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新憲法槪論 第2全訂版

新憲法槪論 第2全訂版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구병삭
서명 / 저자사항
新憲法槪論 / 丘秉朔 著.
판사항
第2全訂版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1996.  
형태사항
xxxiv, 574 p. ; 24 cm.
ISBN
891050370X
일반주기
부록 : 1.대한민국헌법 연혁, 2.헌법개정안의 개정이유, 신.구헌법 대비표, 3.대한민국헌법  
서지주기
색인수록
000 00660namccc200229 k 4500
001 000001038076
005 20100805035233
007 ta
008 990917s1996 ulk 001a kor
020 ▼a 891050370X ▼g 93360: ▼c \22,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62591 ▼l 151062592
082 0 4 ▼a 342.53 ▼2 21
090 ▼a 342.53 ▼b 1996c2
100 1 ▼a 구병삭
245 1 0 ▼a 新憲法槪論 / ▼d 丘秉朔 著.
250 ▼a 第2全訂版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1996.
300 ▼a xxxiv, 574 p. ; ▼c 24 cm.
500 ▼a 부록 : 1.대한민국헌법 연혁, 2.헌법개정안의 개정이유, 신.구헌법 대비표, 3.대한민국헌법
504 ▼a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2.53 1996c2 등록번호 151062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2.53 1996c2 등록번호 1510625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類書에 상술하지 않은 새로운 헌법이론을 수렴하고 헌법을 실용화하기 위하여 개설서로서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구병삭(지은이)

<한국고대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憲法總論
 제1장 憲法의 槪念과 國家
  제1절 憲法의 槪念과 特質
   Ⅰ. 憲法의 槪念 = 3
    1. 意義 = 3
    2. 憲法槪念의 二重性 = 3
    3. 憲法槪念의 역사적 변천 = 4
    4. 形式的 의미의 憲法과 實質的 의미의 憲法 = 5
   Ⅱ. 近代立憲主義憲法에서 現代立憲主義憲法으로 = 5
    1. 近代的 立憲主義憲法 = 5
    2. 現代的 立憲主義憲法 = 6
   Ⅲ. 憲法意義의 憲法觀 = 6
    1. 規範主義的 憲法觀 = 6
    2. 決斷主義的 憲法觀 = 7
    3. 統合過程論的 憲法觀 = 8
   Ⅳ. 憲法의 類型과 法源 = 9
    1. 傳統的 類型 = 9
    2. 獨創的 憲法과 模倣的 憲法 = 10
    3. 憲法의 存在論的 類型 = 10
    4. 歷史的·經濟的 性格에 따른 類型 = 11
    5. 憲法의 法源 = 11
   Ⅴ. 憲法의 法的 特質 = 12
    1. 憲法의 規範的 의미의 法規性 = 12
    2. 憲法의 最高規範性 = 13
    3. 憲法의 政治性과 이데올로기性 = 14
   Ⅵ. 憲法의 機能 = 15
    1. 國家創成의 基礎法으로서의 機能 = 15
    2. 授權的 機能의 基礎法으로서의 機能 = 15
    3. 制限的 基礎法으로서의 機能 = 15
    4. 人權保障法으로서의 機能 = 15
    5. 統治組織法으로서의 機能 = 16
    6. 最高法으로서의 機能 = 16
    7. 根本規範으로서의 機能 = 16
    8. 國民의 統合과 正義實現의 機能 = 16
    9. 國民生活規範의 機能 = 17
    10. 憲法의 自律性的 機能 = 17
    11. 憲法의 機能的 構造와 規範的 構造 = 17
  제2절 憲法解釋
   Ⅰ. 憲法解釋學의 任務와 解釋觀 및 方法 = 19
    1. 憲法解釋學의 任務 = 19
    2. 憲法解釋觀 = 19
    3. 憲法解釋의 方法 = 20
   Ⅱ. 憲法의 諸解釋과 그 限界 = 20
    1. 憲法의 客觀的 存在 = 20
    2. 主觀主義憲法解釋 = 21
    3. 憲法解釋의 學問性과 政治性 = 21
    4. 比較法的·目的論的 解釋 = 22
    5. 社會·政治的 解釋 = 22
    6. 憲法合致的 法律解釋 = 22
    7. 憲法解釋의 限界 = 23
    8. 憲法裁判所의 決定 = 24
   Ⅲ. 憲法의 欠缺과 그 補完 = 24
    1. 憲法의 欠缺 = 24
    2. 欠缺의 補完 = 25
    3. 結語 = 26
  제3절 國家의 構成과 形態
   Ⅰ. 國家의 槪念과 本質 = 26
    1. 國家의 槪念 = 26
    2. 國家의 本質 = 27
   Ⅱ. 國家와 社會 = 28
    1. 一元論 = 29
    2. 二元論 = 29
    3. 結語 = 30
   Ⅲ. 領域 = 30
    1. 領域의 槪念 = 30
    2. 領域의 範圍 = 31
    3. 領土의 變更 = 32
    4. 우리나라의 領土範圍와 그 限界 = 33
   Ⅳ. 國民 = 33
    1. 國民의 槪念 = 33
    2. 國民과 國籍 = 34
    3. 在外國民의 保護 = 35
   Ⅴ. 主權과 統治權 = 35
    1. 主權의 意義 = 35
    2. 主權과 統治權 = 37
   Ⅵ. 國家形態 = 38
    1. 國家形態의 槪念 및 分類 = 38
    2. 君主國과 共和國 = 39
    3. 資本主義體制와 社會主義體制 = 41
    4. 單一國家와 聯邦國家 = 41
    5. 우리나라의 國家形態 = 41
    6. 우리나라 國家形態의 特徵 = 43
 제2장 憲法의 制定과 改正 및 變動·聯邦制度
  제1절 憲法의 制定과 改正 및 그 變動
   Ⅰ. 憲法의 制定 = 45
    1. 憲法의 制定의 意義 = 45
    2. 憲法制定權力 = 45
    3. 憲法制定權力의 本質과 限界 = 46
    4. 憲法制定權力의 主體와 行使方法 = 47
    5. 憲法制定權力과 憲法改正勸力 = 48
    6. 우리 憲法에서의 制定權力 = 49
   Ⅱ. 憲法의 改正 = 49
    1. 憲法改正의 意義 = 49
    2. 憲法改正權力 = 49
    3. 憲法改正의 形式 = 50
    4. 憲法改正의 方法 = 50
    5. 憲法改正의 限界 = 50
    6. 우리 憲法의 改正과 限界 = 51
   Ⅲ. 憲法의 變動과 變遷 = 52
    1. 憲法의 變動 = 52
    2. 憲法의 變遷 = 53
    3. 憲法의變遷의 限界와 結課 = 54
  제2절 韓國憲法의 制定과 改正
   Ⅰ. 第1共和國憲法의 制定 = 55
    1. 第1共和國憲法의 制定 = 55
    2. 第1次 憲法改正 = 56
    3. 第2次 憲法改正 = 57
