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개요
제1장 분산 컴퓨팅과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소개 = 3
1.1 소개 = 4
1.2 분산 컴퓨팅 참조 모델 = 14
1.3 통신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요 = 18
1.4 애플리케이션 지원 서비스와 클라이언트 - 서버 시스템의 개요 = 22
1.5 클라이언트-서버형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개요 = 27
1.6 개방형 시스템 : 상호 운영성, 상호 연결성 및 통합성 표준 = 30
1.7 분산 시스템 관리와 지원의 개요 = 31
1.8 분산 컴퓨팅의 진화 : 용어의 정리 = 34
1.9 분산 컴퓨팅의 궁극적 목표 = 36
1.10 사례 연구 = 42
1.11 요약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 44
연습 문제 = 46
제2부 통신 네트워크 서비스
제2장 통신 네트워크 기술 = 53
2.1 소개 = 54
2.2 통신 네트워크의 원리 및 개요 = 56
2.3 광역 통신망(WAN) = 81
2.4 근거리 통신망(LAN) = 90
2.5 대도시 통신망(MAN) = 113
2.6 ISDN과 광대역 ISDN = 118
2.7 고속 통신망 : 네트워킹의 추세 = 127
2.8 네트워크 성능의 개요 = 147
2.9 요약 및 추세 = 158
연습 문제 = 160
사례 연구 : XYZ사의 네트워크 기술 = 161
제3장 네트워크 아키텍쳐와 네트워크 상호연결 = 175
3.1 소개 = 176
3.2 네트워크 아키텍쳐 표준 개요 = 177
3.3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참조 모델 = 183
3.4 서로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예와 분석 = 198
3.5 네트워크 상호연결(인터네트워킹) = 210
3.6 요약 및 추세 = 225
연습 문제 = 228
사례 연구 : XYZ사용 네트워크 아키텍쳐 = 229
제4장 네트워크 관리 = 237
4.1 소개 = 238
4.2 개념과 개요 = 239
4.3 SNA 네트워크 관리 : NetView = 247
4.4 TCP/IP 관리 :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252
4.5 OSI/ISO 네트워크 관리 표준 : CMIS/CMIP = 258
4.6 이질형 네트워크 관리 및 전사적 관리 시스템 = 266
4.7 네트워크 관리에서의 기술적인 애플리케이션 = 273
4.8 요약 및 추세 = 282
연습 문제 = 285
사례 연구 : XYZ사에 대한 네트워크 관리 = 285
제3부 애플리케이션 지원 서비스
제5장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상호연결성 = 293
5.1 소개 = 294
5.2 애플리케이션 상호연결성 : 이슈 및 접근 방법 = 296
5.3 클라이언트 서버 컴퓨팅 입문 = 317
5.4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에서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예 = 329
5.5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구축 및 이용 방법 = 340
5.6 요약 및 추세 = 366
연습 문제 = 368
사례 연구 : XYZ사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368
제6장 분산 데이타 및 트랜잭션 관리 = 375
6.1 소개 = 376
6.2 분산 데이타와 트랜잭션 관리의 개념 = 378
6.3 분산 파일 관리 = 385
6.4 분산 데이타베이스 관리 = 386
6.5 분산 트랜잭션 관리 = 396
6.6 DDTMS에 대한 참조 아키텍쳐 = 403
6.7 사용자/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관리 = 406
6.8 트랜잭션 계획 수립(분산 조회 처리) = 408
6.9 전역 트랜잭션 수행 모니터 = 414
6.10 DDTMS의 구성 및 구현시 고려사항 = 423
6.11 분산 데이타베이스 설계의 개요 = 427
6.12 요약 및 추세 = 430
연습 문제 = 432
사례 연구 : XYZ사의 DDTMS = 433
제7장 분산 운영체제(DISOS)와 분산 컴퓨팅 플랫폼(DCP) = 445
7.1 소개 = 446
7.2 중앙집중형 운영체제의 개요 = 447
7.3 분산 운영체제(DISOS)의 원리 = 450
7.4 DISOS의 설계 논점 = 452
7.5 DISOS의 예 = 461
