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行政學 第4全訂版

行政學 第4全訂版 (17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백완기
서명 / 저자사항
行政學 / 白完基 著.
판사항
第4全訂版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1998.  
형태사항
xli,677 p. ; 26 cm.
ISBN
8910451246
서지주기
색인수록 참고문헌:p.633-645
000 00593camccc200229 k 4500
001 000001031497
005 20100805022107
007 ta
008 980921s1998 ulk 001a kor
020 ▼a 8910451246 ▼g 93350 : ▼c \28,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60974 ▼l 151060975 ▼l 151066113 ▼l 151066114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1998e
100 1 ▼a 백완기
245 1 0 ▼a 行政學 / ▼d 白完基 著.
250 ▼a 第4全訂版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1998.
300 ▼a xli,677 p. ; ▼c 26 cm.
504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p.633-645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e 등록번호 1510609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e 등록번호 1510609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e 등록번호 1510661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 1998e 등록번호 1510661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자료나열식을 탈피하고 행정학의 속성을 이론성 . 관리성 . 규범성 속에 분류 . 정리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백완기(지은이)

플로리다 주립대학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한국행정학회,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주요 영문 저작은 Korean Polic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Culture, Democratic Culture 등 다수가 있다. 2002년 근정포장을 받았으며, 2005년 한국행정학회로부터 학술공헌상을 받았다. 2016년 제30회 인촌상 인문학사회부문을 수상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總論編

