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미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미시경제학이란?
1. 경제와 경제학 = 4
1.1 경제문제 = 4
1.2 경제학,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 5
2. 미시경제학의 기능과 특징 = 7
2.1 미시경제학의 과제 7
2.2 미시경제학의 기능 = 7
2.3 미시경제학의 특성 = 9
(1) 분석체계 = 9
(2) 가설과 모형 = 10
(3)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 10
(4) 미시경제학의 부활 = 11
3. 미시경제학의 분석방법 = 12
3.1 경제모형 = 12
3.2 가정의 유효성과 현실성 = 14
3.3 귀납과 연역의 보완적 역할 = 15
3.4 극대가설 = 15
3.5 「다른 사정이 동일하다면」의 가정 = 16
3.6 비교정학의 접근법 = 17
3.7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 = 18
4. 미시경제학 연구를 위한 모형 = 19
5. 미시경제학의 기본적 사고방법 = 20
5.1 경제주체의 행동 = 20
(1) 최대화 행동 = 20
(2) 소비자의 최대화 행동 = 21
(3) 기업의 최대화 행동 = 21
5.2 시장의 기능 = 22
(1) 시장균형 = 22
(2) 자원배분의 최적성 = 22
5.3 시장의 실패 = 23
(1) 시장실패의 요인 = 23
(2) 불완전정보와 불확실성 = 23
(3) 외부효과 = 24
(4) 독점과 과점 = 24
(5) 상호의존성 = 24
6. 미시경제학에서 견해의 다양성 = 25
6.1 모형분석 = 25
6.2 수급균형 = 26
(1) 수요와 공급 = 26
(2) 시장균형 = 27
7. 미시경제학의 효율성 = 28
8. 미시경제학의 연관성 = 29
9. 맺음말 = 30
연습문제 = 32
참고문헌 = 33
제2장 수요와 공급
1. 시장 = 35
1.1 시장의 정의 = 35
1.2 시장의 기능과 시장메카니즘 = 36
1.3 시장의 상호관련과 경쟁균형 = 37
2. 시장의 수요측면 = 39
2.1 시장의 수요표 = 39
2.2 수요의 변화 = 41
2.3 수요를 결정하는 제요인 = 42
(1) 소비자의 소득 = 42
(2) 소비자의 기호의 변화 = 43
(3) 다른 재화의 가격 = 43
(4) 소비자의 기대 = 43
3. 시장의 공급측면 = 44
3.1 시장과 공급표 = 44
3.2 공급표의 도시 = 45
3.3 공급을 결정하는 제요인 = 46
3.4 공급의 변화 = 47
4. 가격과 수량의 결정 = 48
4.1 가격과 균형수량 = 48
4.2 실제가격 = 51
4.3 수요와 공급의 이동 = 52
(1) 수요곡선의 이동이 가격에 미치는 효과 = 52
(2) 공급곡선의 이동이 가격에 미치는 효과 = 53
(3)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동시 이동이 가격에 미치는 효과 = 53
4.4 최저가격과 최고가격 = 55
4.5 수요·공급분석의 대수학 = 57
5. 맺음말 = 61
연습문제 = 63
참고문헌 = 66
제2부 소비자행동과 시장수요
제3장 선호와 효용
1. 선호의 법칙 = 70
1.1 비교의 공리 = 70
1.2 추이성의 공리 = 70
2. 효용, 선호 및 합리적 선택 = 72
2.1 효용과 선호 = 72
2.2 효용의 기수적 및 서수적 접근법 = 73
(1) 초기단계의 접근법 = 73
(2) 제2단계의 접근법 = 75
(3) 파레토 : 최종단계의 접근법 = 76
3. 선호가정과 무차별곡선 = 81
3.1 무차별표 = 81
3.2 무차별곡선 = 81
3.3 무차별곡선의 형태 = 83
(1) 소비자의 어떠한 기호도 무차별곡선에 의해 특정화할 수 있는 형태 = 83
(2) 凹형의 무차별곡선 = 85
(3) 원형의 무차별곡선 = 86
3.4 무차별곡선의 성질 = 87
(1) 표준적인 경우 = 87
(2) 비표준적인 경우 = 92
3.5 재, 부의 재 및 중립재 = 94
3.6 선호와 자선 = 96
3.7 선호의 원천과 내용 = 98
4. 무차별곡선과 한계대체율 = 99
5. 효용분석 = 102
5.1 기수적 효용과 서수적 효용 = 102