7.6 분산 컴퓨팅 플랫폼(DCP) = 470
7.7 요약 및 추세 = 481
연습 문제 = 483
사례 연구 : XYZ사에 대한 DISOS 및 플랫폼 = 483
제4부 통신 네트워크 서비스
제8장 클라이언트-서버형 분산 애플리케이션 : 방법론 = 489
8.1 소개 = 490
8.2 분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개요 = 494
8.3 분산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 다운사이징/라이트사이징 방법론 = 506
8.4 요구사항 정의 및 분석 = 512
8.5 분산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쳐 = 516
8.6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설계, 구현 및 테스트 = 540
8.7 분산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 CASE 툴 = 554
8.8 요약 및 추세 = 558
연습 문제 = 560
사례 연구 : XYZ사에 대한 분산 애플리케이션 = 560
제9장 개방형 시스템 : 상호운영성, 호환성 및 통합성 표준 = 571
9.1 소개 = 572
9.2 개방형 시스템의 특성 = 574
9.3 분산 컴퓨팅용 개방형 시스템 아키텍쳐 = 590
9.4 개방형 시스템 아키텍쳐의 표준 = 597
9.5 분산 컴퓨팅 아키텍쳐 : 판매업체 기준 = 605
9.6 연합 개방형 시스템 아키텍쳐(OSF/DCE, UI-ATLAS) = 612
9.7 개방형 시스템 아키텍쳐의 분석 = 624
9.8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쳐에 대한 영향 : Bellcore의 OSCA 아키텍쳐 = 629
9.9 요약 및 추세 = 635
연습 문제 = 637
사례 연구 : XYZ사의 개방형 시스템 = 637
제10장 관리 및 지원 고려사항 = 643
10.1 개요 = 644
10.2 분산 컴퓨팅 계획 = 647
10.3 조직 구조와 집중화/분산화 = 664
10.4 개발, 배치 및 인력 배치 고려사항 = 683
10.5 감시 및 통제 고려사항 = 691
10.6 사례 : XYZ사의 관리 및 지원 = 705
10.7 요약 및 추세 = 715
연습 문제 = 716
결론 = 721
부록 선택 주제에 대한 학습
부록A 통신 프로토콜과 OSI 스택 = 729
A.1 소개 = 730
A.2 통신 프로토콜의 원리 = 733
A.3 계층 1에서 3프로토콜의 예 : 물리적 연결 네트워크 = 740
A.4 이동 계층과 상위 계층 프로토콜 = 747
A.5 네트워크에서의 인터네트워킹(상호운영성) = 753
A.6 관리 요약 및 추세 = 760
사례 연구 : XYZ회사의 OSI = 761
부록B TCP/IP 프로토콜 군에 관한 학습서 = 765
B.1 소개 = 766
B.2 TCP/IP 프로토콜 군 = 767
B.3 인테넷 프로토콜의 운영 특성(IP) = 771
B.4 전송 제어 프로토콜의 운영 특성(TCP) = 778
B.5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의 운영 특성 = 781
B.6 개방 시스템으로서의 TCP/IP : TCP/IP 대 OSI 모델 = 797
B.7 TCP/IP를 통한 상호 연결성 = 800
B.8 공통 TCP/IP 구현 = 803
B.9 관리 요약 및 추세 = 803
사례 연구 : XYZ사의 TCP/IP = 806
부록C IBN SNA와 APPC/LU6.2에 관한 학습서 = 809
C.1 소개 = 810
C.2 SNA 개요 = 811
C.3 SNA 환경의 개요 = 818
C.4 APPC(Advanced Program to Program Communications)와 LU6.2 = 831
C.5 SNA의 발전 = 840
C.6 SNA 대 OSI = 842
C.7 관리 요약 및 추세 = 845
부록D MAP과 TOP에 관한 부록 = 849
D.1 소개 = 850
D.2 생산 자동화 프로토콜(MAP) = 850
D.3 기술적 사무 프로토콜(TOP) = 874
D.4 관리 요약 및 추세 = 877
사례 연구 : XYZ사의 생산 네트워크 아키텍쳐 = 878
부록E 분산 컴퓨팅과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소개 = 883
E.1 소개 = 884
E.2 데이타베이스 관리 개념 = 884
E.3 관계형 데이타베이스의 개요 = 892
E.4 SQL = 895
E.5 객체 지향 시스템과 데이타베이스 = 906
E.6 부상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 애플리케이션 = 917
E.7 관리 요약 및 추세 = 923
사례 연구 : XYZ사의 데이타베이스 = 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