   Ⅱ. 4·19革命과 第2共和國憲法 = 58
    1. 4·19革命과 體制改革準備 = 58
    2. 第2共和國憲法의 主要 內容 = 59
    3. 第4次 憲法改正 = 59
   Ⅲ. 軍事革命과 第3共和國憲法 = 60
    1. 5·16軍事革命과 非常措置法 = 60
    2. 第3共和國憲法 = 60
    3. 憲法施行延期 改正案과 그 撤回 = 61
    4. 第6次 憲法改正 = 62
   Ⅳ. 10月維新과 第4共和國憲法 = 62
    1. l0月維新宣言과 非常體制突入 = 62
    2. 第4共和國憲法改正 = 63
   Ⅴ. 10·26事態와 第5共和國憲法 = 64
    1. 10·26事態와 過渡期 = 64
    2. 第5共和國憲法 改正案作成經過 = 64
    3. 第5共和國憲法 = 65
    4. 第5共和國出帆의 選擧 = 66
   Ⅵ. 第6共和國憲法 = 67
    1. 全斗煥大統領時代의 不當性과 民意의 表出 = 67
    2. 第6共和國憲法의 主要 內容 = 67
    3. 盧泰愚大統領時代 = 68
   Ⅶ. 金泳三大統領과 政治改革 = 69
    1. 金泳三政府탄생과 政治改革 = 69
    2. 全·盧 前大統領 拘束과 歷史 바로세우기 = 70
  제3절 聯邦國家制度
   Ⅰ. 聯邦國家制度의 槪念 = 71
    1. 序論 = 71
    2. 聯邦國家와 支邦, 單一國家와 地方公共團體 = 72
    3. 聯邦國家와 國家聯合 = 74
    4. 聯邦國家와 宗主國家 = 75
    5. 聯邦國家의 成立 = 75
   Ⅱ. 聯邦國家制度의 一般的 特質 = 76
   Ⅲ. 우리나라의 民主的 聯邦制의 構想 = 77
    1. 聯邦의 區域 = 77
    2. 基本組織 = 78
    3. 各州의 地位·權能 = 78
    4. 聯邦制移行에의 프로세스 = 79
 제3장 우리 憲法의 總綱
  제1절 우리 憲法의 構造와 基本原理
   Ⅰ. 우리 憲法의 構造 = 80
    1. 우리 憲法의 法源 = 80
    2. 第6共和國憲法의 主要 內容 = 81
   Ⅱ. 우리 憲法의 基本原理 = 88
    1. 이데올로기로서의 憲法의 基本原理 = 88
    2. 國民主權主義 = 88
    3. 基本權尊重主義 = 89
    4. 權力分立主義 = 90
    5. 法治主義 = 91
    6. 社會國家主義 = 92
    7. 文化國家主義 = 92
    8. 國際平和主義와 平和統一 = 93
    9. 防禦的 民主主義 = 93
    10. 正義社會理念의 實現 = 94
  제2절 憲法前文과 그 法的 效力
   Ⅰ. 憲法前文의 槪念과 法的 效力 = 95
    1. 憲法前文의 槪念과 立法例 = 95
    2. 憲法前文의 法的 效力 = 95
    3. 우리 憲法前文의 法的 效力 = 96
   Ⅱ. 우리 憲法前文의 內容 = 96
    1. 憲法制定權力 主體 = 96
    2. 建國理念 = 96
    3. 自由民主的 基本秩序 = 97
    4. 祖國의 平和的 統一 = 97
    5. 基本的 人權의 尊重 = 97
    6. 世界平和主義 = 97
    7. 民族文化國家의 指向 = 98
    8. 憲法前文의 思想的 構造 = 98
  제3절 民主的 基本秩序와 文化·福祉國家
   Ⅰ. 民主的 基本秩序의 槪念과 本質 = 99
    1. 韓國憲法과 民主主義理論 = 99
    2. 民主的 基本秩序의 槪念과 本質 = 99
   Ⅱ. 우리 憲法에 있어서의 民主的 基本秩序 = 101
    1. 民主的 基本秩序와 自由民主的 基本秩序 = 101
    2. 自由民主的 基本秩序의 槪念 = 101
    3. 自由民主的 基本秩序와 憲法秩序 = 102
    4. 自由民主的 基本秩序와 제37조 2항 = 102
    5. 民主的 基本秩序의 法的 性格 = 102
   Ⅲ. 우리 憲法上 民主的 基本秩序의 內容과 保障 = 103
    1. 民主的 基本秩序의 內容 = 103
    2. 民主的 基本秩序의 保障 = 103
   Ⅳ. 文化國家 = 104
    1. 憲法文化國家의 槪念 = 104
    2. 우리 憲法上 文化國家의 具現과 責務 = 105
    3. 文化國家의 社會福祉的 규정 = 105
   Ⅴ. 社會國家의 實現 = 106
    1. 社會國家의 槪念 = 106
    2. 우리 憲法에서의 社會國家原理의 구현 = 107
    3. 社會國家의 實現條件 = 109
  제4절 우리 憲法上의 國民主權主義
   Ⅰ. 國民의 憲法上의 地位 = 109
    1. 國民의 意義 = 109
    2. 主權者로서의 國民 = 110
    3. 國家機關으로서의 國民 = 110
    4. 基本權享有者로서의 國民 = 111
    5. 義務主體로서의 國民 = 111
   Ⅱ. 우리 憲法上의 國民主權主義 = 111
    1. 沿革 및 立法例 = 111
    2. 國民主權의 槪念 = 112
    3. 國家主權 = 112
    4. 우리 憲法上의 國民主權와 原理 = 112
    5. 國民主權과 現實의 政治 = 114
  제5절 우리 憲法上의 法의 支配
   Ⅰ. 法의 支配理論 = 115
    1. 法의 支配의 意義와 機能 = 115
    2. 現代憲法에 있어서의 法治主義 = 115
    3. 法의 支配와 法治主義의 差異 = 116
   Ⅱ. 우리 憲法上의 法의 支配의 具現 = 117
    1. 成文憲法主義 = 117
    2. 基本的 人權保障制度 = 117
    3. 權力分立主義 = 118
    4. 適法한 節次에 의한 實現 = 118
    5. 司法權의 保障 = 118
    6. 包括的 委任立法의 禁止 = 118
    7. 國家權力行使의 豫測可能性보장 = 118
    8. 議會民主主義와 法의 支配 = 119
   Ⅲ. 法治主義에 대한 例外 = 119
    1. 緊急財政經濟處分·命令權 및 緊急命令權과 戒嚴宣布權 = 119
    2. 特別權力關係 = 119
  제6절 우리 憲法上의 政黨制度
   Ⅰ. 政黨의 必要性과 憲法規定 = 120
    1. 代議制民主主義에서 政黨制民主主義로 = 120
    2. 우리 憲法上의 政黨規定 = 120
   Ⅱ. 政黨의 槪念과 憲法上의 地位 = 121
    1. 政黨의 槪念 = 121
    2. 政黨의 憲法上의 地位 = 121
    3. 政黨과 一般結社와의 관계 = 122
    4. 政黨設立의 自由와 複數政黨制의 보장 = 122
   Ⅲ. 政黨의 權能·自由·保護·義務 = 123
    1. 政黨의 機能 = 123
    2. 政黨의 自由 = 123
    3. 政黨의 保護 = 123
    4. 政黨의 義務 = 123
   Ⅳ. 政黨의 組織과 登錄取消 및 解散 = 124
    1. 政黨의 組織 = 124
    2. 加入·脫黨의 자유 = 124
    3. 政黨의 登錄取消 = 125
    4. 政黨의 解散 = 125
   Ⅴ. 政治資金 = 126
    1. 後援會寄附金 = 126
    2. 寄託金 = 127
    3. 國庫補助 = 127
  제7절 우리 憲法上의 選擧制度
   Ⅰ. 選擧의 意義와 法的 性格 = 128
    1. 選擧의 意義 = 128
    2. 選擧의 法的 性格 = 128
   Ⅱ. 選擧制度 = 129
