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장 법철학의 기초(법철학, 법이론 및 법도그마틱)
제1절 法哲學과 법도그마틱 = 10
제2절 法哲學의 形式的 客體 = 14
제3절 法哲學上의 올바른 물음에 관하여 = 18
제4절 科學主義와 哲學主義 그리고 應用主義의 誤謬 = 23
제5절 法哲學과 法理論 = 26
제6절 哲學과 法哲學의 根源 = 31
1. 存在論 = 32
2. 認識論 = 34
3. 實存哲學 = 38
4. 다양한 傾向의 綜合 = 41
제7절 現代의 哲學課題 및 法哲學의 任務 = 43
主要 參考文獻 = 51
제Ⅱ장 法哲學의 問題史
제1절 서론 = 58
제2절 법철학의 역사적 전개 = 61
Ⅰ. 고대의 법철학 = 62
1. 선사시대 = 62
2. 소크라테스 이전 = 64
3. 소피스트의 철학 = 67
4. 아테네의 철학(attische Philosophie) = 71
5. 스토아 학파 = 83
Ⅱ. 중세의 법철학 = 88
1. 고대로부터 중세로의 전환 = 88
2. 아우구스티누스 = 88
3. 토마스 아퀴나스 = 92
4. 스콜라 철학의 말기 = 98
Ⅲ. 근대의 법철학 = 103
1. 새로운 철학과 학문의 이해 = 103
2. 근대의 자연법 = 106
3. 고전적 자연법의 종말 = 118
1) 역사법학파 = 118
2) 칸트의 비판철학 = 120
3) 헤겔의 관념론적 철학 = 134
4) 유물론적 역사학파 = 141
5) 헤겔 이후의 시대 = 148
4. 법학상의 실증주의 = 151
5. 실증주의의 붕괴 = 163
6. 법철학과 국가사회주의(나치스) = 166
Ⅳ. 자연법과 실증주의를 넘어서 = 169
1. 1945년 이후 자연법적 사상의 재생 = 169
2.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 174
3. 법 인류학 = 188
4. 그 밖의 흐름 = 193
제3절 근대법학 방법론의 역사적 발전 = 197
Ⅰ. 사비니(Friedrich Carl von Savigny) = 198
Ⅱ. 개념법학 = 205
Ⅲ. 경험적 법실증주의 = 211
1. 비어링 = 212
2. 예링 = 214
3. 이익법학 = 215
4. 자유법운동 = 217
5. 법사회학 = 221
Ⅳ. 논리적 법실증주의, 특히 "순수법학" = 224
1. 한스 켈젠 = 224
2. 분석법학, 논리학, Topik, 수사학 = 231
Ⅴ. 법해석학 = 235
1. 개방체계 = 235
2. 주관-객관-도식의 극복 = 237
3. 법실현의 해석학적 절차 = 247
주요 참고 문헌 =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