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새로운)음악통론

(새로운)음악통론 (4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효임 이동남 주대창
서명 / 저자사항
(새로운)음악통론 / 조효임 ; 이동남 ; 주대창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문사 ,   1998.  
형태사항
273p. : 삽도,악보,연표 ; 23cm.
ISBN
8946761296
서지주기
참고문헌: p.271-273
000 00614camccc200229 k 4500
001 000001023985
005 20100807013037
007 ta
008 980622s1998 ulkagj 000a kor
020 ▼a 8946761296 ▼g 03670 : ▼c \12,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57907 ▼l 151057908
082 0 4 ▼a 781 ▼2 21
090 ▼a 781 ▼b 1998
100 1 ▼a 조효임
245 2 0 ▼a (새로운)음악통론 / ▼d 조효임 ; ▼e 이동남 ; ▼e 주대창 공저.
260 ▼a 서울 : ▼b 학문사 , ▼c 1998.
300 ▼a 273p. : ▼b 삽도,악보,연표 ; ▼c 23cm.
504 ▼a 참고문헌: p.271-273
700 1 ▼a 이동남
700 1 ▼a 주대창
950 0 ▼b \12,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1 1998 등록번호 1510579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1 1998 등록번호 1510579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조효임(지은이)

서울대 음악대학과 독일 튀빙겐대학교 및 同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음악학 전공)를 취득하였다. 한국음악학회장, 한국유초등음악교육학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독일 Muenchen대학교, 미국 Harvard대학교, 일본 東京學藝大學校 등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박사학위논문 「Die Form der Ritornelle bei Johann Sebastian Bach」이 『Musikwissenschatliche Studien』(Bd. 16, Centaurus Verlaggesellschaft, 1993)으로 독일에서 출판되었으며, 그 외 「문자그림노래놀이의 유형」, 「동그라미 그림노래놀이의 변이와 전이」 등 다수의 논문과 『쏭쏭 드로잉』(노래를 부르면 그림이 그려져요) 등을 비롯한 다수의 저서가 있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이며, 그림노래놀이연구소 소장(부영예술유치원 부설)이다.

이동남(지은이)

서울대학교 음대 국악과를 졸업하였다. 1999년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며 국악교육협의회 이사 및 초등교육분과 위원장으로 있다.

주대창(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음악교육학 석사, 독일 기센대학교 음악학/음악교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광주교대 음악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래에 음악미학 및 베토벤 연구, 음악교육철학과 음악교재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음악통론의 일반적 성격 = 13

