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행정학의 개념 = 1
Ⅰ. 행정학의 정의 = 1
Ⅱ. 행정의 중요성 = 4
Ⅲ. 현대행정의 특징 = 7
Ⅳ. 행정부 견제의 필요성 = 10
Ⅴ. 행정환경 = 12
제2장 행정학 주체성의 위기 = 14
Ⅰ. 행정의 정통성 = 15
Ⅱ. 전문가주의 = 16
1. 정치전문가 = 17
2. 기술전문가 = 17
Ⅲ. 정치행정 이원론과 일원론 = 18
Ⅳ. 연관학문성 = 20
Ⅴ. 일반행정이론 = 21
제3장 행정학의 발전 = 25
Ⅰ. 미국사회와 행정학 교육 = 25
1. 1880년대 = 25
2. 1890년대 = 26
3. 1900년대 = 27
4. 1910년대 = 27
5. 1920년대 = 28
6. 1940년대 = 28
7. 1940년대 = 29
8. 1950년대 = 30
9. 1960년대 = 30
10. 1970년대 = 31
11. 1980년대 = 32
12. 1990년대 = 32
Ⅱ. NYU 행정대학원 교과과정 = 33
제4장 행정학 접근법 = 35
Ⅰ. 시기와 주제에 따른 접근법 = 36
Ⅱ. 이론적 접근법 = 38
1. 고전적 접근법 = 39
2. 행태적 접근법 = 40
3. 정치적 접근법 = 45
4. 실천적 접근법 = 48
제5장 행정학의 발전과 조직이론 = 50
Ⅰ. 정치와 행정 = 50
Ⅱ. 관료제와 민주주의 = 53
Ⅲ. 조직과 관리 = 56
Ⅳ. 이론과 실제 = 59
제6장 조직론 = 63
Ⅰ. 조직론의 연관학문성 = 64
Ⅱ. 조직론의 발전 = 65
1. 경영학의 조직론 = 65
2. 행정학의 조직론 = 69
제7장 인사행정 = 77
Ⅰ. 개혁주의 = 77
Ⅱ. 인간관계학파 = 80
Ⅲ. 대표성의 추구 = 82
Ⅳ. 공무원 노동조합 = 84
Ⅴ. 인사제도의 덕목 = 85
Ⅵ. 행정가의 자질 = 86
제8장 재무행정 = 90
Ⅰ. 예산의 기초개념 = 91
1. 예산의 의미 = 91
2. 예산논리 = 91
3. 합리적 분석과 정치과정 = 92
4. 예산배분 방법 = 93
Ⅱ. 예산과정 = 95
1. 예산과정의 개념 = 95
2. 예산주기 = 96
3. 예산과정 참가자의 범위확대 = 97
Ⅲ. 예산의 분류 = 98
1. 자본예산과 운영예산 = 98
2. 예산의 분류 = 99
Ⅳ. 예산개혁 = 100
1. 품목별 예산 = 100
2. 성과예산 = 101
3. 계획예산 = 102
4. 영본위예산 = 103
5. 목표예산 = 103
제9장 정책학 = 104
Ⅰ. 정책학의 역사 = 105
1. 1950년대∼1960년대 = 105
2. 1970년대 = 106
3. 1980년대 이후 = 107
Ⅱ. 정책과정 = 108
Ⅲ. 정책평가 = 111
1. 정책평가의 개념 = 111
2. 정책평가의 종류 = 112
제10장 정부의 경제적 역할 = 115
Ⅰ. 공공재 = 116
Ⅱ. 시장실패 = 118
1. 자연독점 = 118
2. 정보의 불균형 = 119
3. 외부효과 = 119
4. 공공재 = 120
5. 경쟁저해 요인 = 120
Ⅲ. 정부실패 = 122
1. 정보의 제한성 = 122
2. 시장통제의 제한성 = 123
3. 관료제 통제의 제한성 = 123
4. 정치과정의 제한성 = 123
Ⅳ. 정부의 경제적 역할 = 124
1. 경제적 하부구조의 제공 = 124
2. 공공재의 제공 = 125
3. 집단 갈등의 조정과 해결 = 125
4. 자유경쟁의 유지 = 125
5. 천연자원의 보호 = 126
6. 경제적 최소서비스의 제공 = 126
