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행정학의이해

현대행정학의이해 (2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종호
서명 / 저자사항
현대행정학의이해 / 김종호 저.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   1998.  
형태사항
xvi, 261 p. ; 24 cm.
ISBN
897644051X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536camccc200205 k 4500
001 000001043716
005 20100805041120
007 ta
008 991112s1998 ulk 000a kor
020 ▼a 897644051X ▼g 93350: ▼c \10,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71995 ▼l 151071996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1998h
100 1 ▼a 김종호
245 1 0 ▼a 현대행정학의이해 / ▼d 김종호 저.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 ▼c 1998.
300 ▼a xvi, 261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h 등록번호 1510719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h 등록번호 1510719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종호(지은이)

<국가정보보호법의 필요성과 기본방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행정학 서론

 제1장 행정학이란 무엇인가 = 3

  Ⅰ. 행정학을 위한 서설 = 3

  Ⅱ. 행정이란 무엇인가? = 4

   1. 행정의 정의 = 4

    1) 행정은 과학(Science)인가, 기술(Art)인가? = 4

    2) (공공행정)이란 의미의 이중용법 = 5

    3) 합리적 행동의 개념 = 6

   2. 행정의 의미 = 6

 제2장 행정학의 발전사 = 9

  Ⅰ. 행정, 정치, 그리고 역사 : 통치의 세가지 유산들 = 9

  Ⅱ. 행정학의 태동기 = 11

   1. 1880년대 : 발표와 창립 = 11

   2. 1890년대 : 계속되는 서막 = 12

   3. 1900년대 : 실제적 변화 = 12

   4. 1910년대 : 지속적이고 강력한 개혁의 시기 = 12

   5. 1920년대 : 공익모델의 성숙의 시기 = 13

  Ⅲ. 행정학의 성장기 = 13

   1. 1930년대 : 행정국가의 생성 = 13

   2. 1940년대 : 행정국가의 숙고 = 14

  Ⅳ. 행정학의 도약기 = 14

   1. 1950년대 : 자기인식의 출발점 = 14

   2. 1960년대 : 정치학을 넘어서 = 14

  Ⅴ. 새로운 방향의 모색기 = 15

   1. 1970년대 : 정체성의 확립과 새로운 커리큘럼 = 15

   2. 1980년대 : 학제적인 접근과 기본으로의 회귀 = 16

  Ⅵ. 한국행정학의 역사 = 16

 제3장 행정의 평가기준 = 19

  Ⅰ. 행정학의 전개과정 = 20

   1. Wilson의 전통적 행정학 = 20

   2. Simon의 도전 = 21

   3. 정치경제학자들의 작업 = 21

  Ⅱ. 집합적 행동에 의한 의사결정구조 = 23

   1. 공공재와 공공서비스의 본질 = 23

   2. 집합적 행동에 의한 의사결정구조의 영향 = 23

  Ⅲ. 공공선택이론의 주요내용 = 25

  Ⅳ. 공공선택이론에서의 행정의 평가기준 = 27

  Ⅴ. 행정학의 새로운 전망 = 27

  Ⅵ. 결론 - 바람직한 행정의 평가기준 = 28

   1. 행정이념적 차원 - 사회적 형평성 추구의 행정 = 29

   2. 행정제도적 차원 - 민주적 절차중시의 행정 = 30

   3. 행정환경적 차원 - 고객지향적 행정 = 31

 제4장 행정학의 위기와 전망 = 35

  Ⅰ. 머리말 = 35

  Ⅱ. 행정학의 위기 = 36

   1. 정책집행 분야의 위기 = 36

   2. 공공관리 분야의 위기 = 38

   3. 정부관료제 분야의 위기 = 39

  Ⅲ. 행정학의 전망 = 41

   1. 행정기관의 주체성 확보 = 41

   2. 행위의 탄력성 확보 = 42

  Ⅳ. 결론 : 행정학의 해방 = 44

제2편 관료제도

 제5장 관료제의 역할 = 49

  Ⅰ. 서론 = 49

  Ⅱ. Frederick Taylor와 과학적 관리론 = 50

  Ⅲ. 행정의 제원리 = 52

  Ⅳ. 관료제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 = 53

   1. 관료제의 비효율성 = 53

   2. 관료제의 비효율성에 대한 재비판 = 55

  Ⅴ. 결론 = 57

 제6장 일선관료의 재량행위 = 61

  Ⅰ. 일선관료의 직무환경 = 62