5.2 소비자 행동의 분석과 신서수주의 = 104
5.3 효용의 측정 = 106
5.4 기수적 총효용과 한계효용 = 107
5.5 규모의 선택 = 108
5.6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109
6. 기수적 접근법과 서수적 접근법의 비판 = 110
6.1 기수적 접근법의 비판 = 110
6.2 서수적 접근법의 비판 = 111
(1) 무차별곡선의 제가정 = 111
(2) 석수적(무차별곡선) 접근법의 비판 = 112
7. 맺음말 = 114
연습문제 = 117
참고문헌 = 121
제4장 소비자행동의 근대이론
1. 소비자의 최적화행동 = 124
1.1 무차별곡선의 위치 = 124
1.2 예산의 제약 = 124
1.3 예산선의 이동 = 126
1.4 소비자의 최적 - 기하학 = 127
(1) 예산선과 무차별곡선 = 127
(2) 소비의 한계대체율 = 130
(3) 교환의 한계대체율 = 131
2. 凹·凸형의 무차별곡선 = 132
3. 소비자의 최적 - 분석 = 137
3.1 소비균형식 - 내점해 = 137
3.2 소비균형 부등식 - 단점해 = 138
4. 화폐소득의 변화 = 139
4.1소득소비곡선의 도출 = 139
(1) 화폐소득 변화의 효과 = 139
(2) 소득소비곡선의 유형 = 140
4.2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 = 142
(1) 엥겔곡선의 도출 = 142
(2) 엥겔지출곡선의 유형 = 144
4.3 정상재와 열등재 = 148
4.4 수요량의 변화와 소득의 변화 = 150
(1) 수요의 소득탄력성 = 150
(2) 총소득과 수요량간의 유형 = 152
(3) 제상품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간의 관계 = 153
5. 가격의 변화 = 155
5.1 가격변화의 효과 = 155
5.2 가격소비곡선에서 수요곡선의 도출 = 156
5.3 가격소비곡선의 특징 = 157
5.4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총지출, 그리고 가격-소비곡선 = 160
6. 맺음말 = 162
연습문제 = 164
참고문헌 = 168
제5장 소비자수요의 제논점
1.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170
1.1 가격상승에 의한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170
1.2 가격하락에 의한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172
1.3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도출 = 173
(1) 정상재 = 173
(2) 열등재 = 175
(3) 기펜재 = 177
2. 대체와 보완 = 178
2.1 완전성과 밀집성에 의한 분류 = 178
2.2 교차탄력성에 의한 분류 = 181
2.3 선호함수에 의한 분류 = 185
3. 현시선호의 이론 = 188
3.1 가정 = 188
(1) 합리성 = 188
(2) 일관성 = 189
(3) 전이성 = 189
(4) 현시선호의 공리 = 189
3.2 현시선호의 이론 = 189
3.3 약공준과 강공준 = 190
3.4 수요곡선의 도출 = 191
3.5 무차별곡선의 도출 = 193
3.6 현시선호이론의 수리적 분석 = 197
3.7 현시선호이론의 비판 = 199
4. 지수와 무차별곡선 = 199
4.1 지수의 경제론 = 199
4.2 예산도표에서의 정보 = 201
4.3 개인복지 변화의 지표로서의 지수 = 202
5. 소비자잉여와 무차별곡선 = 205
5.1 간단한 소비자잉여 = 205
5.2 마샬의 소비자잉여 = 207
5.3 마샬의 소비자잉여와 무차별곡선 = 208
5.4 소비자잉여의 다른 측정법 = 210
5.5 마샬의 소비자잉여의 약점과 힉스의 비판 = 211
6. 소득·여가와 무차별곡선 = 213
6.1 최적노동공급·소득획득결정 = 213
6.2 노동공급곡선 = 216
6.3 최저노동시간제약 = 217
7. 선택적 정부정책의 무차별곡선 분석에 의한 평가 = 220
7.1 식량보조정책의 영향 = 221
7.2 소득보조정책의 영향 = 222
8. 무차별곡선분석과 교환이론 = 223
