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행정론

한국행정론 (2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인재 이달곤
서명 / 저자사항
한국행정론 / 강인재 [외].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   1998   2003(4쇄).  
형태사항
551 p. : 도표 ; 26 cm.
ISBN
8976440587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찾아보기 수록
000 00618camccc200229 k 4500
001 000001043747
005 20100805041155
007 ta
008 991112s1998 ulkd 001a kor
020 ▼a 8976440587 ▼g 93350: ▼c \20,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49 0 ▼l 151071979 ▼l 151071980
082 0 4 ▼a 351.519 ▼2 21
090 ▼a 351.53 ▼b 1998p
245 0 0 ▼a 한국행정론 / ▼d 강인재 [외].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 ▼c 1998 ▼g 2003(4쇄).
300 ▼a 551 p. : ▼b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504 ▼a 찾아보기 수록
700 1 ▼a 강인재 ▼0 AUTH(211009)67642
700 1 ▼a 이달곤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113212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113212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51071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510719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113212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113212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51071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8p 등록번호 1510719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인재(지은이)

재정공학연구소 소장. 서울행정학회 회장, 경실련 예산감시위원장, 한국정부회계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연구담당부회장, 한국지방재정학회 회장, 전북대학교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행정과 환경

 제1장 행정과 정치 = 19

  Ⅰ 정치·행정을 보는 기본 관점 = 19

  Ⅱ. 정치와 행정의 본질 = 21

   1. 정책/집행 이미지 = 22

   2. 사실/이익 이미지 = 23

   3. 에너지/균형 이미지 = 24

   4. 순수 혼성물 이미지 = 25

  Ⅲ. 정치·행정 관계의 역사적 전개 = 25

   1. 행정의 탈정치화와 행정적 자율성 = 25

   2. 행정의 재정치화와 관료적 권한의 통제 = 28

  Ⅳ. 우리 나라 정치·행정 관계의 전개과정과 특성 = 30

   1. 우리 나라 정치·행정 관계의 전개과정 = 30

   2. 우리 나라 정치·행정 관계의 특성 = 37

 제2장 행정과 사회 = 46

  Ⅰ. 서론 = 46

  Ⅱ. 행정과 사회의 관계에 관한 관점 = 47

   1. 체제이론 = 47

   2. 제도적 이론 = 49

   3. 문화적 접근방법 = 50

  Ⅲ. 한국사회의 특징과 행정에의 영향 = 52

   1. 한국사회의 개관과 정보사회화 = 52

   2.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 56

   3. 제도화와 문화적 요인 = 60

  Ⅳ. 결어 = 63

 제3장 행정과 경제 = 68

  Ⅰ. 서론 = 68

  Ⅱ. 이승만 행정부(1948∼1960) = 70

   1. 정책 내용 = 70

   2. 정책결정 구조 = 73

   3. 정책평가과 정책유산 = 75

  Ⅲ. 장면 행정부(1960∼1961) = 76

   1. 정책 내용 = 76

   2. 정책평가와 정책유산 = 77

  Ⅳ. 박정희 행정부(1961∼1979) = 77

   1. 정책 내용 = 78

   2. 정책결정 구조 = 82

   3. 정책평가와 정책유산 = 85