 제1장 行政의 槪念과 行政學

  제1절 行政의 槪念 = 3

  제2절 公行政의 槪念 = 4

  제3절 公行政과 私行政 = 6

   Ⅰ. 類似點 = 6

   Ⅱ. 差異點 = 7

  제4절 公行政의 役割 = 10

   Ⅰ. 公共政策의 執行 = 10

   Ⅱ. 서비스의 傳達 = 11

   Ⅲ. 政治의 安定化 = 11

   Ⅳ. 代表 = 11

   Ⅴ. 政治的 問題에 대한 反應 = 12

   Ⅵ. 市場經濟의 缺陷에 대한 補完 = 12

   Ⅶ. 衡平化 = 13

   Ⅷ. 開發戰略의 樹立 및 執行 = 13

   Ⅸ. 公行政役割의 限界 = 13

  제5절 行政學의 性格 = 13

   Ⅰ. 技術性 = 14

   Ⅱ. 科學性 = 15

   Ⅲ. 行政學의 兩面性 = 16

 제2장 行政學의 系譜와 接近方法

  제1절 管理主義 = 18

   Ⅰ. 基本內容 = 18

   Ⅱ. 接近方法 : 傳統的 接近方法 = 21

  제2절 人間主義 = 24

   Ⅰ. 基本內容 = 24

   Ⅱ. 接近方法 : 社會心理學的 接近方法 = 26

  제3절 行態主義 = 28

   Ⅰ. 基本內容 = 28

   Ⅱ. 接近方法 : 行態論的 接近方法 = 30

  제4절 發展主義 = 33

   Ⅰ. 基本內容 = 33

   Ⅱ. 接近方法 : 生態論的 接近方法 = 35

  제5절 價値主義 = 37

   Ⅰ. 基本內容 = 37

   Ⅱ. 接近方法 : 現象學的 接近方法 = 39

  제6절 公共選擇理論 = 43

   Ⅰ. 基本內容 = 43

   Ⅱ. 接近方法 : 經濟學的 接近方法 = 45

 제3장 行政의 理念

  제1절 行政理念의 意義 = 48

  제2절 行政理念의 內容 = 48

   Ⅰ. 合法性 = 48

   Ⅱ. 民主性 = 49

   Ⅲ. 能率性 = 50

   Ⅳ. 效果性 = 52

   Ⅴ. 中立性 = 53

  제3절 理念間의 優先順位 = 53

  제4절 理念間의 葛藤問題 = 55

   Ⅰ. 같은 方向으로 나가는 경우 = 55

   Ⅱ. 대립의 방향으로 가는 경우 = 55

   Ⅲ. 行政理念間의 調和可能性 = 56

 제4장 行政과 環境

  제1절 政治와 行政 = 57

  제2절 經濟와 行政 = 61

  제3절 情報化社會와 行政 = 63

  제4절 文化와 行政 = 67

제2편 行政學의 理論性

 제1장 官僚制

  제1절 官僚制의 槪念 = 73

   Ⅰ. 官僚制의 意義 = 73

   Ⅱ. 官僚制의 成立基盤 = 77

  제2절 官僚制의 病理와 順機能 = 79

   Ⅰ. 官僚制의 病理 = 79

   Ⅱ. 官隷制의 順機能 = 83

  제3절 Weber의 官僚制의 評價 = 86

   Ⅰ. Weber의 官僚制에 대한 挑戰 = 86

   Ⅱ. 官僚制의 再評價 = 88

  제4절 官僚制와 民主制 = 90

   Ⅰ. 葛藤關係 = 90

   Ⅱ. 調和關係 = 91

   Ⅲ. 官僚制에 대한 統制 = 92

 제2장 行政的 權威

  제1절 行政的 權威의 槪念 = 93

   Ⅰ. 命令과의 區別 = 94

   Ⅱ. 影響力과의 區別 = 94

   Ⅲ. 勸力과의 區別 = 95

  제2절 行政的 權威의 種類 = 95

   Ⅰ. 信賴의 權威 = 95

   Ⅱ. 同一化의 權威 = 96

   Ⅲ. 制裁의 權威 = 96

   Ⅳ. 正統性의 權威 = 97

  제3절 行政的 權威의 機能 = 97

   Ⅰ. 責任履行의 確保 = 98

   Ⅱ. 政策決定에 있어서 專門性의 確保 = 98

   Ⅲ. 調整의 確保 = 98

 제3장 公式化

  제1절 行政의 公式化理由 = 100

   Ⅰ. 人間의 恣意性排除 = 100

   Ⅱ. 豫測性의 確保 = 100

   Ⅲ. 自動的인 調整力의 確保 = 100

   Ⅳ. 公信力의 確保 = 101

  제2절 公式化의 槪念 = 101

  제3절 公式化의 範圍 = 102

  제4절 公式化의 技法 = 102

   Ⅰ. 選拔 = 102

   Ⅱ. 役割要求 = 103

   Ⅲ. 規則과 節次 = 103

   Ⅳ. 政策 = 103

   Ⅴ. 訓練 = 104

   Ⅵ. 儀式 = 104

  제5절 公式化의 問題點 = 104

 제4장 非公式的 組織

  제1절 非公式的 組織의 槪念 = 106

  제2절 非公式的 組織의 發生根據 = 106

   Ⅰ. 社會的 動物 = 107

   Ⅱ. 類似性의 追求 = 107

   Ⅲ. 自我發顯的 欲求 = 107

   Ⅳ. 單調性으로부터 脫皮 = 108

  제3절 非公式的 組織의 特徵 = 108

   Ⅰ. 公式的 組織內에서 發生 = 108

   Ⅱ. 集團規範의 確立 = 108

   Ⅲ. 身分體系의 確立 = 109

   Ⅳ. 感情의 論理 = 110

   Ⅴ. 脫退의 自由 = 110

  제4절 非公式的 組織의 機能 = 110

   Ⅰ. 順機能 = 111

