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행정학개론

행정학개론 (4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철현
서명 / 저자사항
행정학개론 / 정철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法文社 ,   1998.  
형태사항
xiv, 231 p. : 도표 ; 23 cm.
ISBN
8918021259
일반주기
부록:미국 뉴욕대학 와그너 행정대학원의 1997-1998년 교과목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찾아보기 수록
000 00636camccc200229 k 4500
001 000001031861
005 20100805022756
007 ta
008 981012s1998 ulkd 001a kor
020 ▼a 8918021259 ▼g 93350 : ▼c \10,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61662 ▼l 151061663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1998b
100 1 ▼a 정철현
245 1 0 ▼a 행정학개론 / ▼d 정철현 지음.
260 ▼a 서울 : ▼b 法文社 , ▼c 1998.
300 ▼a xiv, 231 p. : ▼b 도표 ; ▼c 23 cm.
500 ▼a 부록:미국 뉴욕대학 와그너 행정대학원의 1997-1998년 교과목
504 ▼a 참고문헌 수록
504 ▼a 찾아보기 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b 등록번호 1510616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b 등록번호 1510616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철현(지은이)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행정학석사) 미국NYU 와그너대학원(정책학석사) 미국NYU 와그너대학원(행정학박사) 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 정보통신부 전자서명법 개정위원 국무총리실 정보화사업 평가위원 행정자치부 전자정부 정책자문위원 *주요저서 <행정의사결정론>(다산출판사, 2001) <행정정보체계론>(법문사, 2000) <행정학개론>(법문사, 1998)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행정학의 개념 = 1
 Ⅰ. 행정학의 정의 = 1
 Ⅱ. 행정의 중요성 = 4
 Ⅲ. 현대행정의 특징 = 7
 Ⅳ. 행정부 견제의 필요성 = 10
 Ⅴ. 행정환경 = 12
제2장 행정학 주체성의 위기 = 14
 Ⅰ. 행정의 정통성 = 15
 Ⅱ. 전문가주의 = 16
  1. 정치전문가 = 17
  2. 기술전문가 = 17
 Ⅲ. 정치행정 이원론과 일원론 = 18
 Ⅳ. 연관학문성 = 20
 Ⅴ. 일반행정이론 = 21
제3장 행정학의 발전 = 25
 Ⅰ. 미국사회와 행정학 교육 = 25
  1. 1880년대 = 25
  2. 1890년대 = 26
  3. 1900년대 = 27
  4. 1910년대 = 27
  5. 1920년대 = 28
  6. 1940년대 = 28
  7. 1940년대 = 29
  8. 1950년대 = 30
  9. 1960년대 = 30
  10. 1970년대 = 31
  11. 1980년대 = 32
  12. 1990년대 = 32
 Ⅱ. NYU 행정대학원 교과과정 = 33
제4장 행정학 접근법 = 35
 Ⅰ. 시기와 주제에 따른 접근법 = 36
 Ⅱ. 이론적 접근법 = 38
  1. 고전적 접근법 = 39
  2. 행태적 접근법 = 40
  3. 정치적 접근법 = 45
  4. 실천적 접근법 = 48
제5장 행정학의 발전과 조직이론 = 50
 Ⅰ. 정치와 행정 = 50
 Ⅱ. 관료제와 민주주의 = 53
 Ⅲ. 조직과 관리 = 56
 Ⅳ. 이론과 실제 = 59
제6장 조직론 = 63
 Ⅰ. 조직론의 연관학문성 = 64
 Ⅱ. 조직론의 발전 = 65
  1. 경영학의 조직론 = 65
  2. 행정학의 조직론 = 69
제7장 인사행정 = 77
 Ⅰ. 개혁주의 = 77
 Ⅱ. 인간관계학파 = 80
 Ⅲ. 대표성의 추구 = 82
 Ⅳ. 공무원 노동조합 = 84
 Ⅴ. 인사제도의 덕목 = 85
 Ⅵ. 행정가의 자질 = 86
제8장 재무행정 = 90
 Ⅰ. 예산의 기초개념 = 91
  1. 예산의 의미 = 91
  2. 예산논리 = 91
  3. 합리적 분석과 정치과정 = 92
  4. 예산배분 방법 = 93
 Ⅱ. 예산과정 = 95
  1. 예산과정의 개념 = 95
  2. 예산주기 = 96
  3. 예산과정 참가자의 범위확대 = 97
 Ⅲ. 예산의 분류 = 98
  1. 자본예산과 운영예산 = 98
  2. 예산의 분류 = 99
 Ⅳ. 예산개혁 = 100
