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Ⅰ. 문학의 이론
1. 문학과 문학 연구 = 15
2. 문학 연구의 방향 = 20
3. 문학이란 무엇인가 = 25
(1) 문학과 현실 = 26
(2) 문학과 독자 = 29
(3) 문학과 작가 = 31
(4) 문학과 작품 = 33
4. 문학의 기원 = 35
(1) 심리학적 기원설 = 35
(2) 사회학적 기원설 = 39
5. 문학의 장르 = 42
(1) 장르의 개념 = 42
(2) 장르의 구분 = 44
Ⅱ. 시의 이해
1. 시의 본질 = 53
2. 시의 유형 = 59
(1) 내면적 형식 = 60
1) 서정시 = 60
2) 서사시 = 62
3) 극시 = 64
(2) 외면적 형식 = 65
1) 정형시 = 65
2) 자유시 = 66
3) 산문시 = 68
3. 시의 요소 = 70
(1) 시의 용어 = 70
1) 사전적 의미 = 71
2) 시적 의미 = 73
(2) 운 율 = 76
(3) 비 유 = 84
1) 직 유 = 85
2) 은 유 = 86
(4) 심 상 = 88
4. 현대시의 경향 = 92
(1) 감수성의 혁신 = 92
(2) 형이상시의 이념 = 96
(3) 자동기술의 발견 = 101
Ⅲ. 소설의 이해
1. 소설의 본질 = 107
(1) 가공의 세계 = 108
(2) 리얼리티의 구현 = 110
(3) 삶의 탐구와 해석 = 111
2. 소설의 유형 = 114
(1) 일반적 분류 = 115
(2) 구조상의 분류 = 118
1) 티보데의 경우 = 118
2) E. 뮤어의 경우 = 120
3) N. 프라이의 경우 = 123
3. 소설의 요소 = 126
(1) 개념적 요소 = 128
1) 플롯 = 128
2) 인물 = 139
3) 배경 = 147
4) 주제 = 155
(2) 기술적 요소 = 162
1) 시점 = 163
2) 거리 = 170
3) 요약과 장면 = 172
4) 패턴과 키 ·모먼트 = 175
4. 현대소설의 경향 = 177
(1) 자연주의의 종말 = 178
(2) 내면세계의 탐험 = 179
(3) 행동의 문학 = 181
(4) 부조리의 문학 = 183
(5) 반소설 = 184
Ⅳ. 희곡의 이해
1. 희곡의 본질 = 189
2. 희곡의 유형 = 193
(1) 비극 = 194
(2) 희극 = 196
3. 희극의 요소 = 201
(1) 플롯 = 203
(2) 성격 = 208
(3) 조사 = 210
4. 현대희곡의 경향 = 214
(1) 자연주의의 쇠퇴 = 214
(2) 부조리극의 등장 = 215
Ⅴ. 비평의 이해
1. 비평의 본질 = 219
(1) 비평의 의의 = 219
(2) 비평의 기준과 유형 = 222
2. 역사주의 비평 = 226
(1) 역사주의 비평의 형성 = 226
(2) 역사주의 비평의 이론과 방법 = 228
3. 형식주의 비평 = 240
(1) 형식주의 비평의 형성 = 240
(2) 형식주의 비평의 이론과 방법 = 245
4. 심리주의 비평 = 256
(1) 심리주의 비평의 형성 = 256
(2) 심리주의 비평의 이론과 방법 = 261
5. 신화 비평 = 277
(1) 신화 비평의 형성 = 277
(2) 신화 비평의 이론과 방법 = 281
각주 = 287
문학용어 해설 = 322
찾아보기 =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