   Ⅱ. 逆機能 = 113

 제5장 人間解釋

  제1절 X理論 = 115

   Ⅰ. X理論의 人間解釋 = 115

   Ⅱ. X理論下의 管理戰略 = 116

  제2절 Y理論 = 117

   Ⅰ. Y理論의 人間解釋 = 118

   Ⅱ. Y理論下의 管理戰略 = 119

  제3절 Z理論 = 121

   Ⅰ. Z理論의 人間解釋 = 121

   Ⅱ. Z理論下의 管理戰略 = 121

  제4절 複合的 人間觀 = 122

   Ⅰ. 基本的 假定 = 122

   Ⅱ. 管理戰略 = 123

  제5절 人間의 欲求와 組織의 目標 = 123

   Ⅰ. 人間의 欲求體系 = 124

   Ⅱ. 調和關係 = 125

   Ⅲ. 葛藤關係 = 126

   Ⅳ. 人間目標中心의 管理 = 127

 제6장 合理性

  제1절 合理性의 槪念 = 129

  제2절 合理性에 대한 諸見解 = 130

   Ⅰ. Karl Mannheim = 130

   Ⅱ. Herbert Simon = 132

   Ⅲ. Paul Diesing = 132

  제3절 合理性의 次元 = 134

   Ⅰ. 實踐的 次元 = 135

   Ⅱ. 形式的 次元 = 135

   Ⅲ. 價値的 次元 = 136

   Ⅳ. 認知過程上의 次元 = 136

   Ⅴ. 理論的 次元 = 137

  제4절 合理性의 制約要因 = 137

   Ⅰ. 感情的 要素 = 137

   Ⅱ. 價値選好의 葛藤 = 138

   Ⅲ. 知識 및 情報의 不完全性 = 138

   Ⅳ. 旣存의 價値體系 = 138

   Ⅴ. 費用의 過重 = 139

   Ⅵ. 習慣과 記憶 = 139

   Ⅶ. 慣性的인 現象 = 139

 제7장 加外性

  제1절 加外性의 槪念 = 140

  제2절 加外性이 正當化되는 根據 = 142

   Ⅰ. 政策決定의 不確實性狀態 = 142

   Ⅱ. 組織의 神經構造性 = 143

   Ⅲ. 組織의 體制性 = 144

   Ⅳ. 協商의 社會 = 144

  제3절 加外性의 效用性 = 145

   Ⅰ. 組織의 信賴性增進 = 145

   Ⅱ. 適應性 = 146

   Ⅲ. 創造性 = 146

   Ⅳ. 情報의 正確性確保 = 146

  제4절 加外性의 限界 = 147

   Ⅰ. 費用·效果上의 限界 = 147

   Ⅱ. 運營上의 限界 = 147

 제8장 不確實性

  제1절 行政에 있어서 不確實性의 問題 = 149

   Ⅰ. 不確實性의 否定的 側面 = 150

   Ⅱ. 不確實性의 肯定的 側面 = 151

   Ⅲ. H. Simon의 不確實性 = 151

  제2절 不確實性의 槪念 = 152

  제3절 環境的 不確實性 = 153

  제4절 不確實性의 對處方案 = 155

   Ⅰ. 標準化 = 155

   Ⅱ. 知識 및 情報의 蒐集 = 155

   Ⅲ. 加外性의 裝置 = 156

   Ⅳ. 不確實性의 除去 = 156

   Ⅴ. 限定的 合理性의 確保 = 156

   Ⅵ. 問題意識的 探索 = 156

   Ⅶ. 環境에 대한 制御 = 157

   Ⅷ. 環境에 대한 組織的 對應 = 157

   Ⅸ. 探知 = 157

 제9장 行政文化

  제1절 行政文化의 槪念 = 159

  제2절 行政文化의 主要內容 = 160

   Ⅰ. 先進國의 行政文化 = 160

   Ⅱ. 發展途上國의 行政文化 = 162

  제3절 行政文化의 變動要因 = 164

   Ⅰ. 엘리트의 分散化 = 164

   Ⅱ. 行政을 問題解決過程으로 認識 = 164

   Ⅲ. 私領域의 擴大 = 165

   Ⅳ. 節次의 簡素化 = 165

   Ⅴ. 生活給의 支給 = 165

   Ⅵ. 敎育·訓練의 强化 = 166

   Ⅶ. 政治權力으로부터 行政의 自律性 確保 = 166

   Ⅷ. 住民의 行政評價制 導入 = 167

   Ⅸ. 個別的 責任制의 採擇 = 167

제3편 行政學의 構造性

 제1장 階層的 構造

  제1절 階層的 構造의 形成 = 171

  제2절 階層制의 槪念 = 172

  제3절 階層制의 機能 = 173

   Ⅰ. 命令의 通路 = 173

   Ⅱ. 通信의 通路 = 174

   Ⅲ. 權限委任의 通路 = 174

   Ⅳ. 政策決定의 檢討 및 行政責任의 所在糾明 = 174

   Ⅴ. 行政目標의 設定과 業務分擔 = 174

   Ⅵ. 組織 內의 紛爭의 調整과 解決 = 175

   Ⅶ. 影響力과 追從力의 行使手段 = 175

 제2장 幕僚組織

  제1절 系線과 幕僚의 槪念 = 176

  제2절 傳統的 理論에 대한 批判 = 177

  제3절 幕僚의 類型 = 179

   Ⅰ. 一般幕僚 = 179

   Ⅱ. 特別幕僚 = 179

   Ⅲ. 個人幕僚 = 180

  제4절 系線과 幕僚間의 葛藤 = 180

   Ⅰ. 葛藤의 原因 = 180

   Ⅱ. 解決方案 = 181

  제5절 補助組織 = 182

 제3장 委員會制

  제1절 一般的 特性 = 184