9. 소비자이론에 대한 최근의 접근법 = 226
10. 맺음말 = 227
연습문제 = 228
참고문헌 = 234
제6장 시장수요의 제특성
1. 수요의 가격탄력성 = 236
1.1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정의 = 236
1.2 개별 및 시장수요의 탄력성 = 239
2.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의 관계 = 240
3.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수학적 계산 = 243
3.1 점탄력성 = 243
3.2 호탄력성 = 244
4.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기하학적 계산 = 245
4.1 횡축상의 공식 = 245
4.2 종축상의 공식 = 246
4.3 비선형수요곡선에 대한 점탄력성 = 246
5. 탄력성과 비선형수요곡선의 분류 = 247
5.1 선형수요곡선에 따른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변화 = 247
5.2 기울기와 탄력성 = 248
(1) 접선의 기울기 = 248
(2) 기울기와 수요의 가격탄력성 = 250
5.3 탄력성의 비교 = 251
(1) 두 수요곡선과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비교 = 251
(2) 수요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탄력성의 비교 = 525
6.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수입 = 254
6.1 총 및 한계수입의 계산 = 254
6.2 한계수입과 가격탄력성의 관계 = 256
6.3 총수입과 탄력성 = 259
6.4 가격탄력성과 총수입의 관계 = 260
7. 수요함수 = 261
7.1 기울기일정의 함수 대 탄력성일정의 함수 = 261
7.2 약간의 변수함수로서의 수요 = 266
8.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제요인 = 269
8.1 대체재의 존재 = 269
8.2 소비자의 예산에서 상품의 중요성 = 270
8.3 구입비율의 조정시기 = 270
9. 맺음말 = 271
연습문제 = 274
참고문헌 = 276
제3부 기업의 생산기술과 비용
제7장 기업과 생산기술
1. 기업의 목적 = 280
1.1 이윤의 극대화 = 280
1.2 경영관리층의 극대화 = 281
1.3 판매량의 극대화 = 283
1.4 성장의 극대화 = 284
1.5 기업행동의 만족 = 284
2. 생산의 투입물 = 285
2.1 투입물의 분류 = 285
2.2 단기와 장기 = 285
3. 생산물과 투입물의 관계 = 286
3.1 생산함수 : 가변생산요소가 하나인 경우 = 286
3.2 한계수확체감의 법칙 = 289
3.3 총, 평균 및 한계생산물의 기하하적 설명 = 290
(1) TP에서 AP의 도출 = 290
(2) AP의 변화 = 291
(3) TP에서 MP의 도출 = 291
(4) 물리적 총, 평균 및 한계생산물의 관계 = 292
3.4 생산의 세 단계 = 293
3.5 생산함수 : 가변생산요소가 둘인 경우 = 294
4. 산출물과 두 가변투입물 = 296
4.1 생산등량선 = 296
(1) 선형등량선 = 296
(2) 투입-산출등량선 = 297
(3) 굴절등량선 = 297
(4) 부드러운 볼록한 등량선 = 298
4.2 고정투입비율에서의 등량선 = 298
4.3 비현실세계의 등량지도 = 299
4.4 등량선에 따른 이동과 등량선내의 이동 = 300
5. 투입물의 대체 = 301
5.1 등량선의 기울기 = 301
5.2 생산요소간의 대체 = 303
5.3 기술적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 = 305
6. 생산의 경제적 영역 = 305
7. 생산함수와 기술진보 = 307
7.1 생산함수의 측정 = 307
7.2 기술진보와 생산함수 = 311
(1) 자본심화 기술진보 = 312
(2) 노동심화 기술진보 = 312
(3) 중립적 기술진보 = 313
8. 생산의 제법칙 = 313
8.1 규모에 대한 수확의 법칙 = 313