 1. 음악의 수용 = 13

 2. 음악통론 = 14

 3. 음악교육 = 15

제2장 음향학적 기본원리 = 17

 1. 음의 울림과 파장 = 17

  1) 소리 = 17

  2) 진동과 파장 = 18

  3) 음정과 배음 = 19

  4) 음의 성질 = 21

  5) 가청범위 = 22

  6) 표준음 = 23

  7) 슈베붕 = 23

  8) 음정의 주기와 음률 = 24

  9) 부분음과 음색 = 29

  10) 공간 음향과 메아리 = 30

 2. 전자공학적 음의 처리 = 30

  1) 아날로그식 음악 입력과 음의 처리 = 30

  2) 디지털식 음악 입력과 음의 생산 = 31

  3) 컴퓨터에 의한 음의 처리 = 31

 3. 음악의 기본요소 = 32

제3장 기보법 = 33

 1. 기보법의 발달 = 33

  1) 음악의 구전 = 33

  2) 선이 없는 네우마 = 34

  3) 귀도 다렛쪼의 선기보 네우마 = 34

  4) 사각음보 = 35

  5) 정량기보법 = 35

  6) 오선보 = 36

  7) 현대 기보법 = 36

 2. 음의 기보 = 37

  1) 음표 = 37

  2) 오선 = 38

  3) 칸 = 39

  4) 덧줄 = 39

  5) 음표의 기둥 = 41

  6) 기의 사용 = 41

  7) 2성부 악곡의 기보 = 42

 3. 음높이에 따른 기본음렬의 음이름 = 43

  1) 음의 명칭 = 43

  2) 음자리표 = 45

  3) 보표 = 46

  4) 옥타브 구분법 = 49

  5) 음표와 쉼표의 길이 = 49

  6) 변화표에 의한 음의 변화 = 53

제4장 박과 리듬 = 57

 1. 박자의 단위 = 57

  1) 박 = 57

  2) 박자 = 57

  3) 리듬 = 57

  4) 박자표 = 58

  5) 마디 = 59

 2. 박자의 종류 = 60

 3. 박자 젓기(지휘법) = 62

 4. 갖춘마디(센내기)와 못갖춘마디(여린내기) = 62

 5. 박자의 변화 = 63

 6. 리듬꼴 = 64

 7. 템포 = 64

제5장 음정과 음계 = 67

 1. 음정 = 67

  1) 음정의 발생 = 67

  2) 음정의 진행 = 68

  3) 음정 도수와 명칭 = 68

  4) 음정의 성질 = 71

 2. 음의 체계(음렬, 선법, 음계) = 78

  1) 4음음렬 = 79

  2) 장음계 = 80

  3) 5도권과 5도나선 = 84

  4) 음계음의 기능 = 84

  5) 단음계 = 85

  6) 조의 상호 관계 = 89

  7) 교회선법 = 94

  8) 반음음계 = 97

  9) 5음음렬 = 98

  10) 온음음계 = 99

  11) 집시음계 = 100

  12) 12음렬 = 101

  13) 20세기의 음계 형성 = 102

제6장 화성학 = 103

 1. 음악과 화성 = 103

 2. 조와 조성 = 104

 3. 화음과 자리바꿈 = 107

 4. 주요 3화음과 버금 3화음 = 109

 5. 화음의 기능과 근친성 = 110

 6. 3화음 이상의 화음과 부가화음 = 113

 7. 변화 화음 = 115

  1) 나폴리 6화음 = 116

  2) 증6화음 = 117

 8. 종지 = 119

  1) 정격종지 = 119

  2) 변격종지 = 120

  3) 반종지 = 120

  4) 속임종지 = 121

  5) 완전종지 = 121

  6) 철저종지 = 122

  7) 여성·남성종지 = 122

  8) 중간도미난트와 이중도미난트 = 123

 9. 화음에 의한 성부처리 = 124

  1) 구성음의 중복과 생략 = 124

  2) 화음의 연결 = 125

  3) 성부의 연결 = 125

  4) 성부의 배치 = 126

 10. 비화성음 = 127

  1) 경과음 = 128

  2) 보조음 = 128

  3) 선행음 = 129

  4) 계류음 = 130

  5) 전과음 = 130

  6) 오르간 지속음 = 131

 11. 조옮김과 조바꿈 = 132

  1) 조옮김 = 132

  2) 조바꿈 = 134

제7장 대위법 = 137

 1. 전반적인 설명 = 137

 2. 음정 = 138

 3. 선율의 진행 = 139

  1) 1·5·8도 병진행 = 139

  2) 숨은 진행 = 140

  3) 반병진행 = 140

  4) 증·감음정진행 = 140

  5) 큰 도약진행 = 141

 4. 기법과 구조 = 142

  1) 고정선율기법 = 142

  2) 엄격모방기법 = 143

  3) 자유모방기법/푸가기법 = 144

제8장 형식론 = 147

 1. 형식의 기초요소 = 147

  1) 동기 = 147

  2) 마디그룹 = 148

  3) 악절 = 149

  4) 주제 = 150

  5) 악장 = 150

 2. 노래형식 = 151

  1) 한도막형식 = 152

  2) 두도막형식 = 153

  3) 세도막형식 = 153

  4) 겹도막형식 = 155

  5) 바르형식 = 156

  6) 다카포 아리아형식 = 157

 3. 장르와 형식의 결합 = 158

  1) 모음곡 = 158

  2) 푸가 = 159

  3) 소나타 = 162

  4) 론도 = 164

  5) 변주곡 = 165

 4. 그 외의 장르들 = 168

  1) 성격소곡 = 168

  2) 칸타타 = 168

  3) 오라토리오 = 169

  4) 오페라 = 169

  5) 협주곡 = 170

  6) 미사 = 171

  7) 서곡 = 172

제9장 악기학 = 175

 1. 전반적 설명 = 175

 2. 악기의 분류 = 177

  1) 몸올림악기 = 178

  2) 막울림악기 = 179

  3) 줄울림악기 = 179

  4) 공기울림악기 = 182

  5) 전자울림악기 = 182

 3. 오케스트라악기 = 183

  1) 분류와 발달 = 183

  2) 현악기 = 184

  3) 관악기 = 194

  4) 타악기 = 201

  5) 전자악기 = 205

  6) 목소리 = 206

제10장 약어, 연주지시어 = 211

국악편

 제1장 기초이론 = 225

  1. 율 = 225

   1) 12율명 = 225

   2) 음역구분 = 225

   3) 음고 = 226

   4) 율정 = 227

   5) 삼분손익법 = 227

  2. 기보법 = 227

   1) 율자보 = 227

   2) 공척보 = 228

   3) 약자보 = 228

   4) 육보 = 228

   5) 오음약보 = 229

   6) 합자보 = 229

   7) 연음표 = 229

   8) 정간보 = 229

  3. 농현법 = 230

  4. 음계 = 230

   1) 음계 = 230

   2) 선법 = 230

   3) 조 = 231

   4) 변조 = 231

   5) 화성 = 232

  5. 형식 = 233

   1) 환두형식과 환입형식 = 233

   2) 세틀형식 = 233

   3) 연음형식 = 234

  6. 연주형태 = 234

   1) 독주 = 234

   2) 중주 = 235

   3) 관악합주 = 237

   4) 관현합주 = 238

  7. 장단 = 237

   1) 기보법 = 235

   2) 종류 = 236

 제2장 국악의 분류 = 243

  1. 과거의 분류법 = 243

   1) 아악 = 243

   2) 당악 = 243

   3) 향악 = 244

   4) 정악 = 244

  2. 현재 분류법 = 244

   1) 전통국악 = 244

   3) 창작국악 = 245

 제3장 국악기 = 247

  1. 분류법 = 247

   1) 음악의 갈래에 따른 분류 = 247

   2) 제작 재료에 따른 분류 = 247

   3) 연주법에 따른 분류 = 247

  2. 종류 = 250

   1) 금부 = 250

   2) 석부 = 252

   3) 사부 = 252

   4) 죽부 = 255

   5) 포부 = 258

   6) 토부 = 258

   7) 혁부 = 259

   8) 목부 = 261

 제5장 국악곡 = 263

  1. 아악곡 = 263

   1) 기악곡 = 263

   2) 성악곡 = 265

   3) 제례악곡 = 266

  2. 민속악곡 = 267

   1) 기악곡 = 267

   2) 성악곡 = 268

참고문헌 = 2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