  Ⅱ. 공공서비스의 실재와 서비스에 관한 갈등 = 63

  Ⅲ. 일선관료의 재량행위는 필요악인가? = 64

  Ⅳ. 시민과의 상호작용에서의 갈등 = 66

 제7장 관료제의 미래 = 71

  Ⅰ. 과도화된 관료제와 J-Curve 이론 = 71

   1. 관료제화에 관한 J-Curve 이론 = 71

   2. MAX WEBER 이론에 관한 비판 = 72

    1) 전문화 = 73

    2) 계층제 = 74

    3) 규칙과 규약 = 75

    4) 일반행정가에 의한 관리 = 76

    5) 비인격성 = 77

    6) 경력주의 = 77

   3. 과도화된 관료제의 함의 = 78

  Ⅱ. 관료제의 미래예측 = 79

   1. 관료와의 도래 = 80

    1) 관료제 성장의 이유 = 80

    2) 관료제 성장에 대한 평가 = 81

   2. 탈관료제화 도래 = 82

    1) 관료제의 극복 = 82

    2) 정부관료제의 축소 = 84

  Ⅲ. 정보기술과 관료제의 정치적 결합 = 85

   1. 행정관료제 내의 정보기술의 발전 = 85

   2. 관료제내 정보기술의 팽창이유 = 86

    1) 일상화 = 86

    2) 지식이 아닌 정보 = 87

    3) 최저 비용 = 87

    4) 상호의존성 = 87

   3. 관료제와 정보기술 결합의 정치적 비용 = 88

    1) 오류의 확대 = 88

    2) 모호한 상황의 고려 = 88

    3) 지각 경험의 손실 = 89

    4) 법규의 미비 = 89

    5) 비전문가들의 전문가 경시풍조 = 89

    6) 정치학의 측면 = 89

   4. 요약 및 결론 = 90

  Ⅳ. 미국 관료제의 미래 = 91

   1. 서론 = 91

   2. 관료화와 정부규모 = 92

   3. 관료화와 재량권 = 93

   4. 관료화와 정부조직구조 = 95

   5. 요약 및 결론 = 95

  제8장 관료통제 = 101

  Ⅰ. 서론 = 101

  Ⅱ. 정치적 명령의 정당화 = 102

  Ⅲ. 행정과정에서의 대통령의 역할 = 103

  Ⅳ. 집합적 합리성 ; 종합적 통제 = 104

  Ⅴ. 개별적 합리적 : 대통령의 관심 = 105

  Ⅵ. 결론 : 미국정부내의 경쟁과 독점 = 106

제3편 의사결정과 정책

 제9장 정책과학의 역사 = 111

  Ⅰ. 서론 = 111

  Ⅱ. 사회적 지식에 대한 열망 = 112

   1. 서양문명에서의 정책학 = 113

   2. 미국의 실용주의와 도구주의 = 115

   3. 적용된 사회과학 = 116

  Ⅲ. Lasswell의 비전과 정책학의 최초의 현실화 = 117

   1. 다원적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 118

   2. 전후관계적 그리고 문제 적응적 전망 = 118

    1) 정책분석 = 119

    2) 정책과정 = 119

   3. 명백하게 규범적인 시각 = 120

  Ⅳ. 정책학의 성장과 발전(1970년대를 통해서) = 122

   1. 정책학의 범위 확장 = 123

    1) 평가 = 124

    2) 활용과 집행 = 125

    3) 종결 = 127

   2. 정치적 사건과 정책학 = 127

    1) 빈곤과의 전쟁 = 127

    2) 베트남전쟁 = 128

    3) Watergate사건 = 129

    4) 에너지 위기 = 129

  Ⅴ. 정책학으로부터 정책질문 까지 : 1980년대와 그 후 = 130

   1. 고전적 주제의 재 방문 = 131

    1) 정책학에서의 윤리와 가치 = 131

    2) 공공정책과 공공관리 = 131

   2. 새로운 방향들의 부상 = 132

 제10장 의사결정이론의 제 모형 = 135

  Ⅰ. 서론 = 135

  Ⅱ.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의 비교 = 136

   1. 합리모형 = 136

   2. 점증모형 = 137

   3.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의 비교 = 140

   4. 점진주의의 몇 가지 오해 = 140

    1) 문제제기 = 141

     (1) 점진적 변화가 개혁에 대한 소극적 저항인가? = 142

     (2) 점진적 변화가 진실로 목적과 방향을 상실하기 쉬운가? = 142

     (3) 점진적 변화가 과연 기득권세력을 옹호하는가? = 144

    2) 결론 : 변화의 논리 - 그것은 점진적으로 = 146

  Ⅲ. 만족모형과 혼합주사모형 = 147

   1. 만족모형 = 148

   2. 혼합주사모형 = 149

  Ⅳ. 최적모형 = 149

 제11장 의사결정의 제 기법 = 153

  Ⅰ. 서론 = 153

  Ⅱ. 의사결정유형 및 과정 = 156

   1. 의사결정 유형 = 156

   2. 의사결정 과정 = 157

  Ⅲ. 의사결정을 위한 다섯 가지 주요 기법 = 160

   1. 편익/비용 분석 = 160

    1) 편익/비용의 기원 = 161

    2) 편익/비용 분석의 활용 = 161