   Ⅲ. 選擧區制와 代表制 = 130
    1. 選擧區制 = 130
    2. 代表制 = 130
    3. 國會議員選擧 = 131
    4. 大統領選擧 = 131
    5. 地方議會議員選擧와 地方自治團體의 長選擧 = 131
   Ⅳ. 公職選擧 및 選擧不正防止法의 주요 내용 = 131
  제8절 우리 憲法上의 公務員制度
   Ⅰ. 憲法規定과 公務員의 槪念 = 133
    1. 憲法規定 = 133
    2. 公務員의 槪念 = 134
   Ⅱ. 우리나라 公務員制度의 原則 = 134
    1. 民主的 公務員制度 = 134
    2. 職業公務員制度 = 135
   Ⅲ. 公務員의 權利와 義務 및 責任 = 136
    1. 公務員의 權利 = 136
    2. 公務員의 義務 = 136
    3. 公務員의 責任 = 136
  제9절 우리 憲法上의 對外政策의 基本原則
   Ⅰ. 憲法規定과 立法例 = 137
    1. 憲法規定 = 137
    2. 沿革 및 立法例 = 137
   Ⅱ. 國際平和主義와 平和的 統一 = 138
    1. 國際平和主義의 宣言 = 138
    2. 侵略戰爭의 否認 = 138
    3. 平和的 統一政策의 수립·추진 = 139
    4. 國際法尊重主義 = 139
    5. 유엔安全保障理事會 非常任理事國으로 被選 = 140
    6. 外國人의 法的 地位의 保障 = 140
   Ⅲ. 外交에 관한 規定 = 140
    1. 大統領의 外國에 대한 國家代表 = 140
    2. 條約의 締結·批准 = 141
    3. 外交使節의 信任·接受·派遣 = 141
   Ⅳ. 戰爭에 관한 規定 = 141
    1. 宣戰布告와 講和 = 141
    2. 國軍의 派遣과 外國軍隊의 駐留 = 142
   Ⅴ. 平和的 統指向規定 = 142
    1. 憲法規定 = 142
    2. 對外政策과의 關係 = 142
    3. PKO와 WTO의 특징 = 143
   Ⅳ. 南北韓의 平和的 統一 = 143
    1. 南北韓의 體制 = 143
    2. 統一政策의 過去 = 144
    3. 南北合意書 이후 北韓의 危機 = 144
  제10절 우리 憲法上의 經濟秩序
   Ⅰ. 經濟憲法의 등장 = 145
   Ⅱ. 經濟秩序의 基本原理와 經濟民主化 = 145
    1. 우리 憲法의 經濟條項 = 145
    2. 經濟秩序의 基本原理 = 146
    3. 우리 憲法上의 經濟秩序에 관한 諸規定 = 146
    4. 經濟에 대한 國家的 介入의 限界 = 147
    5. 經濟民主化와 規制·調整 = 147
제2부 基本的 人權論
 제1장 基本的 人權 總論
  제1절 基本的 人權의 發展
   Ⅰ. 人權宣言의 成立 = 151
    1. 英國의 人權保障 = 151
    2. 美國의 權利宣言 = 151
    3. 프랑스의 人權宣言 = 152
   Ⅱ. 19세기 人權宣言의 계보 = 152
   Ⅲ. 人權宣言의 現代的 展開 = 153
    1. 人權의 生存權化 = 153
    2. 自然法思想의 復活과 人權宣言의 國際化 = 153
   Ⅳ. 韓國憲法上의 基本權規定 = 154
  제2절 基本的 人權의 理論
   Ⅰ. 基本的 人權의 意義 = 156
    1. 人權의 槪念 = 156
    2. 基本權의 槪念 = 157
   Ⅱ. 基本的 人權의 性格 = 157
    1. 主觀的 公權性 = 157
    2. 自然權性과 實定權性 = 157
    3. 客觀的 法秩序로서의 基本權 = 158
   Ⅲ. 基本權硏究의 方法 = 158
   Ⅳ. 基本的 人權의 分類 = 158
    1. 各 基準에 따른 分類 = 158
    2. 自由權的 基本權과 生存權的 基本權 = 159
    3. 內容에 따른 分類 = 160
    4. 새로운 人權 = 161
   Ⅴ. 基本的 人權의 主體 = 161
    1. 國民 = 161
    2. 外國人 = 162
    3. 法人 = 164
  제3절 基本的 人權의 保障과 그 效力
   Ⅰ. 基本的 人權의 保障 = 165
    1. 憲法上의 宣言約 保障 = 165
    2. 基本權保障의 基本原則 = 165
    3. 立法·司法·行政에서의 基本權保障 = 166
   Ⅱ. 基本的 人權과 制度的 保障 = 167
    1. 制度的 保障의 意義 = 167
    2. 制度的 保障의 理論 = 167
    3. 制度的 保障의 特質 = 167
    4. 基本權保障과의 關係 및 差異 = 168
    5. 우리 憲法에 있어서의 制度的 保障 = 168
   Ⅲ. 基本的 人權의 國際的 保障 = 169
    1. 國際人權保障法의 生成과 發展 = 169
    2. 國際人權保障法의 現況 = 170
    3. 人權保障의 履行確保 = 171
    4. 國際人權保障法의 展望 = 172
   Ⅳ. 基本的 人權의 效力 = 173
    1. 基本權의 國家權力 一般에 대한 效力 = 173
    2. 各 基本權의 對國家的 效力 = 174
    3. 基本權의 對私人間의 效力 = 176
    4. 우리 憲法上의 基本權規定과 私法關係 = 178
  제4절 基本的 人權의 制限과 그 例外
   Ⅰ. 基本的 人權의 制限 = 179
    1. 序論 = 179
    2. 憲法 제37조 2항 = 179
    3. 基本權制限의 形式 = 181
   Ⅱ. 基本的 人權制限의 限界 = 181
    1. 制限의 程度 = 181
    2. 本質的 內容의 侵害禁止 = 182
   Ⅲ. 基本的 人權制限의 例外 = 182
    1. 序論 = 182
    2. 緊急財政經濟處分·命令 및 緊急命令과 戒嚴宣布 = 183
    3. 特別權力關係 = 183
    4. 條約 = 183
    5. 憲法改正 = 184
  제5절 基本的 人權의 侵害와 그 救濟
   Ⅰ. 基本的 人權의 侵害 = 184
    1. 國家機關에 의한 侵害 = 184
    2. 私人에 의한 侵害 = 185
   Ⅱ. 基本權侵害에 대한 救濟方法 = 186
    1. 行政爭訟制度 = 186
    2. 違憲法令審査制度 = 186
    3. 國家賠償請求權 = 186
    4. 形事補償請求權 = 187
    5. 裁判請求權 = 187
    6. 請願權 = 187
    7. 憲法訴願權 = 188
    8. 犯罪被害救助請求權 = 188
    9. 民願事務의 苦衷處理委員會에 의한 救濟 = 188
    10. 自力救濟 = 189
    11. 抵抗權行使問題 = 189
  제6절 包括的 基本權
   Ⅰ. 人間의 尊嚴과 價値 = 189
    1. 憲法規定과 그 思想的 系譜 = 189
    2. 제10조의 法的 性格 = 190
    3. 人間의 尊嚴과 價値의 內容 = 191
    4. 人間의 尊嚴과 價値의 效力 = 192
    5. 人間의 尊嚴과 價値의 制限 = 192
   Ⅱ. 生命權 = 193
    1. 沿革과 憲法規定 = 193
    2. 生命權의 內容 = 194
    3. 生命權의 限界 = 194
    4. 人工受精子 = 195
    5. 生命의 自己決定權 = 195
    6. 生命權의 侵害에 대한 救濟 = 196
   Ⅲ. 幸福을 追求할 權利 = 196
    1. 憲法規定과 沿革 = 196
    2. 幸福追求의 槪念과 權利性 = 196
