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교육과정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2
제1절 교육과정의 개념 = 2
1. 어원에 근거한 의미 = 3
2. 일련의 계획으로서의 의미 = 3
3. 학생의 경험으로서의 의미 = 5
4. 사회·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육과정 = 5
제2절 교육과정 관련 용어 = 9
1. 표면적 교육과정 = 9
2. 잠재적 교육과정 = 10
3. 영 교육과정 = 13
4. 교육과정 개발 = 14
제2장 교육과정의 유형 = 16
제1절 교과중심 교육과정 = 16
1.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기본적 견해 = 16
2.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18
3.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19
4.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장점 = 20
5.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단점 = 21
제2절 경험중심 교육과정 = 22
1.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기본적 견해 = 22
2.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24
3.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28
4.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장점 = 28
5.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단점 = 29
제3절 학문중심 교육과정 = 31
1.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발전 = 31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35
3.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장점 = 39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단점 = 40
제4절 인간중심의 교육과정 = 45
1.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기본적 견해 = 45
2.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46
3.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47
제5절 교육과정에 영향을 주는 제요소 = 50
1. 철학적 요소 = 51
2. 사회적 요소 = 53
3. 심리적 요소 = 54
제3장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 = 56
제1절 교수요목 강조기(1945∼1953) = 57
제2절 제1차 교육과정(1954∼1962) = 59
제3절 제2차 교육과정(1963∼1973) = 62
1. 개정 배경 = 62
2. 개정된 교육과정 = 63
3. 1969년에 부분적으로 개정된 교육과정 = 66
제4절 제3차 교육과정(1973∼1981) = 68
1. 1973년에 개정된 교육과정 = 68
제5절 제4차 교육과정(1982∼1988) = 73
1. 기본 방침 = 73
2. 특징 = 74
제6절 제5차 교육과정(1989∼1994) = 77
1.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 77
2. 각급 학교 교육과정 = 79
제7절 제6차 교육과정(1995∼) = 107
1. 교육과정의 구성 방침 = 107
2. 각급 학교 교육과정 = 108
3. 제6차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 및 앞으로의 과제 = 132
제4장 교육과정의 구성 = 136
제1절 교육목표의 설정 = 136
1. 교육목표의 분류 = 137
2. 교육목표의 자원 = 138
3. 교육목표의 설정과 진술 = 138
4. 교육목표 세분화의 문제점 = 142
제2절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 143
1. 교육내용의 의미 = 144
2.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148
제3절 단원의 구성과 전개 = 156
1. 단원의 구성 = 156
2. 단원의 전개 = 163
제5장 교육과정 평가 = 166
제1절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 = 166
제2절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 167
1. 전통주의적 평가모형 = 167
2. 체계적 평가모형 = 168
3. 질적 평가모형 = 170
제Ⅱ부 교육평가
제1장 교육평가의 기초 = 174
제1절 교육평가의 발달 = 174
1. 교육측정 시대 = 174
2. 교육평가 시대 = 177
제2절 교육평가의 개념 = 180
1. 교육평가의 개념 = 180
2. 교육평가의 의미 = 182
3. 교육평가의 관점 = 185
제3절 평가 체제의 유형 = 189
제2장 교육평가의 실제 = 196
제1절 교육평가의 절차 = 196
1. 평가목표의 설정 = 197
2. 평가목표의 구체적 분석 = 199
3. 평가장면의 선정 = 201
4. 평가도구의 제작 = 202
5. 실시 및 결과의 처리 = 202
제2절 수업개선을 위한 평가과정 = 203
1. 진단평가 = 204
2. 형성평가 = 210
3. 총합평가 = 213
제3절 교육평가 도구의 기준 = 218
1. 타당도 = 219
2. 신뢰도 = 226
제4절 평가도구의 제작 = 228
1. 문항제작을 위한 준비 = 229
2. 선택형(1) = 230
3. 선택형(2) = 235
4. 서답형 = 239
제5절 표준화검사의 제작 = 242
1. 표준화검사의 제작고정 = 242
2. 표준화검사의 활용 = 246
제6절 정의적 학습의 평가 = 247
1. 정의적 교육목표의 문제점 =247
2. 정의적 교육목표의 분류 = 248
3. 정의적 학습평가의 방법 = 251
제7절 평가결과의 처리 및 해석 = 264
1. 측정치의 성질 = 265
2. 검사점수의 표시방법 = 266
3. 성적처리를 위한 기초통계 = 274
4. 평가결과의 해석 = 285
5. 교육평가의 활용 = 285
참고문헌 = 294
찾아보기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