  1. 품목별 예산 = 100
  2. 성과예산 = 101
  3. 계획예산 = 102
  4. 영본위예산 = 103
  5. 목표예산 = 103
제9장 정책학 = 104
 Ⅰ. 정책학의 역사 = 105
  1. 1950년대∼1960년대 = 105
  2. 1970년대 = 106
  3. 1980년대 이후 = 107
 Ⅱ. 정책과정 = 108
 Ⅲ. 정책평가 = 111
  1. 정책평가의 개념 = 111
  2. 정책평가의 종류 = 112
제10장 정부의 경제적 역할 = 115
 Ⅰ. 공공재 = 116
 Ⅱ. 시장실패 = 118
  1. 자연독점 = 118
  2. 정보의 불균형 = 119
  3. 외부효과 = 119
  4. 공공재 = 120
  5. 경쟁저해 요인 = 120
 Ⅲ. 정부실패 = 122
  1. 정보의 제한성 = 122
  2. 시장통제의 제한성 = 123
  3. 관료제 통제의 제한성 = 123
  4. 정치과정의 제한성 = 123
 Ⅳ. 정부의 경제적 역할 = 124
  1. 경제적 하부구조의 제공 = 124
  2. 공공재의 제공 = 125
  3. 집단 갈등의 조정과 해결 = 125
  4. 자유경쟁의 유지 = 125
  5. 천연자원의 보호 = 126
  6. 경제적 최소서비스의 제공 = 126
  7. 경제안정 = 127
제11장 공공선택의 정치학 = 128
 Ⅰ. 공공선택이론 = 129
  1. 파레토 최적의 문제 = 129
  2. 투표의 역설 = 133
  3. 대표성의 문제 = 134
 Ⅱ. 정치경제학 = 135
  1. 이기심과 합리성 = 136
  2. 협동의 문제 = 137
 Ⅲ. 정부역할의 팽창 = 139
  1. 통치와 경제 = 140
  2. 실증적 연구 = 142
제12장 공공관리 = 145
 Ⅰ. 공공관리의 개념 = 145
 Ⅱ. 공공관리의 이론적 배경 = 147
  1. 본인-대리인 이론 = 148
  2. 시장이론, 계층제, 파벌주의 = 149
  3. 제한된 합리성과 인식 유형 = 149
  4. 재량권 = 149
  5. 총체적 질관리 = 150
  6. 공공선택과 게임이론 = 150
 Ⅲ. 공공관리이론의 발전 = 151
  1. 문제의 재구성 = 151
  2. 네트워크 = 151
  3. 심리적 요인 = 151
  4. 쓰레기통 모형 = 151
  5. 도구 = 152
  6. 성공적 경영 = 152
  7. 정부 혁신 = 153
 Ⅳ. 공공관리의 미래 = 154
  1. 공공관리 연구의 특색 = 154
  2. 공공관리 연구의 문제점 = 154
  3. 공공관리 연구의 미래 = 155
제13장 행정개혁 = 157
 Ⅰ. 행정개혁의 필요성 = 157
 Ⅱ. 각국의 행정개혁 = 158
  1. 영국 = 158
  2. 뉴질랜드 = 161
  3. 호주 = 163
  4. 캐나다 = 164
  5. 미국 = 165
 Ⅲ. 각국 행정개혁의 공통점 = 166
  1. 조직구조 개편과 인력감축 = 167
  2. 성과 중심 = 167
  3. 재량권 확대와 융통성 부여 = 167
  4. 경쟁 및 서비스 지향 = 167
  5. 규제완화 = 168
제14장 세계화와 행정 = 169
 Ⅰ. 과학기술과 행정 = 169
  1. 과학기술의 현주소 = 169
  2. 과학기술 발전이 행정에 미치는 영향 = 171
  3. 과학기술 발전에 대응한 행정의 역할 = 171
 Ⅱ. 세계화와 행정 = 173
  1. 세계의 상호의존성 = 173
  2. 세계화와 공공정책 = 174
  3. 세계화와 행정가의 자질 = 175
제15장 환경행정 = 177
 Ⅰ. 환경문제의 대두 = 178
  1. 환경문제의 심각성 = 179
  2. 자원국과 미자원국 = 179
  3. 동서시대에서 남북시대로 = 180
  4. 생태학적 합리성 = 181
  5. 풀뿌리 정치 = 182
 Ⅱ. 환경행정 = 182
제16장 행정정보체계 = 165
 Ⅰ. 정보사회와 행정 = 185
  1. 정보사회의 의미 = 185
  2. 정보사회 행정의 변화 = 188
  3. 정보사회 행정의 문제점 = 189
 Ⅱ. 행정정보화 = 190
  1. 행정정보화의 수준 = 190
  2. 행정정보체계의 필요성 = 191
  3. 행정정보체계의 구축 = 191
 Ⅲ. 우리 나라의 행정정보화 = 193
  1. 정보화촉진 기본계획 = 193
  2. 기본계획의 추진과제 = 194
제17장 미래의 행정학 = 197
 Ⅰ. 미래 행정의 문제점 = 197
  1. 행정과 정치의 관계 = 197
  2. 공공부문과 사부문의 관계 = 198
  3. 정부조직의 항구성 문제 = 199
 Ⅱ. 미래 행정의 모형 = 200
  1. 시장모형 = 200
  2. 참여모형 = 201
  3. 임시조직모형 = 202
 Ⅲ. 미래 행정학의 과제 = 202
  1. 복잡한 행정환경 = 203
  2. 조직역량의 구축 = 203
  3. 공무원의 활성화 = 204
  4. 책임성 = 204
부록 = 207
참고문헌 = 215
찾아보기 = 22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