    3. 幸福追求權의 本質 = 197
    4. 幸福追求權의 主體와 內容 = 197
    5. 幸福追求權의 效力 = 198
    6. 幸福追求權의 限界와 制限 = 198
   Ⅳ. 平和的 生存權 = 198
    1. 沿革 = 198
    2. 우리 憲法上의 平和的 生存權 = 199
    3. 平和的 生存權의 原理와 定義 = 199
    4. 平和的 生存權의 內容과 構成 = 200
    5. 結語 = 201
   Ⅴ. 새로운 人權 = 201
    1. 序論 = 201
    2. 人權發達上의 새로운 人權의 系譜 = 201
    3. 새로운 人權이 提起되는 要因 = 202
    4. 具體的 權利化의 方法 = 202
   Ⅵ. 人格權 = 203
    1. 人格權의 對象과 範圍 = 203
    2. 憲法上의 人格權 = 204
    3. 民法上 人格權과의 關係 = 204
    4. 私見 = 205
   Ⅶ. 平等權 = 206
    1. 憲法規定과 沿革 = 206
    2. 法的 性格 = 206
    3. 平等權의 主體 = 207
    4. 平等權의 效力 = 207
    5. 平等權의 內容 = 208
    6. 差別禁止의 事由 = 209
    7. 差別禁止의 領域 = 210
    8. 特權制度禁止 = 211
    9. 婚姻과 家族生活에 있어서의 兩性과 平等 = 211
    10. 連坐制의 禁止 = 211
    11. 勞動條件에 있어서의 兩性平等 = 212
    12. 男女雇傭의 平等 = 212
    13. 平等權의 例外 = 213
 제2장 自由權的 基本權
  제1절 自由權의 意義
   Ⅰ. 沿革의 意義 = 214
    1. 沿革 = 214
    2. 意義 = 214
   Ⅱ. 法的 性格 = 215
    1. 自然權性 = 215
    2. 權利性 = 215
   Ⅲ. 自由權의 範圍와 그 分類 = 216
  제2절 精神的 自由權
   Ⅰ. 良心의 自由 = 216
    1. 序論 = 216
    2. 法的 性質 = 217
    3. 良心의 自由의 主體 = 217
    4. 良心의 自由의 內容 = 217
    5. 良心의 自由의 效力 = 218
    6. 良心의 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218
   Ⅱ. 宗敎의 自由 = 219
    1. 憲法規定과 沿革 = 219
    2. 法的 性格 = 220
    3. 宗敎의 自由의 主體와 效力 = 220
    4. 宗敎의 自由의 內容 = 221
    5. 宗敎의 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222
    6. 國敎의 不認定과 政敎分離의 原則 = 222
   Ⅲ. 學問과 藝術의 自由 및 大學의 自律 = 224
    1. 憲法規定과 沿革 = 224
    2. 法的 性格 = 224
    3. 學問의 自由의 主體와 效力 = 225
    4. 學問의 自由의 內容 = 225
    5. 大學의 自律權 = 226
    6. 學問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227
    7. 藝術의 自由 = 227
    8. 著作者·發明家·科學技術者·藝術家의 보호 = 228
   Ⅳ. 言論·出版의 自由 = 228
    1. 憲法規定과 沿革 = 228
    2. 槪念과 機能 = 229
    3. 法的 性格 = 229
    4. 言論·出版의 自由의 主體 = 229
    5. 言論·出版의 自由의 內容 = 230
    6. 言論·出版의 自由의 效力 = 231
    7. 營利的 言論 = 231
    8. 言論·出版의 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232
    9. 言論·出判의 自由의 濫用 = 233
    10. 言論·出版의 責任 = 233
    11. 象徵的 表現 = 234
    12. 定期刊行物의 登錄에 관한 法律 = 234
   Ⅴ. 國民의 알 權利와 情報公開請求權 = 235
    1. 國民의 알 權利 = 235
    2. 精報公開請求權 = 236
    3. 情報化促進 = 237
   Ⅵ. 言論媒體에 대한 액세스權 = 237
    1. 憲法規定과 액세스權의 의미 = 237
    2. 액세스權의 法的 根據 및 主體 = 238
    3. 액세스權의 內容 = 238
    4. 被害의 賠償請求 = 239
   Ⅶ. 集會·結社의 自由 = 240
    1. 憲法規定과 沿革 = 240
    2. 集會·結社의 自由의 法的 性格 = 240
    3. 集會·結社의 自由의 主體 = 240
    4. 集會·結社의 自由의 內容 = 241
    5. 集會·結社의 自由의 效力 = 242
    6. 集會·結社의 自由의 制限 = 242
   Ⅷ. 通信의 秘密 = 244
    1. 憲法規定과 沿革 = 244
    2. 通信의 秘密保障의 法的 性格 및 主體 = 244
    3. 通信의 秘密의 內容 = 244
    4. 通信의 秘密의 效力 = 245
    5. 通信의 秘密의 制限 = 245
   Ⅸ. 私生活의 秘密保護 = 245
    1. 憲法規定과 槪念 = 245
    2. 沿革 및 立法例 = 246
    3. 私生活의 秘密保護의 法的 性格 = 246
    4. 私生活의 秘密保護의 主體 = 246
    5. 私生活의 自由와 秘密權의 內容 = 246
    6. 私生活의 秘密과 自由의 제한 = 247
    7. 私生活의 自由와 秘密의 侵害에 대한 救濟 = 247
   Ⅹ. 自己決定權 = 248
    1. 自己決定權 = 248
    2. 自己決定權의 制約 = 249
    3. 自己決定權의 重複 = 250
   XI. 情報化社會의 促進 = 250
    1. 情報化社會 = 250
    2. 情報集積과 프라이버시의 문제 = 251
    3. 情報病弊의 抑制 = 251
    4. 우리나라 情報化促進基本法上의 定義 = 252
    5. 情報通信施策의 기본원칙 = 252
    6. 情報通信産業의 基盤造成과 高度化 = 253
  제3절 身體의 自由權
   Ⅰ. 身體의 自由 = 254
    1. 憲法規定과 沿革 = 254
    2. 身體의 自由의 意義와 法的 性格 = 255
    3. 身體의 自由의 實體的 保障(Ⅰ) = 255
    4. 身體의 自由의 實體的 保障(Ⅱ) = 257
    5. 身體의 自由의 節次的 保障(Ⅰ) = 259
    6. 身體의 自由의 節次的 保障(Ⅱ) = 261
    7. 身體의 自由의 侵害와 救濟 = 263
   Ⅱ. 住居의 自由 = 264
    1. 憲法規定과 沿革 = 264
    2. 住居의 自由의 法的 性格 = 264
    3. 住居의 自由의 內容 = 264
    4. 住居의 自由의 制限 = 265
   Ⅲ. 居住·移轉의 自由 = 265
    1. 憲法規定과 沿革 = 265
    2. 意義·法的 性格 및 主體 = 266
    3. 居住·移轉의 自由의 內容 = 267
    4. 居住·移轉의 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267