   Ⅰ. 意義 = 184

   Ⅱ. 委員會의 效用 = 184

   Ⅲ. 委員會의 類型 = 186

  제2절 獨立規制委員會 = 187

   Ⅰ. 槪念 및 性格 = 187

   Ⅱ. 設立理由 = 187

   Ⅲ. 獨立性 = 188

   Ⅳ. 問題點 = 188

 제4장 애드호크라시

  제1절 槪念 = 190

  제2절 構造的 特徵 = 191

  제3절 種類 = 192

   Ⅰ. 行列組織 = 192

   Ⅱ. 課業集團 = 193

   Ⅲ. 委員會構造 = 194

   Ⅳ. 同僚組織 = 194

  제4절 長·短點 = 195

   Ⅰ. 長點 = 195

   Ⅱ. 短點 = 196

 제5장 組織의 設計

  제1절 槪念 = 197

   Ⅰ. 目標의 選擇 = 197

   Ⅱ. 組織化하는 方法의 選擇 = 197

   Ⅲ. 構成員의 統合 = 198

  제2절 組織設計의 接近方法 = 198

   Ⅰ. 傳統的 接近方法 = 198

   Ⅱ. 人間關係的 接近方法 = 199

   Ⅲ. 人間中心的 接近方法 = 200

   Ⅳ. 情報 및 決定過程 接近方法 = 200

  제3절 組織設計의 過程 : 情報處理模型을 중심으로 = 201

   Ⅰ. 課業의 不確實性과 組織設計 = 201

   Ⅱ. 機械模型의 組織 = 202

   Ⅲ. 權威의 階序化 = 202

   Ⅳ. 規則·프로그램 및 節次 = 203

   Ⅴ. 專門化를 土臺로 한 裁量領域의 擴大 = 203

   Ⅵ. 設計戰略 = 204

 제6장 公企業

  제1절 公企業의 槪念 = 206

  제2절 公企業의 設置理由 = 207

  제3절 公企業의 種類 = 208

   Ⅰ. 存立形態에 의한 分類 = 209

   Ⅱ. 事業의 性格에 의한 分類 = 210

  제4절 公企業의 管理原則 = 211

   Ⅰ. 公共서비스原則 = 211

   Ⅱ. 公共規制原則 = 211

   Ⅲ. 獨立採算原則 = 211

   Ⅳ. 生産性原則 = 212

  제5절 公企業의 自律的 責任經營 = 212

   Ⅰ. 事後的 實績評價制 = 213

   Ⅱ. 豫算決定의 自律性 = 213

   Ⅲ. 理事會의 設置 = 214

   Ⅳ. 實績制中心의 人力管理 = 214

   Ⅴ. 報償制度의 導入 = 215

   Ⅵ. 物資調達의 自律化 = 215

  제6절 公企業에 대한 統制 = 215

   Ⅰ. 經營目標에 대한 統制 = 215

   Ⅱ. 人事上의 統制 = 216

   Ⅲ. 財政上의 統制 = 216

   Ⅳ. 監査院에 의한 統制 = 216

   Ⅴ. 經營實績의 評價 = 217

제4편 行政學의 管理性

 제1장 集權化와 分權化

  제1절 意義 = 221

  제2절 集權化와 分權化의 決定要因 = 221

   Ⅰ. 그 나라 社會의 文化的 環境 = 222

   Ⅱ. 組織의 規模性과 年代性 = 222

   Ⅲ. 下部組織의 人的·物的 資源의 具備條件 = 223

   Ⅳ. 科學·技術의 發達과 行政의 專門化現象 = 223

   Ⅴ. 戰爭이나 非常事態와 같은 危機의 存在 = 223

   Ⅵ. 周圍環境의 不確實性과 可變性 = 224

   Ⅶ. 行政서비스의 最低水準 確保 必要性 = 224

   Ⅷ. 外部效果의 影響 = 224

  제3절 集權化와 分權化의 長·短點 = 225

   Ⅰ. 集權化의 長點 = 225

   Ⅱ. 分權化의 長點 = 226

   Ⅲ. 集權化와 分權化의 相對性 = 227

  제4절 一線機關 = 228

   Ⅰ. 意義 = 228

   Ⅱ. 一線奇關의 類型 = 229

   Ⅲ. 一線奇關의 區域設定問題 = 230

  제5절 廣域行政 = 232

   Ⅰ. 意義 = 232

   Ⅱ. 廣域行政의 促進要因 = 232

   Ⅲ. 廣域行政의 方式 = 234

  제6절 中央과 地方間의 關係 = 235

   Ⅰ. 세 가지 關係의 模型 = 235

   Ⅱ. 中央統制 = 235

 제2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槪念 = 238

  제2절 리더십의 構成要素 = 239

   Ⅰ. 指導者 = 239

   Ⅱ. 集團 = 239

   Ⅲ. 追從者 = 239

   Ⅳ. 狀況 = 240

   Ⅴ. 課業 = 240

  제3절 리더십理論의 變遷 = 240

   Ⅰ. 屬性論 = 241

   Ⅱ. 集團論 = 242

   Ⅲ. 狀況論 = 242

   Ⅳ. 道程-目標理論 = 243

   Ⅴ. 多重連結模型理論 = 244

  제4절 리더십의 類型 = 246

   Ⅰ. 리더십의 類型 = 246

   Ⅱ. 리더십의 類型을 決定하는 狀況的 要素 = 247

  제5절 리더십의 主體的 機能 = 249

   Ⅰ. 凝集力의 確保 = 249

   Ⅱ. 動機賦與 = 250

   Ⅲ. 調整·統合行爲 = 250

   Ⅳ. 觸媒役割 = 251