    3) 편익/비용 분석의 미래 = 162

   2. 계획예산제도(PPBS) = 162

    1) 기원 = 163

    2) PPBS의 공헌 = 163

    3) PPBS의 소멸 = 164

   3. 운용 연구(Operations Research) = 165

    1) 기원 = 165

    2) 네트워크 분석 = 166

   4. 목표에 의한 관리(MBO) = 170

    1) MBO의 기원공공분야에 있어서 = 171

    2) MBO의 과정 = 172

    3) MBO의 평가 = 173

   5. 관리정보체계(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173

  Ⅳ. 결론 = 174

 제12장 정책집행 = 179

  Ⅰ. 서론 = 179

  Ⅱ. 정책집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 179

   1. 법령에 의해서 기술된 문제의 취급 용이성 = 180

   2. 법령이 집행과정을 세밀하게 구성하는 능력 = 180

   3.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비법령적 변수들 = 181

  Ⅲ. 집행과정 분석의 틀 = 182

  Ⅳ. 집행과정의 단계(종속변수) = 183

 제13장 정책분석의 패러다임 = 185

  Ⅰ. 정책분석의 특성 = 185

  Ⅱ. 능률성의 개념과 적용 = 187

  Ⅲ. 파레토의 최적과 후생경제학 = 188

  Ⅳ. 경제학적 정책분석에 대한 평가적 견해 = 190

제4편 행정학의 다양한 이슈

 제14장 대중과 행정 : 이론과 실제 = 195

  Ⅰ. 정부에서 본 대중 = 195

  Ⅱ. 대중의 자질 = 196

  Ⅲ. '대중'의 개념 재조명 = 197

   1. 대중(Public)의 어원 = 198

    1) 성숙 = 198

    2) 서민 = 198

   2. 대중의 개념 = 199

    1) 사적·개인적인 것과의 관계에서 = 199

     (1) 대중과 개인 = 199

     (2) 대중과 평민 = 199

     (3) 대중과 공동의 선 = 200

    2) 정치적·정부적인 것과의 관계에서 = 200

  Ⅳ. 대중의 역할 = 201

 제15장 TQM의 본질 = 205

  Ⅰ. TQM의 배경 = 205

  Ⅱ. TQM의 주요 내용 = 207

  Ⅲ. TQM의 본질 : 새로운 변화인가? 아니면 고전적 행정기법의 적극적 실행인가? = 209

 제16장 민영화와 정부조직개편 = 213

  Ⅰ. 민영화 = 213

   1. 민영화의 개념 = 213

   2. 민영화에 대한 몇 가지 실례 = 214

    1) 미국의 민영화 = 214

    2) 영국에서의 민영화 - 대처 수상 하에서의 민영화 = 216

    3) 프랑스의 민영화 - 미테랑 하에서의 민영화 = 218

    4) 뉴질랜드의 민영화 = 218

    5) 동구유럽의 민영화 = 219

    6) 서남아시아의 민영화 = 220

    7) 케냐의 민영화 = 220

   3. 교훈 = 221

   4. 결론 = 222

  Ⅱ. 정부조직개편 = 223

   1. 서론 = 223

   2. 개혁에 대한 이론적 접근 = 225

    1) 목표지향적 모형 = 226

     (1) 전통적 실용주의 접근법 = 226

     (2) 감축관리 접근법 = 227

     (3) 경제적 접근법 = 229

     (4) 평가 = 230

    2) 환경의존적 모형 = 231

     (1) 정치학적 접근 = 231

     (2) 상황접근법 = 232

     (3) 생태학적 접근 = 233

    3) 제도적 모형 = 235

   3. 결론 = 237

 제17장 행정윤리 = 241

  Ⅰ. 공적인 도덕과 사적인 도덕 = 241

  Ⅱ. 국가와 최상위의 법 = 242

  Ⅲ. 지도의 유형 = 243

   1. 헌법에 대한 의무 = 243

   2. 법에 대한 의무 = 243

   3. 국가 또는 나라에 대한 의무 = 244

   4. 민주주의에 대한 의무 = 244

   5. 직업 그리고 전문주의에 대한 의무 = 244

   6. 직업 그리고 전무주의에 대한 의무 = 244

   7. 가족 그리고 친구들에 대한 의무 = 245

   8. 자신에 대한 의무 = 245

   9. 중산층 집단에 대한 의무 = 245

   10. 공익 또는 일반복지에 대한 의무 = 245

   11. 인간성 또는 세상 사람들에 대한 의무 = 246

   12. 종교 또는 신에 대한 의무 = 246

  Ⅳ. 지침구성의 필요성 = 246

  Ⅴ. 조사 도구에 대한 필요 = 247

  Ⅵ. 피라미드 수수께끼 = 248

  Ⅶ. 관찰과 반성 = 248

 제18장 행정책임 = 253

  Ⅰ. 서론 = 253

  Ⅱ. '책임성'의 전망 = 254

  Ⅲ. 다른 상황하에서의 '책임성' : NASA의 사례 = 256

  Ⅳ. 새로운 제도적 압력 = 256

  Ⅴ. 결론 = 257

참고문헌 = 25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