    5. 亡命權의 문제 = 267
  제4절 經濟的 自由權
   Ⅰ. 職業選擇의 自由 = 268
    1. 憲法規定과 沿革 = 268
    2. 職業選擇의 自由의 法的 性格 = 268
    3. 職業選擇의 自由의 主體 = 269
    4. 職業選擇의 自由의 內容 = 269
    5. 職業選擇의 自由의 效力 = 270
    6. 職業選擇의 自由의 制限과 그 限界 = 270
   Ⅱ. 財産權의 保障 = 271
    1. 憲法規定과 沿革 = 271
    2. 財産權保障의 法的 性格 = 271
    3. 財産權의 主體 = 272
    4. 財産權保障의 內容 = 272
    5. 財産權保障의 限界와 行使의 公共福利適合義務 = 273
    6. 財産權의 制限과 補償 = 273
    7. 土地財産權의 公用化 = 274
   Ⅲ. 消費者의 權利와 保護 = 275
    1. 憲法規定과 消費者의 地位 = 275
    2. 消費者의 權利의 內容 = 275
    3. 消費者의 保護 = 276
    4. 韓國消費者保護院과 被害救濟 = 277
 제3장 生存權的 基本權
  제1절 生存權과 人間다운 生活을 할 권리
   Ⅰ. 生存權 = 278
    1. 沿革 및 立法例 = 278
    2. 生存權의 意義와 構造 = 279
    3. 生存權의 法的 性格 = 279
    4. 自由權的 基本權과 生存權的 基本權의 關係 = 280
    5. 兩基本權의 調和關係 = 281
    6. 憲法上 兩者關係의 具體的 例 = 281
   Ⅱ. 人間다운 生活을 할 權利 = 282
    1. 人間다운 生活을 할 權利 = 282
    2. 人間다운 生活을 할 權利의 侵害와 救濟 = 282
    3. 社會保障基本法 = 285
  제2절 敎育을 받을 權利와 敎育을 받게 할 義務
   1. 憲法規定과 沿革 = 285
   2. 敎育을 받을 權利의 法的 性格 = 286
   3. 敎育을 받을 權判의 主體 = 286
   4. 敎育을 받을 權利의 內容 = 287
   5. 敎育을 받게 할 義務와 義務敎育 無償의 원칙 = 288
   6. 敎育制度의 保障 = 288
  제3절 勤勞의 權利와 勤勞三權
   Ⅰ. 勤勞의 權利와 義務 = 289
    1. 憲法規定과 沿革 = 289
    2. 勤勞의 權利의 法的 性格 = 290
    3. 勤勞의 權利의 主體와 內容 = 290
    4. 勤勞의 權利의 效力과 制限 = 292
    5. 最低賃金制의 保障 = 292
    6. 勤勞의 義務 = 293
   Ⅱ. 勤勞三權 = 294
    1. 憲法規定과 沿革 = 294
    2. 法的 性格 = 294
    3. 勤勞三權의 主體 = 295
    4. 勤勞權의 內容 = 295
    5. 勤勞三權의 效力 = 296
    6. 勤勞三權의 制限과 그 限界 = 297
  제4절 家族生活權과 環境權
   Ⅰ. 家族生活權 = 298
    1. 憲法規定과 沿革 = 298
    2. 法的 性格 = 298
    3. 婚姻과 家族生活 및 兩性의 平等 = 298
    4. 國家의 母性保護 = 299
    5. 國民保健의 관한 國家의 保護 = 299
   Ⅱ. 環境權과 住居 = 299
    1. 憲法規定과 沿革 = 299
    2. 環境權의 法的 性格 = 300
    3. 環境權의 主體와 內容 = 300
    4. 住宅開發政策 = 301
    5. 住宅基本法의 定立 = 301
    6. 環境權의 效力 = 301
    7. 環境權의 制限 = 302
    8. 環境權의 侵害와 救濟 = 302
    9. 環境關係法의 制定과 改正 = 303
 제4장 請求權的 基本權
  제1절 請求權的 基本權과 請願權
   Ⅰ. 請求權的 基本權 = 304
   Ⅱ. 請願權 = 305
    1. 憲法規定과 沿革 = 305
    2. 請願權의 法的 性格 = 305
    3. 請願權의 主體와 內容 = 306
    4. 請願權의 效果와 制限 = 306
    5. 請願權과 옴부즈만 = 307
   Ⅲ. 民願事務苦衷救濟 = 307
  제2절 裁判을 받을 權利와 刑事補償請求權
   Ⅰ. 裁判을 받을 權利 = 307
    1. 憲法規定과 沿革 = 307
    2. 裁判을 받을 權利의 法的 性格 = 308
    3. 裁判을 받을 權利의 內容 = 308
    4. 例外的 適用 = 309
    5. 法律에 의한 裁判을 받을 權利 = 309
    6. 軍事法院의 裁判을 받지 않을 權利 = 310
    7. 迅速한 公開裁判을 받을 權利 = 311
    8. 刑事被害者陳述權 = 311
    9. 裁判을 받을 權利의 制限 = 311
   Ⅱ. 刑事補償請求權 = 312
    1. 憲法規定과 沿革 = 312
    2. 刑事補償請求權의 性格 = 312
    3. 刑事補償請求權의 內容 = 313
    4. 刑事補償法上의 問題點 = 314
  제3절 國家補償請求權
   Ⅰ. 損失補償請求權 = 315
    1. 憲法規定과 沿革 = 315
    2. 損失補償請求權의 法的 性格 = 315
    3. 損失補償請求權의 根據와 補償基準 = 316
    4. 補償金의 支拂方法과 不服 = 317
   Ⅱ. 國家賠償請求權 = 318
    1. 憲法規定과 沿革 = 318
    2. 國家賠償請求權의 法的 性格 = 318
    3. 國家賠償請求權의 主體 = 319
    4. 國家賠償請求權의 內容 = 319
    5. 國家賠償請求權의 制限 = 321
  제4절 犯罪被害救助請求權
   1. 憲法規定과 沿革 = 321
   2. 犯罪被害者救助의 本質 = 322
   3. 犯罪被害救助請求權의 法的 性格 = 323
   4. 犯罪被害救助請求權의 要件 = 323
   5. 犯罪被害救助請求權의 主體 = 325
   6. 犯罪被害救助金 = 326
   7. 犯罪被害救助審議會와 그 節次 = 327
   8. 犯罪被害救助와 다른 權利와의 關係 = 328
 제5장 參政權과 國民의 義務
  제1절 參政權
   Ⅰ. 參政權의 意義와 性質 = 329
    1. 意義와 憲法規定 = 329
    2. 參政權의 法的 性格 = 329
    3. 參政權의 主體와 內容 = 330
   Ⅱ. 間接參政權 = 330
    1. 選擧權 = 330
    2. 公務擔任權 = 331
   Ⅲ. 直接參政權 = 332
    1. 直接參政權의 意義와 憲法規定 = 332
    2. 國民投栗의 機能과 逆機能 = 333
    3. 國民投栗의 種類 = 334
    4. 憲法 제72조의 문제 = 334
    5. 住民投票 = 334
   Ⅳ. 抵抗權 = 334
    1. 抵抗權의 槪念과 憲法規定 = 334
    2. 抵抗權의 理論的 根據 = 335
    3. 抵抗權의 內容 = 335
    4. 抵抗權의 革命 및 緊急權 = 336
  제2절 國民의 基本義務
   Ⅰ. 國民의 基本義務의 意義와 法的 性格 = 336
    1. 憲法規定과 沿革 = 336
    2. 國民의 基本義務의 法的 性格 = 337
   Ⅱ. 國民의 基本義務의 內容 = 337
    1. 納稅의 義務 = 337
    2. 國防의 義務 = 338
    3. 敎育의 義務 = 339
