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文學과 讀書
제1장 문학을 읽는 이유 = 16
Ⅰ. 인문 정신의 본질과 문학 읽기 = 16
Ⅱ. 자아와 세계가 교호(交互) 작용하는 구조 = 19
Ⅲ. 감정이입과 비평적 거리두기의 상승 과정 = 22
Ⅳ.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상상력의 공간 = 25
Ⅴ. 문학 읽기의 의의 = 29
Ⅵ. 문학 읽기의 지표 = 31
〈연구과제〉 = 33
제2부 文學과 社會
제2장 반영, 리얼리즘, 문학 = 38
Ⅰ. 문학과 현실 = 38
Ⅱ. 세부적 충실성 묘사 = 40
Ⅲ. 전형, 내포적 총체성 = 47
〈연구 과제〉 = 55
〈참고문헌〉 = 55
제3장 기억으로서의 문학 = 56
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56
Ⅱ. 서사 장르에서 기억 혹은 소설의 역사성 = 58
Ⅲ. 한국 현대 소설에서 작가의 체험과 기억 = 62
1. 구체적 사건을 통한 기억의 반추 = 62
2. 개인사적 사소한 경험을 통한 자기존재의 추구 = 69
〈연구 과제〉 = 75
〈참고문헌〉 = 76
제4장 문학과 이데올로기 = 77
Ⅰ. 드라마의 이데올로기 = 77
Ⅱ. 대중 문화의 이데올로기 = 79
Ⅲ. 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관련양상 = 82
1. 담론 속의 이데올로기 = 82
2. 문학 속의 이데올로기 양상 = 84
Ⅳ. 이데올로기와 리얼리즘 문학 = 90
〈연구 과제〉 = 94
〈참고문헌〉 = 95
제3부 文學과 言語
제5장 文學言語의 논리와 아름다움 = 98
Ⅰ. 문학의 존재조건 = 98
Ⅱ. 언어의 본질과 문학언어 = 99
1. 언어의 본질 = 99
2. 문학의 언어 = 101
Ⅲ. 문학언어의 분화 양상 = 106
1. 문학언어의 속성 = 106
2. 수필의 언어 = 110
3. 시의 언어 = 111
4. 소설의 언어 = 113
5. 언어와 글 = 115
6. 문학언어의 특징 = 117
Ⅳ. 언어적 형상화와 가치평가 = 117
1. 언어적 형상화의 반복 = 117
2. 신선한 언어 = 119
3. 소설언어 형상화의 다양성 = 122
Ⅴ. 문학언어에 대한 독자의 몫 = 124
〈연구 과제〉 = 126
〈참고문헌〉 = 127
제6장 문학언어와 일상언어 = 128
Ⅰ . 언어의 특성 = 128
1. 언어특성의 형태 = 129
2. 언어기능의 분류 = 130
Ⅱ. 문학언어와 일상언어 = 132
1. 일상언어를 문학언어로 변용 = 132
2. 문학언어와 일상언어의 구분 = 134
Ⅲ. 문학언어의 기능 = 135
1. 언어의 감정적 기능 = 135
2. 비유법의 기능 = 138
3. 새로운 시각기능 = 140
4. 문학텍스트 속의 일상언어의 변화 = 142
<연구 과제> = 145
<참고문헌> = 146
제7장 언어적 조형물로서의 시 = 147
Ⅰ . 시를 왜 읽는가 = 147
Ⅱ. 언어예술로서의 시 = 149
1. 언어형식의 의미화 = 149
2. 언어의 병치 = 153
3. 언어의 시행걸침 = 158
Ⅲ. 어떻게 읽을 것인가 = 161
〈연구 과제〉 = 164
〈참고문헌〉 = 168
제4부 文學과 藝術
제8장 문학과 미술 = 170
Ⅰ. 논의의 배경 = 170
Ⅱ. 쉽게 혹은 간단하게 이야기 만들기 : 신학철의 李相和 = 173
Ⅲ. 관점을 바꾸어 새로운 이야기 만들기 : 손장섭의 韓龍雲 = 180
Ⅳ. 이야기하기의 거부, 혹은 보여주기 : 윤명로의 李箱 = 184
Ⅴ. 시간 초월하기, 혹은 영원한 이야기를 발견하기 : 李陸史의 패러독스 = 187
Ⅵ. 맺음말 = 192
〈연구 과제〉 = 193
제9장 문학과 영화 = 195
Ⅰ. 문학과 영화의 상호 관련성 = 195