   Ⅴ. 代辯役割 = 251

   Ⅵ. 危機管理의 役割 = 251

 제3장 目標管理

  제1절 槪念 = 252

   Ⅰ. 人間의 行爲는 合理的이라는 假定 = 253

   Ⅱ. 參與的 管理 = 253

   Ⅲ. 結果定向的 目標의 設定 = 253

   Ⅳ. 組織運營에 있어서 構成要素間의 相互依存性 = 254

   Ⅴ. 最終結果를 評價하여 目標와 對比시키는 還流過程의 强調 = 254

  제2절 目標管理의 長點 = 254

   Ⅰ. 組織의 民主化追求 = 254

   Ⅱ. 組織構成員의 士氣와 滿足感의 提高 = 255

   Ⅲ. 組織運營에서 불분명하고 애매한 것의 除去 = 255

   Ⅳ. 自律的 責任을 통한 팀워크의 强化 = 255

   Ⅴ. 組織의 弱點의 迅速한 發見과 그 補完 = 256

   Ⅵ. 官僚制의 否定的 側面 除去 = 256

  제3절 目標管理의 問題點 = 256

  제4절 類似槪念과의 比較 = 257

   Ⅰ. PPBS와의 比較 = 258

   Ⅱ. OD와의 比較 = 259

 제4장 組織發展

  제1절 槪念 = 261

  제2절 假定 = 262

   Ⅰ. 人間의 性格에 대한 假定 = 263

   Ⅱ. 組織의 性格에 대한 假定 = 263

  제3절 組織發展의 過程 = 263

  제4절 組織發展의 技法 = 265

   Ⅰ. 感受性訓練 = 266

   Ⅱ. 態度調査還流 = 267

   Ⅲ. 管理網 = 267

  제5절 組織發展의 問題點 = 269

 제5장 組織學習

  제1절 槪念 = 271

  제2절 組織學習의 過程 = 272

   Ⅰ. 環境認識과 知覺필터 = 272

   Ⅱ. 解釋過程 = 272

   Ⅲ. 保存과 廢棄學習 = 273

   Ⅳ. 引出行爲 = 273

   Ⅴ. 組織行動의 選擇 = 273

  제3절 組織學習의 類型 = 273

   Ⅰ. 單純循環學習 = 274

   Ⅱ. 二重循環學習 = 274

   Ⅲ. 三重循環學習 = 274

  제4절 組織學習의 活性化方案 = 275

   Ⅰ. 持續的인 學習機會의 創出 = 275

   Ⅱ. 學習을 共有할 수 있는 體制의 摸索 = 275

   Ⅲ. 學習擔當者로서의 認識 = 276

   Ⅳ. 廢棄學習 = 276

   Ⅴ. 느슨한 組織構造 = 276

 제6장 體制的 品質管理

  제1절 TQM의 發達過程 = 277

  제2절 TQM의 核心槪念 = 278

   Ⅰ. 消費者의 需要를 重視 = 278

   Ⅱ. 事前的 品質管理 體系 = 278

   Ⅲ. 統計的 品質管理 體系 = 278

   Ⅳ. 長期的 觀點 = 278

   Ⅴ. 팀워크 中心의 組織管理 = 279

  제3절 TQM의 原則 = 279

   Ⅰ. 消費者 中心의 品質原則 = 279

   Ⅱ. 明確하고 共有되는 目標原則 = 280

   Ⅲ. 結果보다는 投入과 過程의 持續的인 改善原則 = 280

   Ⅳ. 參與的 管理原則 = 280

  제4절 公共部門에서 TQM 適用의 限界 = 281

   Ⅰ. 公共部門의 不明確한 目標 = 281

   Ⅱ. 消費者의 重疊性, 葛藤性 = 281

   Ⅲ. 公共組織의 官僚的 文化 = 282

 제7장 組織文化

  제1절 槪念 = 283

  제2절 組織文化의 形成要因 = 284

   Ⅰ. 外部環境適應과 內部統合 = 284

   Ⅱ. 社會文化 = 284

   Ⅲ. 創業者의 信念과 哲學 = 284

  제3절 組織文化의 階層 = 285

   Ⅰ. 基本的인 믿음 = 285

   Ⅱ. 價値觀 = 285

   Ⅲ. 人工的인 創造物 = 285

  제4절 組織文化의 機能 = 286

   Ⅰ. 行動의 決定要因 = 286

   Ⅱ. 凝集의 役割 = 286

   Ⅲ. 集團 力學의 正確한 診斷 = 286

   Ⅳ. 意思疏通의 圓滑化 = 287

   Ⅴ. 改革의 成功與否 決定 = 287

 제8장 行政의 葛藤管理

  제1절 普遍的 現象으로서의 葛藤 = 288

  제2절 組織 內的 葛藤 = 289

   Ⅰ. 葛藤의 源泉 = 289

   Ⅱ. 葛藤의 解決方案 = 292

  제3절 組織外的 葛藤 = 295

   Ⅰ. 行政仲裁 = 295

   Ⅱ. 公權力의 使用 = 298

 제9장 組織의 效果性

  제1절 槪念의 摸索 = 300

  제2절 接近方法 = 301

   Ⅰ. 目標成就의 接近方法 = 301

   Ⅱ. 體制接近方法 = 303

   Ⅲ. 戰略-環境的 接近方法 = 304

   Ⅳ. 競合的 價値의 接近方法 = 306

   Ⅴ. 社會的 正義의 接近方法 = 308

 제10장 커뮤니케이션 : 정보의 흐름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意義 및 重要性 = 311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構成要素 = 312

