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새)행정학 / 개정판

(새)행정학 / 개정판 (5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종수, 李鐘受, 1948- 윤영진, 尹榮鎭, 1952-
서명 / 저자사항
(새)행정학 / 이종수 ; 윤영진 외 공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1997.  
형태사항
796 p. : 도표 ; 26 cm.
ISBN
8976440390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찾아보기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01036484
005 20220511094957
007 ta
008 990818s1997 ulkd 001a kor
020 ▼a 8976440390 ▼g 93350 : ▼c \25,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49 0 ▼l 151066058 ▼l 151066059 ▼l 151069741 ▼l 151069742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1997j
245 2 0 ▼a (새)행정학 / ▼d 이종수 ; ▼e 윤영진 외 공저.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1997.
300 ▼a 796 p. : ▼b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504 ▼a 찾아보기 수록
700 1 ▼a 이종수, ▼g 李鐘受, ▼d 1948- ▼0 AUTH(211009)103776
700 1 ▼a 윤영진, ▼g 尹榮鎭, ▼d 1952- ▼0 AUTH(211009)22253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7j 등록번호 1510660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7j 등록번호 1510697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종수(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득 UC. Berkeley Research Associate 日本 中央大學校 政策文化硏究所 招聘硏究員 한국행정학회 회장 역임 서울행정학회 회장 역임 한국행정사연구회 회장 역임 한국정치학회 이사 행정고시, 사법고시, 외무고시 출제위원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현)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판 머리말 = 3
머리말 = 5
제1편 행정이란 무엇인가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 23
  제1절 행정의 개념 = 23
   1. 행정의 개념 = 24
   2. 행정과 경영 = 26
  제2절 행정의 구조 = 29
   1. 행정구조의 의의 = 29
   2. 우리 나라의 행정구조 = 30
   3. 우리 나라 행정조직의 변천과정 = 31
  제3절 행정의 기능 = 34
   1. 행정기능의 분류 = 34
   2. 우리 나라 행정기능의 변천과정 = 43
  제4절 행정의 담당자 = 46
   1. 공무원의 분류 = 46
   2. 공무원 정원의 증가 추이 = 49
 제2장 행정의 환경 = 54
  제1절 행정과 정치 = 54
   1. 행정과 정치 : 이원론과 일원론 = 55
   2. 행정에 대한 정치적 통제와 관료제의 자율성 = 57
   3. 한국에서의 행정과 정치 = 58
  제2절 행정과 경제 = 62
   1. 행저에 대한 경제의 영향 = 62
   2. 경제에 대한 행정의 영향 = 64
  제3절 행정과 사회 = 66
   1. 행정의 사회 의존성 = 67
   2. 행정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 69
 제3장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과 접근방법 = 72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72
   1. 사회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73
   2. 행정학의 전문직업적 성격 = 77
   3. 행정학의 기술성과 과학성 = 79
   4. 행적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 84
   5. 행정학의 가치판단과 가치중립성 = 86
  제2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88
   1. 접근방법의 의의 = 88
   2. 역사적 접근방법 = 90
   3. 법률적·제도론적 접근방법 = 91
   4. 관리기능적 접근방법 = 93
   5. 생태론적 접근방법 = 94
   6. 행태론적 접근방법 = 95
   7. 후기행태주의 = 96
   8. 체제적 접근방법 = 98
   9.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100
   10. 현상학적 접근방법 = 103
   11.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104
 제4장 행정학의 발달과 이론의 변천 = 110
  제1절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과정 = 110
   1. 독일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과정 = 111
   2. 프랑스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과정 = 113
   3. 영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과정 = 115
   4. 미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과정 = 116
   5. 한국 행정학의 전개과정 = 133
  제2절 행정이론의 변천과정 = 136
   1. 정부의 역할에 대한 관점 = 136
   2. 정치와 행정의관계 = 137
   3. 행정학의 과학성과 기술성 = 139
   4. 행정학의 정체성 = 139
제2편 무엇을 위한 행정인가?