7. 경제안정 = 127
제11장 공공선택의 정치학 = 128
Ⅰ. 공공선택이론 = 129
1. 파레토 최적의 문제 = 129
2. 투표의 역설 = 133
3. 대표성의 문제 = 134
Ⅱ. 정치경제학 = 135
1. 이기심과 합리성 = 136
2. 협동의 문제 = 137
Ⅲ. 정부역할의 팽창 = 139
1. 통치와 경제 = 140
2. 실증적 연구 = 142
제12장 공공관리 = 145
Ⅰ. 공공관리의 개념 = 145
Ⅱ. 공공관리의 이론적 배경 = 147
1. 본인-대리인 이론 = 148
2. 시장이론, 계층제, 파벌주의 = 149
3. 제한된 합리성과 인식 유형 = 149
4. 재량권 = 149
5. 총체적 질관리 = 150
6. 공공선택과 게임이론 = 150
Ⅲ. 공공관리이론의 발전 = 151
1. 문제의 재구성 = 151
2. 네트워크 = 151
3. 심리적 요인 = 151
4. 쓰레기통 모형 = 151
5. 도구 = 152
6. 성공적 경영 = 152
7. 정부 혁신 = 153
Ⅳ. 공공관리의 미래 = 154
1. 공공관리 연구의 특색 = 154
2. 공공관리 연구의 문제점 = 154
3. 공공관리 연구의 미래 = 155
제13장 행정개혁 = 157
Ⅰ. 행정개혁의 필요성 = 157
Ⅱ. 각국의 행정개혁 = 158
1. 영국 = 158
2. 뉴질랜드 = 161
3. 호주 = 163
4. 캐나다 = 164
5. 미국 = 165
Ⅲ. 각국 행정개혁의 공통점 = 166
1. 조직구조 개편과 인력감축 = 167
2. 성과 중심 = 167
3. 재량권 확대와 융통성 부여 = 167
4. 경쟁 및 서비스 지향 = 167
5. 규제완화 = 168
제14장 세계화와 행정 = 169
Ⅰ. 과학기술과 행정 = 169
1. 과학기술의 현주소 = 169
2. 과학기술 발전이 행정에 미치는 영향 = 171
3. 과학기술 발전에 대응한 행정의 역할 = 171
Ⅱ. 세계화와 행정 = 173
1. 세계의 상호의존성 = 173
2. 세계화와 공공정책 = 174
3. 세계화와 행정가의 자질 = 175
제15장 환경행정 = 177
Ⅰ. 환경문제의 대두 = 178
1. 환경문제의 심각성 = 179
2. 자원국과 미자원국 = 179
3. 동서시대에서 남북시대로 = 180
4. 생태학적 합리성 = 181
5. 풀뿌리 정치 = 182
Ⅱ. 환경행정 = 182
제16장 행정정보체계 = 165
Ⅰ. 정보사회와 행정 = 185
1. 정보사회의 의미 = 185
2. 정보사회 행정의 변화 = 188
3. 정보사회 행정의 문제점 = 189
Ⅱ. 행정정보화 = 190
1. 행정정보화의 수준 = 190
2. 행정정보체계의 필요성 = 191
3. 행정정보체계의 구축 = 191
Ⅲ. 우리 나라의 행정정보화 = 193
1. 정보화촉진 기본계획 = 193
2. 기본계획의 추진과제 = 194
제17장 미래의 행정학 = 197
Ⅰ. 미래 행정의 문제점 = 197
1. 행정과 정치의 관계 = 197
2. 공공부문과 사부문의 관계 = 198
3. 정부조직의 항구성 문제 = 199
Ⅱ. 미래 행정의 모형 = 200
1. 시장모형 = 200
2. 참여모형 = 201
3. 임시조직모형 = 202
Ⅲ. 미래 행정학의 과제 = 202
1. 복잡한 행정환경 = 203
2. 조직역량의 구축 = 203
3. 공무원의 활성화 = 204
4. 책임성 = 204
부록 = 207
참고문헌 = 215
찾아보기 =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