Ⅱ. 소설에 수용된 영화기법 = 196
1. 소설과 영화의 상호 교류근거 = 196
2. 소설과 영화의 교섭양상 = 199
Ⅲ. 소설영화화의 사회적 의미 = 209
1. 소설과 영화의 성격 = 209
2. 소설과 영화의 이미지 = 211
〈연구 과제〉 = 215
〈참고문헌〉 = 215
제10장 문학과 음악 = 217
Ⅰ. 문학과 음악의 기원 = 217
1. 문학과 음악의 공유 = 217
2. 문학과 음악의 분리 = 218
Ⅱ. 문학과 음악 사이의 거리 = 221
1. 문학과 음악의 매재 차이 = 221
2. 문학과 음악의 시간 차이 = 224
3. 문학과 음악의 주체 차이 = 224
4. 문학의 복제와 음악의 변용 = 227
Ⅲ. 문학과 음악의 구조 상동성 = 227
1. 문학작품의 요소와 음악의 일반원리의 관계 = 228
2. 문학의 리듬과 음악의 멜로디 = 229
3. 소설의 전매와 음악의 멜로디 = 230
4. 문학과 음악의 주제 반복과 변주 = 233
Ⅳ. 문학과 음악의 상호 교섭 = 237
1. 문학과 음악의 형이상학적 배경 = 237
2. 문학과 음악의 내용과 형식 = 238
3. 음악적 주제와 문학 = 241
4. 문학과 예술 = 241
Ⅴ. 문학과 음악의 종합적 이해 = 242
〈연구 과제〉 = 243
〈참고문헌〉 = 244
제5부 文學과 文化
제11장 문학이해의 문화론적 시각 = 246
Ⅰ. 문학과 문화의 관계 = 246
1. 문학을 보는 관점 = 246
2. 문화를 보는 관점 = 248
3. 문학과 문화의 연관 = 251
Ⅱ. 문화실천으로서의 문학 = 253
1. 각 주체들의 대화관계 = 254
2. 삶의 총체적 체험추구 = 257
3. 다양한 인간 삶의 형상화 = 259
4. 무한한 상상력의 고양 = 262
5. 주체의 이념실천 = 265
Ⅲ. 문학현상의 문화 = 269
Ⅳ. 문학적 문화를 위하여 = 271
〈연구 과제〉 = 272
〈참고문헌〉 = 273
제12장 대중문학과 대중문화 = 274
Ⅰ. 대중문학·대중문화의 개념 = 274
1. 대중문학·대중문화의 의미 = 274
2. 대중문학·문화와 다른 문학·문화의 관련 = 275
3. 대중문학·대중문화의 형성 = 276
4. 대중문학·대중문화의 특색 = 277
Ⅱ. 대중문학·대중문화론의 방향 = 278
1. 대중문학·대중문화의 비판 = 278
2. 대중문학·대중문화의 옹호 = 279
3. 대중문학·대중문화의 객관론 = 281
4. 대중문학·대중문화의 영역 = 281
Ⅲ. 한국 대중문학·대중문화의 역사 = 282
1. 대중문학·대중문화의 기원 = 282
2. 상업성과 대중문학·대중문화 = 283
3. 산업화와 대중문학·대중문화 = 284
4. 전자매체와 대중문학·대중문화 = 285
5. 지배·소비의 문화 속에서 대중문학·대중문화 = 286
Ⅳ. 대중문학·대중문화에 대한 전망 = 287
〈연구 과제〉 = 289
〈참고문헌〉 = 295
제13장 문학과 풍속 = 296
Ⅰ. 문학과 풍속 그리고 에로티시즘 = 296
Ⅱ. 에로티시즘의 근거 - 예술성과 상업성 = 297
Ⅲ. 포르노의 변명 - '리얼리즘과 전위' = 301
Ⅳ. 에로스인가 포르노인가 = 304
1. 〈叛奴〉 = 305
2. 〈즐거운 사라〉 = 306
3. 〈내게 거짓말…〉 = 307
Ⅴ. 예술과 외설의 판단 기준 = 316
Ⅵ. 현실을 상징 차원으로 이끌어 올리기 = 319
〈연구 과제〉 = 321
〈참고문헌〉 = 321
제6부 文學理解의 通時的 聯關
제14장 문학의 현재와 전망 = 324
I. 문학의 힘 = 324
Ⅱ. 근대문학의 형성 = 326
Ⅲ. 현대문학의 양상 = 328
Ⅳ. 위기시대의 문학 = 331
Ⅴ. 현대 문학의 전망과 교육 = 336
〈연구 과제〉 = 340
인명색인 = 341
작품색인 = 344
사항색인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