(1) 규모에 대한 수확과 생산함수의 동차성 = 313
(2) 생산물곡선 = 315
(3) 동차생산함수의 규모에 대한 수확 = 316
8.2 비율변화의 법칙 = 319
9. 최적투입물의 결합 = 321
9.1 등비용곡선 = 321
9.2 최적생산량 = 323
10. 맺음말 = 324
연습문제 = 328
참고문헌 = 331
제8장 생산비의 이론
1. 생산비의 기초이론 = 334
1.1 비용의 성격 = 334
1.2 대체비용과 효율 = 336
1.3 대체적 용도간의 적절한 비교 = 339
1.4 사회적 비용과 사적 비용 = 340
1.5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 = 341
1.6 단기와 장기 = 341
2. 단기의 비용이론 = 342
2.1 총불변비용 = 342
2.2 총가변비용 = 342
2.3 총비용 = 345
2.4 단기평균비용곡선 = 345
(1) 평균불변비용 = 345
(2) 평균가변비용 = 345
(3) AVC와 AP의 관계 = 345
(4) 평균총비용 = 347
(5) 한계비용 = 347
2.5 단기비용곡선의 기하학적 계산 = 348
(1) 총비용과 평균총비용 = 348
(2) 총비용과 한계비용의 관계 = 349
(3) 한계비용곡선과 평균비용곡선의 기하학 = 350
3. 장기의 비용이론 = 353
3.1 장기비용곡선 = 353
(1) 장기평균비용곡선 = 354
(2) 장기평균비용함수의 형태 = 355
(3) 장기한계비용 = 357
3.2 장기총비용과 확장선 = 358
(1) 확장선 = 358
(2) 장기총비용곡선의 도출 = 359
(3) 기업의 생산능력 = 360
4. 생산확장선과 수확법칙 = 361
4.1 등량선에 의한 접근법 = 361
4.2 장기평균비용에 의한 접근법 = 362
5. 지출탄력성 = 363
6. 맺음말 = 365
연습문제 = 367
참고문헌 = 370
제4부 시장구조, 가격 및 생산량
제9장 완전경쟁하에서의 가격과 생산량
1. 시장구조와 경쟁 = 374
1.1 시장구조 = 374
1.2 경심한 경쟁 = 374
1.3 완전경쟁의 조건 = 376
(1) 다수매매자의 존재 = 376
(2) 생산물의 동질성 = 376
(3) 자원의 완전이동성 = 377
(4) 시장지식의 완전성 = 377
2. 중기에서의 가격결정 = 379
2.1 산업의 균형가격 = 379
2.2 완전경쟁기업과 수요곡선 = 380
3. 완전경쟁자의 한계수입 = 382
4. 기업의 단기균형 = 383
4.1 총수입·총비용접근법에 의한 단기이윤의 극대화 = 383
4.2 한계적 접근법에 의한 단기이윤의 극대화 = 385
5. 단기조업중지와 손익분기가격 = 388
5.1 단기손익분기가격 = 388
5.2 단기조업중지가격 = 389
6. 단기공급곡선 = 390
6.1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 390
6.2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 391
(1) 생산물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 자원의 가격 = 392
(2) 기술진보 = 392
7. 단기산업 혹은 시장균형 = 392
7.1 균형의 정의 = 392
7.2 균형량의 조정 = 394
7.3 경제균형 = 395
8. 가격과 수량의 이동 = 396
8.1 안정분석 = 396
8.2 왈라스의 안정조건 = 397
8.3 마샬의 안정조건 = 399
9. 가격과 수량의 이동-거미의 집 이론 = 401
10. 수요이동에 대한 단기산업조정 = 403
11. 기업의 경제적 균형 = 404
11.1 기업의 경제적 이윤과 손실 = 404
11.2 기업의 장기균형 = 405
12. 기업의 장기균형과 공급가격 = 408
12.1 비용일정산업 = 408
12.2 비용체증산업 = 410
12.3 비용체감산업 = 411
13. 완전경쟁모형의 예측 = 413
13.1 고정비용의 증가 = 413
13.2 가변비용의 증가 = 414
14. 과세의 영향 = 415
14.1 총액세의 부과 = 415
14.2 이윤세의 부과 = 415
14.3 종량세의 부과 = 416
15. 맺음말 = 418
연습문제 = 420
참고문헌 = 425
제10장 독점하에서의 가격과 생산량
1. 순수독점 = 427