  Ⅴ. 전두환 행정부(1980∼1988) = 87

   1. 정책 내용 = 87

   2. 정책결정 구조 = 89

   3. 정책평가와 정책유산 = 90

  Ⅵ. 노태우 행정부(1988∼1993) = 92

   1. 정책 내용 = 92

   2. 정책결정 구조 = 93

   3. 정책평가와 정책유산 = 95

  Ⅶ. 김영삼 행정부(1993∼1998) = 96

   1. 정책 내용 = 96

   2. 정책결정 구조 = 97

   3. 정책평가와 정책유산 = 98

  Ⅷ. 교훈과 과제 = 99

 제4장 행정과 법 = 103

  Ⅰ. 서론 = 103

  Ⅱ. 행정과 법의 관계 = 104

   1. 행정과 법의 규범적 관계 = 105

   2. 행정과 법의 사실적 관계 = 106

   3. 합법성과 효율성의 관계 = 113

  Ⅲ. 한국 근대사에서의 행정과 법 = 118

   1. 구한말의 행정과 법 = 118

   2. 일제 식민지 행정과 법 = 120

   3. 미군정기의 행정과 법 = 121

   4. 제1공화국의 행정과 법 = 122

   5. 제2공화국의 행정과 법 = 123

   6. 군사정부의 행정과 법 = 124

   7. 김영삼 문민정부의 행정과 법 = 137

   8. 근대행정 100년의 교훈 = 140

  Ⅳ. 결론 = 144

 제5장 행정과 군 = 147

  Ⅰ. 서론 = 147

  Ⅱ. 한국의 민군관계 = 148

  Ⅲ. 군과 행정 = 153

   1. 행정목표 = 154

   2. 행정조직의 구성 = 156

   3. 인력의 충원 = 162

  Ⅳ. 민군관계의 재조명 = 167

제2부 행정체제의 발달

 제6장 행정조직 = 173

  Ⅰ. 서론 = 173

  Ⅱ. 협의의 중앙행정기관 = 174

   1. 근대적 행정조직의 성립 = 174

   2. 시대별 조직개혁 = 179

   3. 실제의 변화 = 187

  Ⅲ. 광의의 중앙행정조직 : 정부산하단체 = 200

   1. 정부산하단체의 개념 = 200

   2. 경제 관련 조직 = 202

   3. 연구기획 조직 = 204

   4. 공공사업 집행기관 = 208

   5. 민간단체 = 209

  Ⅳ. 결론 : 행정조직의 실체를 찾아서 = 213

 제7장 인사행정 = 219

  Ⅰ. 한국 인사행정의 현주소 : 패러다임 부재와 방향성 없는 개혁 = 219

  Ⅱ. 인사행정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산성과 전문성 = 220

  Ⅲ. 한국 인사행정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특성 = 222

   1. 중앙인사행정기관 = 222

   2. 임용 : 채용 및 승진 = 230

   3. 교육훈련 = 242

   4. 공무원 평가제도 = 248

   5. 보수 = 253

   6. 공무원연금 = 259

  Ⅳ. 인사행정 개혁의 방향 = 262

   1. 인사행정의 전문성 제고 = 262

   2. 개방형 임용체계의 도입 = 266

   3. 공무원 보수체계의 도입 = 268

   4. 공무원 교육훈련 체계의 재설계 = 270

   5. 공무원 신분 보장의 재해석을 통한 다양한 고용방식의 도입 = 273

 제8장 재무행정 = 276

  Ⅰ. 서론 = 276

  Ⅱ. 제1공화국 : 일본식 예산제도의 형식적 모방 = 278

   1. 미군정 및 건국 초기의 재정 = 278

   2. 예산환경 및 재정구조 = 279

   3. 예산운영 조직 = 285

   4. 예산과정 = 287

   5. 예산운영 실태 및 예산계혁 = 289

  Ⅲ. 제2공화국 = 291

  Ⅳ. 제3·4공화국 : 정책도구로서 예산과 기획의 중요성 인식 = 292

   1. 예산제도의 법적 기초 = 293

   2. 예산운영 조직 = 293

   3. 예산과정 = 294

   4. 예산개혁 = 296

  Ⅴ. 제5공화국 이후(1981∼1993년) : 효율적 예산관리를 위한 예산제도의 개혁 = 298

   1. 예산제도의 변화 = 299

   2. 예산운영 실태 및 예산개혁 = 300

  Ⅵ. 김영삼 행정부 이후(1993∼현재) : 기업경영 방식의 강조 = 300

   1. 예산제도의 변화 = 301

   2. 예산운영 조직 = 302

  Ⅶ. 결론 = 303

 제9장 지방제도와 행정 = 307

  Ⅰ. 서론 = 307

  Ⅱ. 조선시대 = 308

   1. 공식 지방제도 = 308

   2. 향약제도 = 311

   3. 향회와 촌회제도 = 314

  Ⅲ. 갑오경장∼대한제국 말의 지방제도 = 315

   1. 갑오년(1894년) 개혁과 지방제도 = 315

   2. 을미년(1895년) 개혁과 지방제도 = 317

   3. 건양·광무년(1896∼1906) 개혁과 지방제도 = 318