    4. 勤勞의 義務 = 339
    5. 財産權行使의 公共福利適合義務 = 339
    6. 環境保全義務 = 339
제3부 統治構造
 제1장 統治構造 總說
  제1절 立憲·民主政治와 國民代表制
   Ⅰ. 立憲·民主政治에서의 文民統制 = 343
    1. 文民統制의 意義 = 343
    2. 憲法規定과 文民統制의 種類 = 343
    3. 文民統制의 理想的 實現 = 344
   Ⅱ. 國民代表制 = 345
    1. 國民主權主義와 國民代表制 = 345
    2. 國民代表制의 法的 性格 = 345
  제2절 權力分立制度
   Ⅰ. 權力分立의 意義와 特性 = 346
    1. 權力分立의 意義 = 346
    2. 權力分立의 特性 = 347
    3. 權力分立主義의 現代的 必要性 = 347
   Ⅱ. 權力分立論의 發展 = 348
    1. 로크의 權力分立論 = 348
    2. 몽테스키외의 權力分立論 = 348
    3. 뢰벤슈타인의 機能的 三分論 = 348
   Ⅲ. 權力分立論에서의 三權의 意味 = 349
    1. 實質的 意味의 立法 = 349
    2. 實質的 意味의 行政 = 349
    3. 實質的 意味의 司法 = 349
   Ⅳ. 權力分立論의 制度化와 그 類型 = 350
    1. 立法府와 行政府와의 관계에서 본 類型 = 350
    2. 司法府와 立法府·行政府와의 관계에서 본 類型 = 350
   Ⅴ. 權力分立制의 現代的 變容 = 351
    1. 國民主權主義와 權力分立 = 351
    2. 民主主義原理와 權力分立 = 352
   Ⅵ. 우리나라 憲法上의 權力分立制度 = 353
    1. 變遷 = 353
    2. 현행 제6공화국헌법상의 權力分立制度 = 354
  제3절 政府形態論
   Ⅰ. 政府形態의 意義와 類型 = 356
    1. 政府形態의 意義 = 356
    2. 政府形態의 類型 = 356
   Ⅱ. 大統領制 = 357
    1. 大統領制의 意義 = 357
    2. 大統領制의 歷史 = 357
    3. 大統領制의 特質 = 357
    4. 大統領制의 長點과 短點 = 358
   Ⅲ. 議院內閣制 = 359
    1. 議院內閣制의 意義 = 359
    2. 議院內閣制의 特質 = 359
    3. 議院內閣制의 類型 = 360
    4. 議院內閣制의 長點과 短點 = 361
    5. 議購內閣制實現의 前提條件 = 361
   Ⅳ. 二元政府制 = 362
    1. 二元政府制의 槪念과 構造 = 362
    2. 二元政府制의 類型 = 363
    3. 二元政晴制의 長點과 短點 = 364
   Ⅴ. 우리 憲法上의 政府形態 = 365
    1. 變遷 = 365
    2. 제6공화국헌법상의 政府形態 = 365
  제4절 國家機關과 國家元首制度
   Ⅰ. 國家機關의 槪念과 種類 = 368
    1. 國家機關의 槪念 = 368
    2. 國家機關의 種類 = 369
   Ⅱ. 國家機關으로서의 國民 = 370
    1. 國家機關으로서의 國民의 意義와 資格 = 370
    2. 國家機關으로서의 國民의 權限 = 370
   Ⅲ. 國家元首制度 = 371
    1. 國家元首의 槪念 = 371
    2. 國家元首의 數와 選任方法 = 372
    3. 元首의 地位 = 372
 제2장 우리 憲法上의 國會(立法府)
  제1절 議會와 議會主義
   Ⅰ. 議會와 議會制度의 發展 = 373
    1. 議會와 議會制度 = 373
    2. 議會制度의 發展 = 373
   Ⅱ. 議會와 國民代表制 = 374
    1. 國民代表性의 法的 性格 = 374
    2. 國民代表性의 變質과 代表性의 保障方式 = 375
   Ⅲ. 議會民主主義의 構造와 그 危機 = 375
    1. 議會民主主義의 構造 = 375
    2. 野黨의 機能 = 376
    3. 議會民主主義의 危機 = 377
   Ⅳ. 우리나라 國會의 憲法上의 地位 = 377
    1. 國會의 憲法上의 地位 = 377
    2. 國民代表機關으로서의 地位 = 378
    3. 立法機關으로서의 地位 = 378
    4. 國會의 對政府統制機關으로서의 地位 = 378
    5. 國會의 最高機關性問題 = 379
  제2절 國會의 構成과 組織
   Ⅰ. 兩院制와 單院制 = 379
    1. 意義 = 379
    2. 兩院制와 單院制의 長點과 短點 = 379
    3. 兩議院間의 關係 = 380
   Ⅱ. 現行 憲法上의 國會의 構成과 組織 = 380
    1. 國會의 構成과 國會議員의 定數 = 380
    2. 國會의 組織 = 381
   Ⅲ. 國會議員選擧와 그 改善策 = 382
    1. 國會의 構成과 國會議員의 定數 = 382
    2. 國會議員의 選擧 = 382
    3. 選擧의 種類 = 383
    4. 投票結果出口調査 = 383
    5. 議員의 任期開始 = 384
    6. 現行 國會議員選擧의 改善點 = 384
    7. 私見 = 384
  제3절 國會의 立法權과 立法過程
   Ⅰ. 國會의 立法權 = 385
    1. 憲法規定과 立法權의 槪念 = 385
    2. 立法權의 範圍와 限界 = 386
   Ⅱ. 國會의 立法過程 = 387
    1. 立法過程의 意義 = 387
    2. 國會의 會期와 議事原則 및 定足數 = 387
    3. 國會의 法律制定節次 = 388
    4. 立法審議過程에서 改善해야 할 점 = 389
  제4절 國會의 權限
   Ⅰ. 立法에 관한 權限 = 391
   Ⅱ. 財政에 관한 權限 = 391
    1. 財政에 관한 基本原則 = 391
    2. 租稅法律主義 = 391
    3. 豫算審議議決權 = 392
    4. 豫算과 法律과의 關係 = 393
    5. 豫算과 관련된 制度 = 393
    6. 기타 財政에 관한 權限 = 394
   Ⅲ. 憲法機關構成權 = 395
   Ⅳ. 彈劾訴追權 = 395
   Ⅴ. 國政監査權 및 國政調査權 = 397
    1. 意義 및 沿革 = 397
    2. 國政監査權과 國政調査權의 關係 = 397
    3. 國政監査·調査權의 本質 = 398
    4. 國政監査·調査權의 主體 = 398
    5. 國政監査·調査權의 行使方法과 節次 = 398
    6. 감사·조사의 對象과 範圍 = 399
    7. 감사·조사권의 限界 = 399
    8. 감사·조사 결과의 보고 및 처리 = 400
   Ⅵ. 옴부즈만制度와 特別檢事制 = 401
    1. 옴부즈만制 = 401
    2. 特別檢事制 = 401
  제5절 國會의 自律權
   Ⅰ. 國會의 自律權의 意義 = 402
   Ⅱ. 國會의 自律權의 內容 = 403
    1. 國會規則定權과 議事進行自律權 = 403
    2. 內部組織權과 秩序維持權 = 403
    3. 議員身分關與權과 自律權 = 404
  제6절 國會議員의 地位와 特權
   Ⅰ. 國會議員의 地位 = 404
    1. 國會議員의 憲法上의 地位 = 404
    2. 議員資格의 發生과 消滅 = 405
   Ⅱ. 國會議員의 特權 = 406
    1. 意義 = 406
    2. 國會議員의 不逮捕特權 = 406
    3. 國會議員의 發言·表決의 免責特權 = 407