   Ⅰ. 傳達者 = 312

   Ⅱ. 傳達內容 = 312

   Ⅲ. 通路 = 313

   Ⅳ. 被傳達者(受信者) = 313

   Ⅴ. 效果 = 313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原則 = 313

  제4절 커뮤니케이션의 類型 = 315

   Ⅰ. 公式性을 基準으로 한 分類 = 315

   Ⅱ. 方向性을 기준으로 한 分類 = 317

  제5절 커뮤니케이션의 障碍要因 = 319

   Ⅰ. 言語上의 問題 = 319

   Ⅱ. 社會·文化的 背景 = 320

   Ⅲ. 地位上의 差異 = 320

   Ⅳ. 意識的인 歪曲作用 = 320

 제11장 公共關係

  제1절 槪念 = 321

  제2절 公共關係의 必要性 = 322

   Ⅰ. 國民의 알 權利 = 322

   Ⅱ. 政策에의 反映 = 322

   Ⅲ. 行政과 國民間의 不信除去 = 323

   Ⅳ. 示威欲求의 充足 = 323

   Ⅴ. 公益性의 促求 = 323

   Ⅵ. 誠實의 促求 = 324

  제3절 公共關係의 特性 = 324

   Ⅰ. 水平性 = 324

   Ⅱ. 義務性 = 324

   Ⅲ. 相互交流性 = 325

   Ⅳ. 客觀性 = 325

   Ⅴ. 敎育性 = 325

  제4절 公共關係의 問題點 = 326

   Ⅰ. 國民의 操縱 = 326

   Ⅱ. 不利한 情報의 隱蔽 = 326

   Ⅲ. 辨明의 手段 = 326

 제12장 行政에의 住民參與

  제1절 意義 = 328

  제2절 住民參與의 根據 = 328

  제3절 住民參與의 問題點 = 330

  제4절 住民參與의 活性化方案 = 332

 제13장 行政責任과 行政統制

  제1절 行政責任의 意義 = 335

  제2절 行政責任의 種類 = 335

   Ⅰ. 道義的 責任 = 335

   Ⅱ. 法的 責任 = 336

   Ⅲ. 職務的 責任 = 337

  제3절 行政責任의 基準 = 337

   Ⅰ. 明文化된 基準 = 337

   Ⅱ. 行政理念 = 337

   Ⅲ. 公益 = 338

   Ⅳ. 顧客의 要求 = 338

  제4절 行政統制 = 338

   Ⅰ. 外部統制 = 339

   Ⅱ. 內部統制 = 342

   Ⅲ. 統制過程 = 344

   Ⅳ. 是正措置 = 345

 제14장 行政改革과 減縮管理

  제1절 行政改革의 槪念 및 發生契機 = 347

   Ⅰ. 行政改革의 槪念 = 347

   Ⅱ. 行政改革의 發生契機 = 348

  제2절 行政改革의 接近方法 = 349

   Ⅰ. 構造的 接近方法 = 350

   Ⅱ. 過程的 接近方法 = 350

   Ⅲ. 行態的 接近方法 = 351

   Ⅳ. 接近方法들의 綜合化 = 351

  제3절 行政改革의 過程 = 352

   Ⅰ. 行政改革의 成功的 條件 = 352

   Ⅱ. 行政改革의 推進過程 = 353

   Ⅲ. 行政改革에 대한 抵抗 = 355

  제4절 減縮管理 = 357

   Ⅰ. 槪念 = 357

   Ⅱ. 減縮管理의 促進要因 = 357

   Ⅲ. 減縮管理의 方法 = 359

   Ⅳ. 減縮管理의 沮害要因 = 359

   Ⅴ. 減縮管理의 基本方向 = 360

제5편 行政學의 政策過程性

 제1장 政策決定과 企劃

  제1절 兩者의 關係 = 365

  제2절 政策決定의 過程 = 366

   Ⅰ. 政策決定의 諸段階 = 366

   Ⅱ. 政策決定에 영향을 미치는 諸要素 = 369

   Ⅲ. 政策決定과 合理性 = 371

 제2장 政策決定의 模型

  제1절 合理模型 = 373

  제2절 漸增模型 = 374

  제3절 混合觀照模型 = 376

  제4절 最適模型 = 379

  제5절 쓰레기통模型 = 381

 제3장 政策執行

  제1절 執行의 重要性과 槪念 = 383

  제2절 執行過程의 精神的 側面 = 385

  제3절 執行過程의 技術的 側面 = 386

  제4절 政策執行의 類型 = 388

   Ⅰ. 古典的 技術官僚型 = 388

   Ⅱ. 指示的 委任型 = 389

   Ⅲ. 協商型 = 389

   Ⅳ. 裁量的 實驗型 = 390

   Ⅴ. 官僚的 企業家型 = 391

 제4장 政策評價

  제1절 評價의 意義와 重要性 = 392

  제2절 評價의 論理 = 393

  제3절 評價의 모델 = 394

   Ⅰ. 作業成就度만을 測定하는 모델 = 394

   Ⅱ. 目標의 成就度를 測定하는 모델 = 394

   Ⅲ. 能率性을 測定하는 모델 = 396

  제4절 評價의 節次 = 397

   Ⅰ. 目標의 識別 = 397

   Ⅱ. 成果의 評價基準과 有意味性의 判定基準 = 397

   Ⅲ. 影響模型의 設定 = 398

   Ⅳ. 硏究設計의 設定 = 398

   Ⅴ. 測定 = 399

   Ⅵ. 資料의 蒐集과 分析 = 399

  제5절 效果性의 測定問題 = 399

   Ⅰ. 效果의 種類 = 400

   Ⅱ. 測定手段의 信賴度와 妥當度 = 401

  제6절 評價作業의 管理問題 = 402

제6편 行政學의 規範性

 제1장 行政의 倫理

  제1절 行政倫理의 槪念 = 407

  제2절 行政倫理가 確保되기 어려운 理由 = 409

  제3절 行政倫理의 諸次元 = 411

   Ⅰ. 個人的 次元 = 411

   Ⅱ. 構造的 次元 = 412

   Ⅲ. 政策的 次元 = 413

   Ⅳ. 文化的 次元 = 4713

  제4절 行政倫理의 確立方案 = 413

   Ⅰ. 勇氣 = 413

   Ⅱ. 公平性 = 414

   Ⅲ. 人間다운 生活保障 = 414

   Ⅳ. 節次의 簡素化 = 415

   Ⅴ. 行政의 脫權力化 = 415

   Ⅵ. 代表官僚制의 確立 = 415

   Ⅶ. 人間支配에서 벗어나는 行政 = 416

   Ⅷ. 職業倫理의 確立 = 416

   Ⅸ. 公共組織의 派閥性止揚 = 416

 제2장 行政腐敗

  제1절 腐敗의 槪念 = 417

  제2절 腐敗의 類型 = 418

   Ⅰ. 勸力型 腐敗 = 418

   Ⅱ. 賂物收受行爲 = 418

   Ⅲ. 公金橫領行爲 = 419

   Ⅳ. 情實主義的 特惠行爲 = 419

   Ⅴ. 後援者·顧客간의 關係 = 419

  제3절 腐敗의 素地 = 420

   Ⅰ. 낮은 給與 = 420

   Ⅱ. 身分과 未來에 대한 不安 = 420