1.1 독점의 분류 = 427
1.2 순수독점의 조건 = 428
1.3 순수독점의 생성요인 = 429
2. 독점하에서의 수요와 비용 = 430
2.1 독점기업의 수요곡선 = 430
(1) 수요의 가격탄력성 = 430
(2) 한계수입과 탄력성 = 431
(3) 한계수입, 총수입, 그리고 수요의 탄력성 = 432
2.2 독점자의 비용 = 433
3. 독점하에서의 단기균형 = 433
3.1 총수입·총비용에 의한 접근법 = 433
3.2 한계수입·한계비용에 의한 접근법 = 434
3.3 산업변화에 대한 가격결정 = 437
3.4 독점자의 공급곡선 = 438
4. 독점하에서의 이윤극대 = 439
4.1 독점하에서의 단기이윤 = 439
4.2 다수기업의 단기균형 = 441
4.3 독점하에서의 장기이윤 = 443
5. 독점하에서의 장기균형 = 444
5.1 단일공장독점하에서의 장기균형 = 444
5.2 다수공장독점하에서의 장기균형 = 446
6. 독점이론의 특수논제 = 450
6.1 독점시장력의 측정 = 450
(1) 산업집중 = 450
(2) 리너의 독점도 = 451
(3) 칼렉키의 독점도 = 451
6.2 가격차별 = 452
(1) 가격차별과 가격분화 = 451
(2) 가격차별의 필수조건 = 452
(3) 가격차별의 형태 = 456
(4) 가격차별의 필요성 = 456
6.3 독점과 경제효율 = 458
6.4 독점의 규제 = 460
6.5 카르텔 = 463
7. 쌍방독점 = 465
8. 독점모형의 예측 = 467
8.1 시장수요의 변화 = 467
8.2 독점기업의 비용증가 = 470
(1) 고정비용의 증가 = 470
(2) 가변비용의 증가 = 471
8.3 과세 = 472
(1) 총액세의 부과 = 472
(2) 이윤세의 부과 = 472
(3) 종량세의 부과 = 472
9. 완전경쟁과 독점의 비교 = 473
9.1 장기균형의 비교 = 474
9.2 가격과 생산량의 비교 = 475
10. 맺음말 = 477
연습문제 = 479
참고문헌 = 485
제11장 독점적 경쟁하에서의 가격과 생산량
1. 역사적 배경 = 487
2. 독점적 경쟁산업의 특징 = 488
2.1 생산물의 분화 = 488
2.2 판매촉진-광고 = 489
2.3 생산물의 그룹 = 490
3. 독점적 경쟁기업의 수요 = 491
4. 독점적 경쟁하에서의 기업의 균형 = 493
4.1 기업의 단기균형가격과 생산량 = 493
4.2 기업의 장기균형가격과 생산량 = 496
4.3 장기균형의 비교 = 499
(1) 기업내의 균형 = 499
(2) 산업과 생산물그룹내의 장기균형 = 500
4.4 생산물 특색의 변화 = 501
4.5 판매비용 = 503
5. 이상적 생산량과 초과생산능력 = 505
6. 독점적 경쟁과 완전경쟁 및 독점의 비교 = 507
7. 독점적 경쟁이론에 대한 비판 = 509
8. 맺음말 = 511
연습문제 = 514
참고문헌 = 518
제12장 과점에서의 가격과 생산
1. 과정의 개념과 제유형 = 520
1.1 과점의 개념 = 520
1.2 과점의 제유형 = 521
2. 과점의 발전경위와 분석과제 = 522
2.1 과점의 발전경위 = 522
2.2 현대과점의 분석과제 = 525
3. 비협조적 과점이론 = 527
3.1 쿠르노의 복점유형 = 527
(1) 복점모형 = 527
(2) 쿠르노의 복점기업의 균형해 = 529
(3) 쿠르노모형의 비판 = 531
(4) 반음곡선 접근법 = 531
3.2 비트란드의 복점모형 = 537
(1) 복점모형 = 537
(2) 비트란드모형의 비판 = 541
(3) 비트란드모형의 특징 = 541
3.3 체임벌린의 과점모형(소집단모형) = 542
3.4 스타켈버그의 복점모형 = 544
4. 협조적 과점이론 = 547
4.1 카르텔 = 547
(1) 결합이윤극대화 카르텔 = 548
(2) 시장분할 카르텔 = 549
4.2 가격선도제 = 553
(1) 저비용기업 가격선도모형 = 554
(2) 지배기업 가격선도모형 = 555
(3) 전통적 가격선도모형 = 556
(4) 지표적 가격선도제 = 559
4.3 기점가격제도 = 559
(1) 단일기점제도 = 560
(2) 다수기점제도 = 561
5. 과점가격이론의 전개 = 563
5.1 스위지의 굴절수요곡선과 과점가격 = 563
5.2 스위지이론에 대한 스티글러의 비판 = 566
5.3 풀-코스트원리에 의한 가격결정 = 567