 제5장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 143
  제1절 행정철학과 가치 = 144
   1. 행정철학의 개념 = 144
   2. 행정철학과 가치 = 145
  제2절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 148
   1. 행정가치의 분류 = 148
   2. 본질적 행정가치 = 149
   3. 수단적 행정가치 = 158
  제3절 행정가치의 구현 = 162
   1. 행정가치의 갈등과 극복 = 163
   2. 관료제를 통한 행정가치의 구현 = 165
 제6장 행정윤리 = 170
  제1절 행정윤리의 의의 = 170
   1. 행정윤리의 개념 및 특징 = 170
   2. 행정윤리의 중요성 = 171
   3. 행정윤리의 내용 = 172
  제2절 행정권의 오용과 관료 부패 = 173
   1. 행정권 오용의 양태 = 173
   2. 관료 부패 = 175
  제3절 행정윤리의 저해 요인과 확보 방안 = 178
   1. 행정윤리의 저해 요인 = 178
   2. 행정윤리의 확보 방안 = 179
 제7장 행정통제 = 185
  제1절 행정통제의 의의 = 186
   1.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 186
   2. 행정통제의 과정 = 188
   3. 행정통제의 기준 및 내용 = 189
  제2절 행정통제의 유형과 비용 = 191
   1. 행정통제의 유형 = 191
   2. 행정통제의 비용 = 197
  제3절 행정통제의 한계와 통제력의 향상 방안 = 199
   1. 행정통제의 한계 = 199
   2. 행정통제력의 향상 방안 = 200
제3편 행정의 이론과 실제
 제8장 정책 = 207
  제1절 정책과 정책학 = 207
   1. 정책의 의의 = 207
   2. 정책 유형의 분류 = 209
   3. 정책학 = 211
  제2절 정책환경 = 216
   1. 정책환경의 의의 = 216
   2. 정책결정 요인론 = 216
   3. 정책환경과 정책 = 219
   4. 정치체제와 정책 = 219
  제3절 정책과정의 참여자 = 220
   1. 정책참여자의 의의 = 220
   2. 공식적 참여자 = 221
   3. 비공식 참여자 = 230
  제4절 정책형성 = 236
   1. 정책형성의 의의 = 236
   2. 정책의제의 설정 = 237
   3. 합리적 정책결정 = 244
   4. 다양한 정책결정 방식 : 정책결정 모형 = 263
  제5절 정책집행 = 271
   1. 정책집행의 의의 = 271
   2. 정책집행 연구의 전개 = 274
   3. 정책형성과 정책집행의 관계 = 278
   4.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81
  제6절 정책평가 = 287
   1. 정책평가의 의의 = 287
   2. 정책평가의 일반적 과정 = 290
   3. 정책평가의 주체 = 292
   4. 정책평가의 방법 = 293
   5. 정책평가의 한계 = 299
   6. 정책평가 결과의 활용 = 304
  제7절 정책과 기획 = 305
   1. 기획의 의의 = 305
   2. 기획의 정향과 종류 = 312
   3. 기획의 단계 = 325
 제9장 조직 = 330
  제1절 조직의 의의 = 330
   1. 조직의 의의 = 330
   2. 행정조직의 개념, 범위 및 특징 = 332
   3. 행정조직의 구성체계와 평가 = 335
  제2절 조직의 구조 = 337
   1. 조직구조의 의의 = 338
   2. 조직구조 형성의 기초 요인 = 339
   3. 조직구조의 기본 변수 = 342
   4. 조직구조의 상황 변수 = 347
   5. 조직구조의 형태 = 349
  제3절 관료제 = 360
   1. 관료제론의 역사적 개관 = 360
   2. 관료제의 개념 = 362
   3. 베버의 관료제 모형 = 363
   4. 관료제의 병리현상 = 368
   5. 관료제에 대한 평가 및 전망 = 371
  제4절 조직과 인간 = 372
   1. 조직 내 인간관의 변화 = 372
   2. 동기 이론 = 379
   3. 집단이론 = 392
  제5절 조직의 관리 및 진단 = 401
   1. 의사전달 = 401
   2. 리더십 = 407
   3. 조직진단 = 411
  제6절 조직과 환경 = 416
   1. 조직과 환경의 관계 = 416
   2. 조직환경의 구성요소 = 420
   3. 환경에 대한 조직의 대응 = 423
 제10장 인사 = 432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 432
   1. 인사행정의 개념과 목표 및 과정 = 432
   2. 인사행정의 발달 = 436
   3. 인사행정 법령과 기관 = 443
  제2절 인력계획과 공직구조의 형성 = 451
   1. 인력계획 = 451
   2. 공직구조의 형성 = 454
  제3절 공직의 충원 = 460
   1. 모집 = 461
   2. 시험 = 463