   4. 보호정치(1905∼1909)하의 지방제도 = 319

  Ⅳ. 일본 강점 시기의 지방제도 = 322

   1. 강점 직후 지방통치 방식과 지방제도 = 322

   2. 문화정치 시기(1920∼1931년)의 지방제도 = 325

   3. 1930년대 이후의 지방제도 = 327

   4. 태평양전쟁기(1941∼1945년)의 지방제도 = 328

  Ⅴ. 미군정기(1945∼1948년)의 지방제도 = 329

  Ⅵ. 제1공화국∼제5공화국(1948∼1993) = 330

   1. 제1기(1948∼1952년) = 330

   2. 제2기(1952∼1961년) = 335

   3. 제3기(1961∼1993년) = 338

  Ⅶ. 제6공화국 이후 = 343

  Ⅷ. 결어 = 346

제3부 행정문화와 행정통제

 제10장 한국 행정문화의 기층구조 = 351

  Ⅰ. 서론 = 351

  Ⅱ. 한국 관료체제의 구성적 특성과 문화적 함의 = 355

   1. 문화형성의 역사적·자연적 조건 : 연합형 정치제의 구성 = 355

   2. 관료체제 형성의 기본 틀 = 356

   3. 한국 행정문화의 기층요소 : 역사적 대면관계 = 358

  Ⅲ. 유교적 사유체계와 행정문화 = 363

   1. '유교적 사유'의 적합성과 유교사회화 = 363

   2. 유교적 행정문화 형성의 사상적 주형 : 조건화도니 충성 = 365

  Ⅳ. 결어 : 한국 행정문화의 특성과 그 인식방법의 검토 = 368

 제11장 한국의 행정부패 = 373

  Ⅰ. 서론 = 373

  Ⅱ. 한국사회의 부정부패에 대한 인식과 평가 = 375

   1. 한국사회의 부정적 특징 = 375

   2. 한국의 행정부패에 대한 인식 = 378

  Ⅲ. 우리 나라의 행정부패 실태와 반부패정책의 변화 = 381

   1. 행정부패의 실태 변화 = 381

   2. 역대 정부의 반부패정책의 변화 = 386

   3. 현재의 행정부패 방지제도의 실태와 문제점 = 397

  Ⅳ. 효율적인 행정부패 방지를 위한 개혁 방안 = 402

   1. 통합적인 부패방지법의 제정 = 402

   2. 엄격한 행정부패 수사를 위한 독립기구의 설치 = 404

   3. 부정한 재산의 엄격한 몰수 = 406

   4. 공직사회 내부비리 제보자의 적극적 보호 = 407

   5. 돈세탁 방지 및 실명거래의 확립 = 409

  Ⅴ. 결론 = 411

 제12장 행정에 대한 통제 기능 = 416

  Ⅰ. 행정통제의 의미와 중요성 = 416

   1. 행정통제의 뜻 = 416

   2. 행정통제의 중요성 = 417

  Ⅱ. 통제의 대상 = 418

   1. 공무원 통제 = 419

   2. 법규와 기준에 대한 통제 = 424

   3. 행정행위에 대한 통제 = 425

  Ⅲ. 통제의 방법 = 425

   1. 입법부·사법부의 통제 = 425

   2. 행정부 자체 통제 = 431

   3. 국민감시 = 442

 제13장 입법부의 자율성과 행종통제 기능 = 455

  Ⅰ. 서론 = 455

  Ⅱ. 입법부와 행정부의 역학관계 = 456

   1. 입법부의 기능 = 457

   2. 입법부와 행정부 역학관계의 검증방법 = 460

  Ⅲ. 우리 나라의 입법부의 자율성 = 461

   1. 법률 제정 기능과 입법부의 자율성 = 461

   2. 정책집행 감독 기능에 의한 행정부 통제 = 466

  Ⅳ. 우리 나라 입법부의 부진 요인 = 479

   1. 정치적·제도적 측면의 요인 = 479

   2. 정보 및 전문성 측면의 요인 = 481

  Ⅴ. 결론 = 485

제4부 앞으로의 과제

 제14장 한국 행정의 과제 = 491

  Ⅰ. 서론 = 491

  Ⅱ. 논의의 시각 = 494

   1. 정치사회학적인 문제 = 494

   2. 제도적 논리 간의 긴장 = 497

   3. 문제와 문제해결 양식 간의 부합 = 498

  Ⅲ. 정치사적 상황과 제도적 논리 간의 상호작용 = 500

   1. 국토분단하의 정부 수립과 민주주의의 시련 = 500

   2. 개발 연대의 관료제와 정권의 위기 = 501

   3. 더욱 강화된 집권적 관료제적 논리 = 503

   4. 문민정부의 개혁 노력과 한계 = 505

  Ⅳ. 한국 행정의 과제 = 508

   1. 개혁의 논리 = 508

   2. 한국 행정의 과제 = 509

  Ⅴ. 결론 = 511

 제15장 한국 행정학의 과제 = 515

  Ⅰ. 한국 행정학의 연구 방향 = 516

   1. 1940년대∼1960년대 = 516

   2. 1970년대∼1980년대 = 519

   3. 1990년대∼현재 = 522

  Ⅱ. 한국 행정학의 과제 = 528

   1. 한국 행정학의 문제점 = 528

   2. 한국 행정학의 과제 = 532

찾아보기 = 54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