5.4 풀-코스트원리에 대한 칼레키의 비판 = 571
5.5 보몰의 매상고 최대화가설에 의한 가격결정 = 573
5.6 참여저지가격의 이론 = 577
(1) 실로스-라비니의 이론 = 578
(2) 베인의 이론 = 581
6. 과점시장에서의 경쟁 = 586
7. 과점의 복지효과 = 588
8. 맺음말 = 592
연습문제 = 594
참고문헌 = 599
제5부 생산요소시장
제13장 완전경쟁하에서의 생산요소의 가격과 고용
1. 소득분배와 자원의 수요 = 604
1.1 소득분배와 분배의 불평등 = 604
1.2 생산요소의 가격과 고용 = 605
2. 최적투입요소의 고용 = 606
2.1 최적투입요소의 결합 = 606
2.2 이윤극대화와 투입요소의 고용 = 607
3. 개별기업의 수요곡선 = 608
3.1 단일가변투입요소의 수요 = 608
(1) 한계생산물의 가치 = 608
(2) 노동의 단기수요곡선, 노동의 최적고용 = 610
3.2 다수가변투입요소의 수요 = 611
(1) 투입수용의 곡선 = 611
(2) 확장로에서 투입요소에 대한 수요곡선까지 = 612
(3) 임금률 변화의 세 효과 = 614
(4) 투입요소의 수요곡선의 기울기 = 615
4. 시장수요곡선 = 615
4.1 노동에 대한 수요곡선 = 615
4.2 투입요소수요(L)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제요인 = 617
5. 시장공급곡선 = 619
5.1 노동의 공급곡선 = 619
5.2 후방굴절의 공급곡선 = 620
5.3 생산요소의 가격과 고용량의 결정요인 = 623
6. 완전경쟁하에서의 제논점 = 624
6.1 대체탄력성과 소득분배 = 624
6.2 지대의 개념 = 626
6.3 준지대 = 627
6.4 생산요소의 질적 차이 = 629
(1) 생산능력의 차이 = 629
(2) 유사한 노동간의 임금격차 = 631
7. 맺음말 = 632
연습문제 = 634
참고문헌 = 635
제14장 불완전경쟁하에서의 생산요소의 가격과 고용
1. 이윤극대화와 생산요소의 고용 : 생산물시장이 불완전경쟁일 경우 = 638
2. 투입요소의 수요 = 639
2.1 독점자의 자원에 대한 수요 = 639
2.2 개별기업의 수요곡선 : 단일가변투입요소 = 642
2.3 완전경쟁자와 독점자에 대한 투입수요곡선의 비교 = 644
2.4 개별기업의 수요곡선 : 다수가변투입요소 = 645
2.5 시장수요곡선과 생산요소가격 = 646
3. 투입요소시장에서의 자원의 수요 = 647
3.1 수요독점 = 647
3.2 생산요소 공급곡선과 한계지출곡선 = 648
3.3 가격과 고용 : 단일가변투입요소 = 651
3.4 가격과 고용 : 다수가변투입요소 = 653
4. 수요독점자와 독점자 = 653
5. 수요독점과 독점상황 = 654
5.1 이기적 이용의 개념 = 654
5.2 가격차별하는 수요독점자 = 656
5.3 수요독점자의 수요곡선 = 657
6. 임금, 지대 및 소득의 차이 = 658
6.1 한계생산력이론과 한계생산물의 가치 = 658
6.2 임금균등의 과정 = 660
(1) 임금의 조정 = 660
(2) 균등한 임금의 차이 = 660
(3) 생산요소의 질적 차이 = 663
6.3 지대와 준지대 = 664
(1) 토지의 공급 = 664
(2) 준지대 = 665
6.4 화폐 및 비화폐소득의 분배 = 666
(1) 소득차이의 원인 = 666
(2) 인적자본의 투자 = 669
7. 노동조합 = 670
7.1 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추진방식 = 670
7.2 단체교섭과 쌍방독점 = 673
7.3 노동조합의 목적 = 674
7.4 단체교섭에서의 전술적 고려사항 = 676
7.5 노동조합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 = 678
8. 맺음말 = 685
연습문제 = 687
참고문헌 = 690
제6부 일반균형이론과 복지경제학
제15장 일반균형이론
1. 일반균형이론의 기초 = 694
1.1 일반균형이론의 중요성 = 694
1.2 부분균형과 일반균형 = 695
1.3 일반균형의 성격과 존재 = 696
2. 왈라스의 모형 = 697
3. 균형의 존재, 안정성, 그리고 유일성 = 699
4. 일반균형경로의 도표적 설명 = 702
5. 두 요소, 두 재화, 두 소비자(2x2x2) 일반균형모형의 도표에 의한 분석 = 708