   Ⅲ. 節次의 複雜性 = 420

   Ⅳ. 法的 基準의 模糊性과 非現實性 = 421

   Ⅴ. 統制裝置의 不備 = 421

   Ⅵ. 政府主導의 經濟開發 = 421

   Ⅶ. 社會文化的 要因 = 421

  제4절 腐敗의 機能 = 422

   Ⅰ. 肯定的 機能 = 422

   Ⅱ. 否定的 機能 = 423

  제5절 腐敗에 대한 對策 = 425

   Ⅰ. 生活給의 支給 = 425

   Ⅱ. 行政의 脫規制化 및 節次의 簡素化 = 425

   Ⅲ. 緣故主義의 拂拭 = 425

   Ⅳ. 法이나 制度의 現實化 = 426

   Ⅴ. 法의 公平한 適用 = 426

   Ⅵ. 官主導發展의 止揚 = 426

   Ⅶ. 市民運動의 生活化 = 426

 제3장 公益

  제1절 序論 = 427

  제2절 公益에 관한 諸學說 = 427

   Ⅰ. 規範設 = 428

   Ⅱ. 過程設 = 428

   Ⅲ. 合意設 = 429

   Ⅳ. 共同體의 利益說 = 430

   Ⅴ. 公共財設 = 430

  제3절 公益의 構成要素 = 430

   Ⅰ. 普遍化된 價値 = 431

   Ⅱ. 共同體 자체의 權益 = 431

   Ⅲ. 財貨나 用役의 外部經濟性 = 431

   Ⅳ. 未來의 利益이나 效用性 = 432

   Ⅴ. 多數의 利益 = 432

   Ⅵ. 社會的 弱者의 利益 = 433

  제4절 公益의 機能 = 433

  제5절 公益과 私益과의 關係 = 435

  제6절 公益의 産出過程 = 436

   Ⅰ. 公益産出이 활발한 社會 = 436

   Ⅱ. 公益의 産出者 = 437

 제4장 社會的 衡平

  제1절 行政에 있어서 社會的 衡平의 問題 = 438

  제2절 社會的 衡平의 槪念 = 439

  제3절 社會的 衡平의 根據 = 440

   Ⅰ. 平等 = 440

   Ⅱ. 實績 = 441

   Ⅲ. 欲求 = 443

  제4절 社會的 衡平을 確保하기 위한 行政의 役割 = 444

   Ⅰ. 公正한 機關으로서의 位相定立 = 444

   Ⅱ. 價値의 公正한 配分 = 445

   Ⅲ. 社會的 弱者의 利益保護 = 446

   Ⅳ. 代表官僚制의 採擇 = 446

   Ⅴ. 貧困에 대한 對策 = 447

 제5장 社會開發과 社會指標

  제1절 社會開發의 槪念 = 448

  제2절 社會指標의 擡頭 = 450

  제3절 社會指標의 效用性 = 451

 제6장 行政規制

  제1절 規制의 一般理論 = 453

   Ⅰ. 規制의 槪念 = 453

   Ⅱ. 規制의 發生根據 = 454

   Ⅲ. 規制의 目標 = 456

   Ⅳ. 規制의 方法 = 458

  제2절 經濟的 規制 = 459

   Ⅰ. 獨寡占規制 = 459

   Ⅱ. 特定産業에 대한 規制 = 460

   Ⅲ. 具體的인 手段들 = 461

  제3절 社會的 規制 = 462

   Ⅰ. 槪念 = 462

   Ⅱ. 社會的 規制의 目的 = 463

   Ⅲ. 社會的 規制의 種類 = 463

  제4절 規制의 改革 및 緩和問題 = 465

   Ⅰ. 規制改革의 意味 = 465

   Ⅱ. 規制의 緩和問題 = 465

 제7장 行政의 發展戰略

  제1절 發展에 있어서의 主體性 = 467

  제2절 發展戰略의 種類 = 468

   Ⅰ. 直接戰略과 誘導戰略 = 468

   Ⅱ. 均衡戰略과 不均衡戰略 = 469

  제3절 發展戰略의 主體的 內容 = 470

   Ⅰ. 行政體制의 發展 = 470

   Ⅱ. 發展的 役割 = 472

  제4절 機關形成 = 474

   Ⅰ. 槪念 = 474

   Ⅱ. 假定 = 475

   Ⅲ. 變數 = 476

   Ⅳ. 機關化 = 478

제7편 豫算管理

 제1장 豫算의 一般理論

  제1절 豫算의 槪念과 機能 = 481

   Ⅰ. 豫算의 槪念 = 481

   Ⅱ. 豫算의 機能 = 481

  제2절 豫算의 原則 = 485

   Ⅰ. 豫算原則의 槪念 = 485

   Ⅱ. 豫算原則과 適用上의 限界 = 485

  제3절 豫算의 種類 = 488

   Ⅰ. 一般會計豫算·特別會計豫算 및 基金 = 488

   Ⅱ. 本豫算·修正豫算 및 追加更正豫算 = 489

   Ⅲ. 統合豫算 = 490

   Ⅳ. 資本豫算 = 492

  제4절 豫算의 分類 = 494

   Ⅰ. 豫算分類의 意義 = 494

   Ⅱ. 品目別 分類 = 494

   Ⅲ. 機能別 分類 = 494

   Ⅳ. 事業計劃 및 活動別 分類 = 495

   Ⅴ. 經濟性質別 分類 = 495

 제2장 公共領域에서의 資源配分問題

  제1절 消費者選好의 接近方法 = 498

   Ⅰ. 內容 = 498

   Ⅱ. 問題點 = 499

  제2절 政治的 接近方法 = 500

   Ⅰ. 內容 = 500

   Ⅱ. 問題點 = 503

  제3절 經濟的 接近方法 = 505

   Ⅰ. 內容 = 505

   Ⅱ. 問題點 = 506

  제4절 각 接近方法의 補完性 = 508

 제3장 豫算過程

  제1절 豫算의 編成 = 510

   Ⅰ. 豫算編成의 意義 = 510

   Ⅱ. 豫算編成의 節次 = 510

  제2절 豫算編成에 있어서 豫算官僚들의 役割類型 = 513

   Ⅰ. 消費者 = 514

   Ⅱ. 削減者 = 515

   Ⅲ. 守門將 = 516

  제3절 豫算의 審議 = 516

   Ⅰ. 豫算審議의 意義 = 516

   Ⅱ. 豫算審議 過程 = 517

   Ⅲ. 豫算審議의 行態 = 519

  제4절 豫算의 執行 = 521

   Ⅰ. 豫算執行의 意義 = 521

   Ⅱ. 執行上의 財政統制 = 522

   Ⅲ. 執行上의 伸縮性 = 524

   Ⅳ. 執行上의 問題點 = 528

  제5절 決算 = 529

   Ⅰ. 決算의 意義 = 529

   Ⅱ. 歲入·歲出決算書의 作成 = 529

   Ⅲ. 決算의 確認 = 530

   Ⅳ. 決算의 審査 = 530

   Ⅴ. 決算의 問題點 = 530

  제6절 會計檢査 = 531

   Ⅰ. 會計檢査의 意義 = 531

   Ⅱ. 會計檢査의 種類 = 531

   Ⅲ. 檢査結果의 處理 = 532

   Ⅳ. 會計檢査의 問題點 = 533

  제7절 職務監察 = 534

   Ⅰ. 職務監察의 意義 = 534

   Ⅱ. 會計檢査와 職務監察의 差異 = 534

   Ⅲ. 會計檢査와 職務監察의 均衡的 接近 = 535

