27
2.2. 유인 = 28
2.2.1. ‘이동’에서 ‘유인’으로 = 28
2.2.2. 유인자의 자살적 이기성 = 33
2.3. 보수전략 = 35
2.3.1. 유인과 보수전략 = 35
2.3.2. 대입 - 부가의 예측 = 37
2.3.3. 예상적용의 비국부성 = 39
2.3.4. 이동과 병합의 경쟁 = 44
2.4. 기능범주 = 45
2.4.1. 기능범주의 정당화 = 45
2.4.2. φ-자질에 내포되는 격 = 49
2.4.3. 형태론적 풍부성 = 52
2.4.4. Holmberg 일반화 = 54
2.4.5. 중유인 조건 = 56
2.4.6. 자질-불일치 조건 = 57
2.4.7. 기능범주의 선택자질 = 59
2.4.8.수의적 선택자질 = 62
2.5. 점검이론 = 66
2.5.1. 유인자 핵에 국한된 자질점검 = 66
2.5.2. 형식자질과 의미 - 음성자질 = 68
2.5.3. 도출의 취소 = 69
2.5.4. 자질의 무임승차 = 74
2.5.5. 경유인 조건 = 76
2.6. 논리형태의 최적성 = 80
2.6.1. 논리형태 Ⅰ 구조 = 81
2.6.2. 논리형태 결속구조 = 83
제3장 전망 = 87
3.1. 국부적 연산과 강자질의 제거 = 87
3.1.1. 국부적 연산 = 87
3.1.2. 강자질의 제거 = 90
3.1.3. 지연원리의 제거 = 93
3.1.4. 핵 매개변인 = 94
3.2. 핵 이동의 제거 = 95
3.2.1. 음성형태 접사부가 = 95
3.2.2. 음성형태의 CP 구조 = 98
3.2.3. 접사도약의 부활 = 100
3.2.4. V2 현상 = 101
3.2.5. 음성형태 접사부가의 논리형태 효과 = 102
3.3. 흔적의 가시성 = 103
3.3.1. 수정 가시성 조건 = 103
3.3.2. 지연원리의 잔재? = 108
3.3.3. 흔적의 범주와 흔적의 자질 = 109
3.3.4. 보수의 연장된 연결 = 110
3.3.5. 적정결속조건의 제거 = 112
3.4. 치사형상과 논리형태 = 113
3.4.1. 치사형상 = 113
3.4.2. 역(逆)치사형상 = 117
3.4.3. 이중 격점검의 치사형상 = 118
3.4.4. 동사구 탈출 조건 = 119
3.4.5. 수정 동사구 탈출 조건 = 122
3.5. 마무리 = 126
3.5.1. “Chomsky 문법이론은 언제 안정되나?” = 126
3.5.2. 최소인론의 복고(復古)현상 = 129
3.5.3. “통사론”의 실종? = 129
참고문헌 = 131
찾아보기 = 133
영한 용어 대조표 =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