    4. 歲費 기타 便益을 받을 權利 = 408
   Ⅲ. 國會議員의 權利와 義務 = 409
  제7절 政府의 對國會牽制와 國書의 對敢府牽制
   Ⅰ. 政府의 對國會牽制 = 410
   Ⅱ. 國會의 對政府牽制 = 411
   Ⅲ. 結語 : 國會와 行政府의 均衡 = 414
 제3장 우리 憲法上의 大統領
  제1절 大統領의 憲法上의 地位
   Ⅰ. 大統領 地位類型 = 415
   Ⅱ. 우리 憲法上의 大統領地位의 變遷 = 415
   Ⅲ. 大統領의 憲法上의 地位 = 416
    1. 國家元首로서의 地位 = 416
    2. 行政府首班으로서의 地位 = 417
  제2절 大統領의 身分上의 地位
   Ⅰ. 大統領選擧 = 419
    1. 國民의 直接選擧 = 419
    2. 大統領被選擧權 = 419
    3. 大統領選擧方法 = 419
   Ⅱ. 大統領의 就任宣誓와 任期問題 = 420
    1. 大統領의 就任宣誓 = 420
    2. 大統領의 任期와 그 延長問題 = 421
   Ⅲ. 大統領의 義務와 特權 = 421
    1. 大統領의 義務 = 421
    2. 大統領의 刑事上의 特權과 彈劾訴追 = 421
   Ⅳ. 大統領의 權限代行과 前職大統領에 대한 禮遇 = 422
    1. 大統領의 權繼代行 = 422
    2. 前職大統領에 대한 禮遇 = 422
  제3절 大統領의 權限
   Ⅰ. 國家元首로서의 大權 = 423
    1. 國家緊急權 = 423
    2. 緊急財政經濟處分·命令權 및 緊急命令權의 發動要件과 內容 = 423
    3. 緊急財政經濟處分·命令權 및 緊急命令權의 效力과 期間 = 424
    4. 緊急財政經濟處分·命令權 및 緊急命令權에 대한 統制 = 425
    5. 戒嚴宣布權 = 426
    6. 戒嚴의 效力 = 427
    7. 戒嚴의 解除와 統制 = 428
    8. 國民投票附議에 관한 權限 = 428
   Ⅱ. 國家元首로서의 權限 = 429
    1. 憲法機關構成者 任命權 = 429
    2. 國家代表로서의 外交에 관한 權限 = 429
    3. 國軍統帥權 = 429
    4. 榮典授與權 = 429
    5. 赦免權 = 430
   Ⅲ. 大統領의 行政府에 관한 權限 = 430
    1. 大統領의 行政權의 槪念 = 430
    2. 行政府의 指揮·監督權 = 430
    3. 政府構成權과 公務員任命權 = 430
    4. 各種會議主宰權 = 431
    5. 財政에 관한 權限 = 431
    6. 政黨解散提訴權 = 431
    7. 行政立法에 관한 權限 = 431
    8. 行政立法에 관한 統制 = 432
   Ⅳ. 大統領의 國會에 관한 權限 = 433
    1. 國會의 臨時集會要求權 = 433
    2. 國會에의 出席·發言權 = 433
    3. 立法에 관한 權限 = 433
    4. 法律案公布權 = 434
   Ⅴ. 大統領의 法院에 관한 權限 = 435
   Ⅵ. 憲法裁判所와 中央選擧管理委員會에 관한 權限 = 435
  제4절 大統領의 權限行使에 대한 統制
   Ⅰ. 政府內에서의 統制 = 435
    1. 國務會議의 審議 = 435
    2. 諮問機關의 諮問 = 435
    3. 副署 = 436
   Ⅱ. 政府外機關에 의한 統制 = 436
    1. 國會에 의한 統制 = 436
    2. 法院에 의한 統制 = 436
    3. 憲法裁判所에 의한 統制 = 436
    4. 기타 節次上의 統制 = 437
    5. 國民에 의한 統制 = 437
 제4장 우리 憲法上의 行政府
  제1절 政府의 槪念과 構造
   1. 槪念 = 438
   2. 우리나라 政府의 構造 = 438
  제2절 國務總理와 國務委員
   Ⅰ. 國務總理 = 438
    1. 國務總理制度의 類型 = 438
    2. 우리나라 國務總理制度의 變遷 = 439
    3. 現行 憲法上의 國務總理制度의 意義 = 439
    4. 國務總理의 憲法上의 地位 = 439
    5. 國務總理의 身分上의 地位 = 440
    6. 國務總理의 權限. = 441
    7. 國務總理의 責任과 義務 = 443
    8. 國務總理制의 改善 = 443
   Ⅱ. 國務委員 = 444
  제3절 國務會議
   Ⅰ. 國務會議制度의 類型과 그 性格 = 444
   Ⅱ. 우리나라 國務會議의 類型과 性格 = 445
   Ⅲ. 國務會議의 構成과 運營 = 446
    1. 構成 = 446
    2. 國務會議의 審議節次 = 446
    3. 國務會議의 審議事項 = 446
    4. 審議에 대한 效力 = 447
  제4절 大統領의 諮問機構
   Ⅰ. 國家元老諮問會議 = 448
   Ⅱ. 國家安全保障會議 = 448
   Ⅲ. 民主平和統一諮問會議 = 448
   Ⅳ. 國民經濟諮問會議 = 449
   Ⅴ. 國家科學技術諮問會議 = 449
  제5절 行政各部
   Ⅰ. 行政各部의 意義와 組織 = 449
   Ⅱ. 行政各部長官의 地位 = 451
   Ⅲ. 行政各部長官의 權限 = 451
  제6절 監査院
   Ⅰ. 憲法規定과 目的 = 452
   Ⅱ. 監査院의 憲法上의 地位와 組織 = 452
    1. 監査院의 憲法上의 地位 = 452
    2. 監査院의 組織 = 453
   Ⅲ. 監査院의 權限과 運營 = 453
    1. 監査院의 權限 = 453
    2. 監査院의 運營 = 454
  제7절 選擧管理
   Ⅰ. 選擧管理委員會의 組織과 地位 = 454
    1. 選擧管理委員會의 意義 = 454
    2. 選擧管理委員會의 憲法上의 地位 = 454
   Ⅱ. 選擧管理委員會의 組織과 權限 = 455
    1. 選擧管理委員會의 組織 = 455
    2. 選擧管理委員會의 權限과 職務 = 455
   Ⅲ. 選擧運動과 費用 = 455
  제8절 地方自治
   Ⅰ. 地方自治의 意義와 本質 = 456
    1. 地方自治의 意義 = 456
    2. 地方自治의 本質 = 456
   Ⅱ. 地方自治制度 = 456
    1. 住民自治와 團體自治 = 456
    2. 住民投票 = 457
    3. 우리나라의 地方自治制度 = 457
   Ⅲ. 地方自治에 관한 國家의 監督 = 457
    1. 監督方法 = 457
    2. 監督의 程度 = 458
   Ⅳ. 地方自治團體 = 458
    1. 地方自治團體의 槪念과 基本原則 = 458
    2. 地方自治團體의 種類와 構成要素 = 458
    3. 地方自治法改正 중 主要 內容 = 459
   Ⅴ. 地方議會議員選擧 = 461
    1. 選擧期間과 選擧日 = 462
    2. 選擧管理와 選擧區 = 462
    3. 候補者와 選擧運動 = 462
    4. 投·開票 = 463
    5. 當選 및 爭訟 = 463
   Ⅶ. 地方自治團體의 長選擧 = 463
    1. 選擧區·選擧日 = 464
    2. 候補者推薦과 寄託金 = 464
    3. 選擧運動 = 464
    4. 選擧에 관한 爭訟 = 466
    5. 罰則 = 466
 제5장 우리 憲法上의 法院(司法府)
  제1절 司法權의 槪念·範圍·限界
   Ⅰ. 司法權의 槪念 = 467
    1. 實質說 = 467
    2. 形式說 = 467
   Ⅱ. 司法權의 範圍 = 468
    1. 廣義의 司法 = 468