5.1 2x2x2 모형의 가정 = 709
5.2 일반균형상태(일반균형구조)의 정학적 성질 = 710
(1) 생산의 균형(요소대체의 효율성) = 710
(2) 소비의 균형(재화배분의 효율성) = 715
(3) 생산과 소비의 동시균형(생산물 구성의 효율성) = 717
5.3 일반균형과 자원배분 = 719
5.4 재화와 요소의 가격 = 720
5.5 요소소유와 소득분배 = 723
6. 두 재화경제에서의 일반경쟁균형 = 725
6.1 두 재화경제에서의 생산 = 726
6.2 두 재화경제에서의 균형 = 729
6.3 요소집약도 및 요소가격과 상품가격 사이의 관계 = 731
7. 맺음말 = 732
연습문제 = 735
참고문헌 = 738
제16장 경제복지학
1. 경제복지의 정의 = 750
2. 경제복지의 기준 = 741
2.1 경제성장의 기준 = 741
2.2 벤덤의 기준 = 741
2.3 기수주의적 기준 = 742
2.4 파레토의 최적기준 = 743
(1) 소비자간 재화배분의 효율성 = 744
(2) 생산자간 요소배분의 효율성 = 745
(3) 생산물 구성의 효율성 = 746
2.5 칼도-힉스의 보상기준 = 747
2.6 버그슨의 기준-사회복지함수 = 749
3. 경제복지의 극대화 = 750
3.1 경제복지극대화 조건의 제가정 = 750
3.2 최대효용곡선의 도출 = 752
3.3 복지극대상태의 결정 = 755
4. 복지극대화 산출량 구성, 재화분배 및 자원배분의 결정 = 756
5. 복지극대화와 완전경쟁 = 758
6. 복지비용의 계측 = 761
6.1 소비자의 잉여 = 761
6.2 생산자의 잉여 = 762
6.3 생산자의 잉여와 소비자의 잉여 = 763
7. 약간의 응용 = 766
7.1 독점의 복지비 = 766
7.2 독점력의 계측 = 767
7.3 복지비와 가격통제 = 768
8. 시장기구의 한계 = 772
8.1 시장의 시패 = 772
(1) 최적자원배분의 조건 = 772
8.2 경쟁시장에 의한 자원배분 = 774
(1) 파레토의 최적자원배분 = 774
(2) 시장의 실패 = 775
(3) 독점기업의 출현 = 776
8.3 외부효과 = 777
(1) 외부효과의 정의 = 777
(2) 사적 한계비용과 사회적 한계비용의 괴리 = 778
(3) 외부효과와 파레토 최적조건 = 780
(4) 과세·보조금정책 = 783
(5) 당사자간의 교섭 = 784
(6) 외부효과의 시장화에 대한 문제점 = 786
8.4 공공재 = 787
(1) 공공재의 정의 = 787
(2) 공공재공급의 파레토 최적조건 = 788
(3) 공공재와 시장의 실패 = 791
9. 왜곡과 차선의 이론 = 792
10. 경제복지정책 = 794
10.1 경제안정을 위한 정책 = 794
(1) 경제안정과 균형성장 = 794
(2) 경제성장과 물가안정 = 795
(3) 소득정책의 방식과 효과 = 795
(4) 고용안정정책의 신단계 = 796
10.2 분배공정을 위한 정책 = 798
(1) 노동분배율과 소득분배 = 798
(2)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 798
(3) 소득분배평등화의 제정책 = 799
(4) 근로자 재산형성과 소유의 평등화 = 799
(5) 사회보장과 소득재분배 = 800
10.3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 = 801
(1) 경제성장과 환경오염 = 801
(2) 환경개선과 생활의 질 = 801
10.4 조직개혁을 위한 정책 = 802
(1) 독점대책과 산업조직의 개혁 = 802
(2) 경제정책의 결정기구와 산업민주주의 = 803
11. 맺음말 = 803
연습문제 = 806
참고문헌 = 810
제17장 미시경제정책의 이론
1. 미시경제정책의 목적 = 812
1.1 효율성과 공평성 = 812
1.2 공리주의 815
2. 스미드의 「보이지 않는 손」의 정리 = 817
3. 미시경제정책의 제문제 = 820
3.1 독점 = 820
3.2 불균형 = 820
3.3 외부성 = 823
(1) 보정적 조세 = 824
(2) 단위화 = 824
(3) 소유권의 양도 = 825
3.4 공공재 = 825
4. 맺음말 = 828
연습문제 = 830
참고문헌 = 831
색인 = 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