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90c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1030018 | |
005 | 20100805020553 | |
007 | ta | |
008 | 980819s1997 ulkad 000a kor | |
020 | ▼a 8938597008 ▼g 93910: ▼c \18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49 | 0 | ▼l 151052320 ▼l 151052345 |
082 | 0 4 | ▼a 951.90076 ▼2 21 |
090 | ▼a 953.0076 ▼b 1997a | |
245 | 2 0 | ▼a (근, 현대사가 대폭 보강된)새 한국사 특강 / ▼d 정진각 엮음. |
260 | ▼a 서울 : ▼b 부민문화사 , ▼c 1997. | |
300 | ▼a viii, 614 p. : ▼b 삽도, 도표 ; ▼c 26 cm. | |
700 | 1 | ▼a 정진각 |
950 | 0 | ▼b \18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076 1997a | 등록번호 1510523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953.0076 1997a | 등록번호 1510523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Ⅰ. 한국의 사관 Ⅱ. 원시사회와 국가의 성립 1. 원시 사회의 모습 = 15 2. 선사 문화의 전개 = 16 1) 구석기 문화 = 16 2) 신석기 문화 = 18 3) 청동기 문화 = 21 4) 철기 문화 = 24 3. 한민족의 성립 = 25 4. 국가의 성립 = 26 Ⅲ. 고대 사회의 발전 1. 고대 사회의 형성 = 43 2. 고대의 정치적 발전 = 44 1) 왕권 강화 = 44 2) 삼국의 대외 관계 = 52 3) 고구려의 대중국 투쟁 = 53 4) 삼국 통일 = 54 3. 고대의 사회와 경제 = 56 1) 고대사회의 특성 = 56 2) 고구려 사회 = 57 3) 백제 사회 = 59 4) 신라 사회 = 60 5) 고대 도시의 발달 = 63 6) 경제력 향상 = 64 4. 고대 문화의 발달 = 65 1) 문화의 다양성 = 65 2) 사상의 발달 = 66 3) 학문의 발달 = 70 4) 삼국 예술의 발달 = 72 5) 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 75 5. 남북국 시대 = 76 1) 개관 = 76 2) 통일 신라의 발전 = 77 3) 발해의 건국과 문화 = 82 4) 통일 신라 문화 = 87 Ⅳ. 중세 사회의 발전 1. 중세 사회로의 전환 = 129 1) 호족의 대두 = 129 2) 후삼국의 성립 = 131 2. 중세의 정치적 변화 = 132 1) 민족의 통일 = 132 2) 통치 구조의 정비 = 136 3) 유교 정치 = 140 4) 귀족 정치 = 141 5) 무신 정변 = 144 6) 대외 관계 = 148 7) 자주권 수호 = 150 3. 중세의 사회와 경제 = 154 1) 사회와 경제 = 154 2. 고려 후기의 사회 = 160 4. 중세 문화의 발달 = 195 1) 성격 = 195 2) 불교 문화 = 195 3) 유학(儒學) = 199 4) 도교와 풍수 도참 사상 = 202 5) 역사학의 발달 = 202 6) 문학 = 205 7) 예술 = 206 8) 과학·기술 = 210 Ⅴ. 근세 사회의 발달 1. 근세 사회로의 전환 = 225 2. 근세의 정치적 변화 = 227 1) 정치 체제의 확립 = 227 2) 중앙 집권 체제 = 229 3) 대외 관계와 북방 개척 = 240 4) 사림 정치 = 243 5) 붕당 정치 = 246 6) 왜란과 호란 = 249 3. 근세의 사회와 경제 = 256 1) 양반 사회 = 256 2) 향촌 자치 = 259 3) 토지 제도 = 260 4) 조세 제도 = 262 5) 농본 정책과 산업 = 265 4. 근세 문화의 발달 = 308 1) 민족 문화 = 308 2) 성리학 = 312 3) 사학·예학·보학 = 316 4) 과학·기술 = 317 5) 문학과 예술의 발달 = 320 Ⅵ. 근대 사회의 태동 1. 제도의 개편과 정치 변화 = 335 1) 정치 제도의 개편 = 335 2) 세제 개혁 = 337 3) 외척의 세도 정치 = 340 2. 사회 변동과 산업 발달 = 343 1) 신분 질서의 동요 = 343 2) 사회 불안 = 345 3) 민간 신앙과 종교의 새 기운 = 350 4) 농업 생산성의 향상 = 354 5) 상공업의 발달 = 356 3. 문화의 새 기운 = 361 1) 성리학의 비판 = 361 2) 양명학(陽明學) = 362 3) 실학(實學)의 발달 = 363 4) 서민 문화 = 374 Ⅶ. 근대 사회의 전개 1. 근대 사회로의 진전 = 409 1) 흥선 대원군의 집권 = 409 2) 국제 관계의 확대 = 410 3) 개항(開港) = 413 4) 개화 사상 = 417 5) 위정 척사 운동 = 421 2. 민족 의식의 성장 = 424 1) 동학 농민 운동 = 424 2) 갑오 개혁의 단행 = 431 3. 근대의 사회와 경제 = 434 1) 열강의 대립 = 434 2) 독립 협회의 활동 = 437 3) 대한 제국의 성립과 광무 개혁 = 442 4) 기층민의 저항 운동 = 444 5) 열강의 국권 침탈과 동의 = 446 6) 의병의 구국 항전 = 448 4. 근대 문화의 발달 = 450 1) 애국 계몽 운동의 성격 = 450 2) 경제 자립 운동 = 451 3) 사회 단체 = 452 4) 언론의 활동 = 452 5) 민족 교육 운동 = 453 6) 신문학 운동 = 453 7) 종교 활동 = 454 Ⅷ. 민족의 독립 운동 1. 국권 침탈과 민족의 시련 = 489 1) 무단 통치 = 489 2) 소위 문화 통치 = 492 3) 병참 기지화 정책과 민족 말살 정책 = 495 2. 독립 운동의 전개 = 498 1) 독립 운동 기지의 설치 = 498 2) 3·1 운동 = 501 3)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 502 4) 국내의 독립 운동 = 504 5) 독립 전쟁 = 512 Ⅸ. 현대 사회의 발전 1. 민주 정치의 발전 = 533 1) 민족의 광복 = 533 2) 국토의 분단 = 537 3) 대한 민국의 건국 = 539 4) 농지 개혁(農地改革) = 541 5) 반민족 행위 처벌 특별법 = 542 6) 6·25 전쟁 = 543 7) 원조 경제 = 544 2. 사회 변화와 경제 성장 = 544 3. 세계속의 한국 = 551 기출·종합 문제 =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