    2. 狹義의 司法 = 468
   Ⅲ. 司法權의 限界 = 469
    1. 憲法上의 限界 = 469
    2. 司法本質上의 限界 = 469
    3. 政策的·現實的 限界 = 470
    4. 國際法上의 限界 = 471
  제2절 司法權의 獨立
   Ⅰ. 憲法規定과 司法權獨立의 意義 = 471
    1. 憲法規定 = 471
    2. 司法權獨立의 意義 = 471
   Ⅱ. 法院의 獨立 = 472
    1. 立法府로부터의 獨立 = 472
    2. 行政府로부터의 獨立 = 472
   Ⅲ. 法官의 裁判上의 獨立 = 472
    1. 憲法과 法律에 의한 審判 = 473
    2. 良心에 따른 審判 = 473
    3. 獨立하여 행하는 審判 = 473
   Ⅳ. 法官의 分身上의 獨立 = 473
    1. 法官人事의 獨立 = 473
    2. 法官의 資格制·任期制 및 停年制 = 474
   Ⅴ. 司法權獨立에 대한 制約事由 = 474
  제3절 法院의 組織과 權限
   1. 우리나라 大法院의 地位의 變遷 = 475
   2. 現行 憲法上의 大法院의 地位 = 476
   3. 大法院의 組織과 傘下機關 = 477
   4. 大法院의 管轄權 = 479
   5. 高等法院·特許法院·地方法院·家庭法院·行政法院의 組織과 審判權 = 480
   6. 軍事法院 = 484
   7. 特別法院의 問題 = 485
  제4절 司法節次
   Ⅰ. 裁判의 審級制 = 485
    1. 三審制의 原則 = 485
    2. 行政訴訟의 二∼三審制 = 486
    3. 選擧訴訟의 單審制 = 486
    4. 非常戒嚴下 軍事法院의 單審制 = 486
   Ⅱ. 裁判의 公開制 = 487
    1. 憲法規定과 意義 = 487
    2. 裁判公開의 範圍 = 487
    3. 裁判公開의 停止 = 487
    4. 裁判公開의 例外 = 488
   Ⅲ. 法廷의 秩序維持 = 488
    1. 報道의 自由 = 488
    2. 裁判批判 = 488
    3. 法廷의 秩序維持 = 488
  제5절 法院의 司法作用
   Ⅰ. 違憲法律審判提請權 = 489
    1. 憲法規定과 意義 = 489
    2. 違憲法律審判提請權의 主體와 節次 = 489
    3. 違憲法律審判의 對象 = 489
    4. 違憲法律審判提請權의 要件 = 490
    5. 違憲法律審判提請의 效力과 違憲決定의 效力 = 490
   Ⅱ. 命令·規則審査權 = 491
    1. 憲法規定과 槪念 = 491
    2. 命令·規則審査權의 主體 = 491
    3. 命令·規則審査의 範圍와 對象 및 그 예외 = 491
    4. 命令·規則審査의 基準과 節次 = 492
    5. 違憲·違法한 命令·規則의 效力 = 492
   Ⅲ. 行政處分審査權 = 493
    1. 憲法規定과 意義 = 493
    2. 行政處分審査權 = 493
    3. 우리나라의 行政處分審査制度 = 494
   Ⅳ. 大法院規則制定權 = 494
    1. 意義 = 494
    2. 規則制定의 事項과 範圍 = 495
    3. 大法院規則의 效力 = 495
  제6절 國會와 法院의 相互牽制와 法院과 政府의 相互牽制
   Ⅰ. 國會의 法院에 대한 關係 = 496
    1. 司法에 관한 立法權 = 496
    2. 國會의 豫算審議確定權 = 496
    3. 大法院長·大法官任命同意權 = 497
    4. 國會의 彈劾訴追權 = 497
    5. 國會議員의 特權 = 497
    6. 國政監査權 및 國政調査權 = 498
   Ⅱ. 法院의 國會에 대한 關係 = 498
    1. 違憲法律審判請權 = 498
    2. 國會規則審査權 = 498
    3. 大法院의 國會議員選擧訴訟管轄權 = 498
   Ⅲ. 法院과 國會의 融和와 優劣關係 = 499
   Ⅳ. 法院의 政府에 대한 關係 = 499
    1. 命令·規則·處分審査權 = 499
    2. 違憲法律審判提請權 = 500
    3. 行政訴訟管轄權 = 500
    4. 選擧訴訟管轄權 = 501
    5. 統治行爲와 司法審査 = 501
   Ⅴ. 政府의 法院에 대한 關係 = 501
    1. 政府의 立法關與權 = 501
    2. 大法院長 및 大法官任命權 = 502
    3. 豫算案編成權 = 502
    4. 赦免權 = 502
    5. 緊急命令權 = 503
    6. 戒嚴宣布權 = 503
   Ⅵ. 政府와 法院의 融和와 優劣關係 = 503
    1. 法院과 政府의 融和 = 503
    2. 法院과 政府의 優劣關係 = 503
 제6장 憲法保障制度
  제1절 憲法保障의 意義와 類型
   Ⅰ. 憲法保障의 意義 = 505
   Ⅱ. 憲法保障의 類型 = 505
    1. 옐리네크의 類型 = 505
    2. 켈젠의 類型 = 506
    3. 메르크의 類型 = 506
  제2절 憲法의 守護者
   Ⅰ. 憲法守護者로서의 公務員 = 507
    1. 公務員의 憲法守護義務 = 507
    2. 緊急權 = 507
   Ⅱ. 憲法守護者로서의 國民 = 507
  제3절 憲法裁判制度
   Ⅰ. 憲法裁判制度의 意義와 立法例 = 508
    1. 憲法裁判의 意義 = 508
    2. 立法例 = 508
   Ⅱ. 憲法裁判制度의 根據·本質·類型 = 509
    1. 根據 = 509
    2. 本質 = 509
    3. 類型 = 509
  제4절 우리나라의 憲法裁判所
   Ⅰ. 憲法規定과 立法例 = 510
    1. 憲法規定 = 510
    2. 立法例 = 510
   Ⅱ. 우리나라 憲法裁判制度의 變遷 = 510
   Ⅲ. 憲法裁判所의 構成 = 511
   Ⅳ. 憲法裁判所의 地位 = 512
   Ⅴ. 違憲法律審判權 = 513
    1. 審判機關 = 513
    2. 審判內容 = 513
    3. 審判對象 = 513
    4. 審判基準 = 514
    5. 審判節次 = 514
    6. 憲法裁判所의 審判決定 = 515
    7. 違憲決定의 效果 = 516
   Ⅵ. 彈劾審判權 = 516
    1. 意義 = 516
    2. 節次와 決定 = 517
    3. 彈劾決定의 效果 = 517
   Ⅶ. 政黨解散審判權 = 517
    1. 意義 = 517
    2. 節次와 決定 = 517
    3. 解散決定의 效果 = 517
   Ⅷ. 機關間 權限爭議審判權 = 518
    1. 機關間 權限爭議審判制度의 意義 = 518
    2. 機關間 權限爭議審判制度의 基本問題 = 519
    3. 請求의 事由 및 期間 = 521
    4. 請求의 節次 및 決定 = 521
   Ⅸ. 憲法訴願審判權 = 521
    1. 憲法訴願의 意義 및 沿革 = 522
    2. 憲法訴願의 本質 = 523
    3. 憲法訴願의 請求要件 = 525
    4. 事前審査 = 526
    5. 審理 및 決定 = 527
    6. 負擔金制度 = 527
    7. 結語 = 528
附錄
 大韓民國憲法 沿革 = 531
 憲法改正案의 改正理由 = 533
 新·舊憲法 對比表 = 534
 大韓民國憲法 = 549
索引(人名·事項) = 56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