   3. 임명 = 463
  제4절 능력 발전 = 465
   1. 교육훈련 = 465
   2. 근무성적평정 = 473
   3. 승진 및 전보 = 482
  제5절 동기부여 = 487
   1. 사기 = 487
   2. 보수 = 493
  제6절 공무원의 행동규범과 징계 = 503
   1. 공무원의 충성 = 503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505
   3. 공무원단체 = 507
   4. 신분보장과 징계 = 513
  제7절 한국 인사행정의 과거와 미래 = 518
   1. 대한민국 인사행정의 변천 = 518
   2. 인사행정의 미래 = 526
 제11장 예산 = 533
  제1절 예산회계 체제 = 533
   1. 예산회계 체제 = 534
   2. 우리 나라 중앙정부의 세입세출 구조 = 546
  제2절 예산 관계 법규와 조직 = 549
   1. 예산 관계 법규 = 549
   2. 예산 관계 조직 = 555
  제3절 예산과정 = 562
   1. 예산과정을 보는 시각 : 예산결정 이론 = 562
   2. 예산과정 = 571
   3. 우리나라 예산과정의 특징 = 592
  제4절 예산개혁 = 597
   1. 예산개혁의 의의와 경향 = 597
   2. 예산제도의 발달 = 603
   3. 예산제도의 회고와 발달 = 616
 제12장 정보 = 623
  제1절 정보사회와 행정 = 623
   1. 정보사회의 의미 = 623
   2. 정보사회의 행정 = 624
  제2절 정보시스템 = 630
   1. 정보란 무엇인가? = 630
   2. 정보시스템의 모형 = 631
   3. 정보시스템의 응용 = 633
   4. 정보시스템의 분류 = 635
  제3절 정보자원관리 = 637
   1. 하드웨어 자원 = 638
   2. 소프트웨어 자원 = 644
   3. 자료 자원 = 647
   4. 조직·인력 자원 = 649
  제4절 정보시스템의 개발과 통제 = 651
   1. 정보시스템의 개발 = 651
   2. 정보시스템의 통제 = 653
  제5절 정보화정책 = 655
   1. 행정정보화 = 655
   2. 정보공개와 개인정보 보호 = 658
   3. 국가기간전산망 사업 = 662
   4. 지역정보화 = 664
 제13장 지방자치 = 666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 666
   1. 지방자치의 개념 = 666
   2. 지방자치의 발생론적 유형 :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 667
   3. 왜 지방자치를 실시하는가? = 668
  제2절 지방자치제도의 이해 = 672
   1. 우리 나라의 지방자치사 = 672
   2.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 = 674
   3. 지방자치의 기관 구성 = 679
   4. 지방자치의 동태적 이해 = 682
  제3절 자치행정의 과제 = 687
   1. 지방재정의 확충 = 687
   2. 자치행정의 '경영화' = 688
   3. 자치단체간의 갈등과 협력 = 691
제4편 행정의 미래에의 도전
 제14장 행정개혁 = 695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 695
   1. 행정개혁의 개념과 성격 = 695
   2. 행정개혁의 계기 = 697
   3.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698
  제2절 행정개혁의 과정과 저항 = 700
   1. 행정개혁의 과정 = 700
   2.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과 대책 = 703
  제3절 한국의 행정개혁 = 705
   1. 역대 정부 행정개혁의 성격 = 705
   2. 행정개혁의 방향 = 708
 제15장 한국 행정의 과제 = 712
  제1절 한국의 행정환경 = 713
   1. 개방화·세계화 = 713
   2. 감량화·간소화 = 715
   3. 정보화 = 715
   4. 민주화·지방화 = 716
  제2절 한국 행정의 당면 과제 = 717
   1. 국민 본위의 행정 : 고객 지향적 행정 = 718
   2. 생산성이 높은 행정 : 효율 지향적 행정 = 724
   3. 문제해결 능력이 높은 행정 : 고지능 지향적 행정 = 729
 제16장 한국 행정학의 과제 = 734
  제1절 한국 행정학의 연구 경향 = 734
   1. 1950∼1960년대 : 태동기 및 단순 모방기 = 734
   2. 1970년대∼현재 : 적응적 모방기 및 창조적 태동기 = 737
  제2절 한국 행정학의 과제 = 742
   1. 낙관적 관점에서 본 한국 행정학의 과제 = 744
   2. 비관적 관점에서 본 한국 행정학의 과제 = 749
참고문헌 = 754
찾아보기 = 77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