  제8절 政策監査 = 535

   Ⅰ. 政策監査의 意義 = 535

   Ⅱ. 政策監査의 範圍 = 536

   Ⅲ. 政策監査結果의 處理 = 538

 제4장 豫算制度의 發達過程

  제1절 品目別豫算 = 539

   Ⅰ. 品目別豫算의 內容 = 539

   Ⅱ. 品目別豫算의 效用性 = 539

   Ⅲ. 品目別豫算의 問題點 = 540

  제2절 成果主義豫算 = 540

   Ⅰ. 成果主義豫算의 發生動機 = 540

   Ⅱ. 成果主義豫算의 內容 = 541

   Ⅲ. 成果主義豫算의 效用性 = 542

   Ⅳ. 成果主義豫算의 問題點 = 543

  제3절 計劃豫算 = 543

   Ⅰ. 計劃豫算의 發生動機 = 543

   Ⅱ. 計劃豫算의 意義 = 545

   Ⅲ. 計劃豫算의 構成要素 = 545

   Ⅳ. 計劃豫算의 效用性 = 546

   Ⅴ. 計劃豫算의 問題點 = 547

   Ⅵ. 成果主義豫算과 計劃豫算의 關係 = 548

  제4절 零基準豫算 = 549

   Ⅰ. 零基準豫算의 發生動機 = 549

   Ⅱ. 零基準豫算의 意義 = 549

   Ⅲ. 零基準豫算의 主要節次 = 551

   Ⅳ. 零基準豫算과 計劃豫算의 關係 = 553

   Ⅴ. 零基準豫算에 대한 評價 = 554

 제5장 政府購買

  제1절 購買의 意義 = 556

  제2절 集中購買制度 = 557

   Ⅰ. 集中購買와 分散購買 = 557

   Ⅱ. 集中購買의 長·短點 = 557

  제3절 購買의 節次 = 559

   Ⅰ. 需要判斷 = 559

   Ⅱ. 購買 = 559

   Ⅲ. 收納과 檢査 = 559

   Ⅳ. 代金支給 = 560

제8편 人力管理

 제1장 人力管理의 一般理論

  제1절 獵官制·實績制 및 職業公務員制 = 563

   Ⅰ. 獵官制 = 563

   Ⅱ. 實績制 = 564

   Ⅲ. 職業公務員制 = 566

  제2절 公務員制度의 分類 = 568

   Ⅰ. 閉鎖型과 開放型 = 568

   Ⅱ. 經歷職과 特殊經歷職 = 569

   Ⅲ. 國家公務員과 地方公務員 = 570

  제3절 中央人事機關 = 571

   Ⅰ. 中央人事機關의 設置理由 = 571

   Ⅱ. 中央人事機關의 組織形態 = 571

   Ⅲ. 中央人事機關의 機能 = 572

   Ⅳ. 各國의 中央人事機關 = 573

 제2장 公職의 分類

  제1절 階級制 = 576

   Ⅰ. 階級制의 意義 = 576

   Ⅱ. 階級制의 長·短點 = 576

  제2절 職位分類制 = 577

   Ⅰ. 職位分類制의 意義 = 577

   Ⅱ. 職位分類制의 發達原因 = 577

  제3절 職位分類制의 樹立過程 = 578

   Ⅰ. 職位分類制의 構成要素 = 578

   Ⅱ. 職位分類制의 樹立過程 = 579

  제4절 職位分類制의 長·短點 = 581

   Ⅰ. 長點 = 581

   Ⅱ. 短點 = 582

  제5절 우리 나라에서의 公職의 分類 = 582

   Ⅰ. 經緯 = 582

   Ⅱ. 職位分類制導入上의 問題點 = 583

 제3장 充員過程

  제1절 募集 = 584

   Ⅰ. 募集의 意義 = 584

   Ⅱ. 募集에 대한 두 가지 見解 = 585

   Ⅲ. 積極的인 募集方法 = 585

   Ⅳ. 募集의 資格要件 = 586

  제2절 試驗 = 587

   Ⅰ. 試驗의 意義 = 587

   Ⅱ. 試驗의 效用性 = 587

   Ⅲ. 試驗의 種類 = 588

  제3절 採用節次 = 590

   Ⅰ. 採用候補者名簿 = 590

   Ⅱ. 推薦 = 590

   Ⅲ. 試補任用 = 591

   Ⅳ. 任命과 補職 = 591

  제4절 配置轉換 = 591

   Ⅰ. 配置轉換의 意義 = 591

   Ⅱ. 配置轉換의 效用性 = 592

   Ⅲ. 빈번한 配置轉換의 弊害 = 592

   Ⅳ. 派遣勤務 = 593

  제5절 昇進 = 594

   Ⅰ. 昇進의 意義 = 594

   Ⅱ. 昇進과 新規採用과의 關係 = 595

   Ⅲ. 昇進에 있어서 閉鎖主義와 開放主義 = 595

   Ⅳ. 昇進의 基準 = 595

 제4장 能力開發

  제1절 敎育訓練 = 598

   Ⅰ. 敎育訓練의 意義 = 598

   Ⅱ. 敎育訓練의 必要性 = 598

   Ⅲ. 敎育訓練의 種類 = 599

   Ⅳ. 敎育訓練의 諸方法 = 600

   Ⅴ. 敎育訓練上의 留意點 = 602

  제2절 勤務成績評定 = 603

   Ⅰ. 勤務成績評定의 意味 = 603

   Ⅱ. 勤務成績評定의 目標 = 603

   Ⅲ. 評定方法 = 604

   Ⅳ. 勤務成績評定에 대한 否定的 見解 = 606

 제5장 士氣

  제1절 士氣의 一般理論 = 608

   Ⅰ. 士氣의 槪念 = 609

   Ⅱ. 士氣의 役割 = 609

   Ⅲ. 士氣의 決定因子 = 610

  제2절 報酬와 年金 = 612

   Ⅰ. 報酬의 意味 = 612

   Ⅱ. 報酬水準의 決定 = 613

   Ⅲ. 報酬의 構成 = 614

   Ⅳ. 昇給과 報酬의 調整 = 615

   Ⅴ. 年金 = 616

  제3절 提案制度 = 618

   Ⅰ. 提案制度의 意味 = 618

   Ⅱ. 提案制度의 效用 = 618

   Ⅲ. 提案制度의 過程 = 619

  제4절 苦情處理 = 620

   Ⅰ. 苦情處理의 意味 = 620

   Ⅱ. 苦情處理의 節次 = 621

 제6장 公務員의 行動規範

  제1절 公務員의 行動規範 = 622

   Ⅰ. 行動規範의 內容 = 622

   Ⅱ. 行動規範을 준수시키는 方案 = 624

  제2절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 = 626

   Ⅰ. 政治的 中立의 意味 = 626

   Ⅱ. 政治的 中立의 內容 = 626

   Ⅲ. 政治的 中立에 대한 批判 = 627

  제3절 公務員의 團體行動 = 628

   Ⅰ. 公務員團體行動의 意味 = 628

   Ⅱ. 公務員團體行動의 發生契機 = 628

   Ⅲ. 團體行動의 肯定的 側面 = 629

   Ⅳ. 團體行動의 否定的 側面 = 630

   Ⅴ. 우리 나라의 경우 = 631

參考文獻 = 633

索引(人名·事項) = 64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