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 서론: 형식·형태·장르 = 11
1-A 음악의 장르 = 11
1-B 음악의 형태 = 12
1-C 음악의 형식 = 14
1-D 형식의 명칭과 영역 = 15
2 악구의 화성 체계 = 17
2-A 악구의 본질 = 17
2-B 종지 = 19
2-C 종지의 방식 = 21
2-D 종지의 특별 취급 = 26
2-E 악구의 화성 조직 = 29
2-F 요약 = 41
3 악구의 선율 체계 = 43
3-A 분할할 수 없는 악구 = 43
3-B 악구의 분할 = 43
3-C 동기 = 45
3-D 악구 선율의 동기적 구조 = 46
3-E 복합동기 = 51
3-F 악구 조직 안에서의 동기 활용 = 53
3-G 요약 = 56
4 악구의 발전 = 57
4-A 악구의 도입부 = 57
4-B 악구 중간의 삽입부 = 59
4-C 악구의 연장부 = 61
4-D 여러 방법의 합성에 의한 악구발전 = 64
5 악구의 결합 = 67
5-A 변형악구와 유사악구 = 67
5-B 악구사슬 = 71
5-C 악구집합 = 72
5-D 악절 = 73
5-E 악절 안에서의 화성진행의 유형 = 74
5-F 악절의 구조 = 81
5-G 더 큰 단위의 확인 = 85
5-H 6단계의 적용 = 86
6 분석적 방법: 작은 형식 = 93
6-A 형식과 분석 = 93
6-B 부분들로의 분할 = 94
6-C 형식에 대한 명칭 = 94
6-D 2부분형식 = 95
6-E 3부분형식 = 106
6-F 3부분 이상의 악곡 = 111
6-G 1부분형식 = 113
6-H 분석을 위한 6단계의 방법 = 117
6-I 분석을 위한 6단계의 적용 = 118
7 주제와 변주곡 = 123
7-A 단락적 변주곡과 연속적 변주곡 = 123
7-B 주제의 고정요인과 가변요인 = 124
7-C 단락적 변주곡의 과정 = 127
7-D 단락적 변주곡의 형식 = 131
7-E 단락적 변주곡의 형태 = 133
7-F 단락적 변주곡의 변형들 = 139
7-G 단락적 변주곡의 요약 = 145
7-H 연속적 변주곡의 과정 = 148
7-I 연속적 변주곡의 형태 = 151
7-J 근음베이스 원칙의 특별한 적용 = 153
7-K 연속적 변주곡에 대한 요약 = 156
8 3부분 형식 = 157
8-A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연결 = 158
8-B 제2부분과 제3부분의 연결 = 162
8-C 전주곡과 후주곡 = 167
8-D 도입부 = 168
8-E 코다 = 169
8-F 부분의 분할: 단락 = 172
8-G 기악적 복합3부분형식: 미누에트(스케르초)와 트리오 = 175
8-H 복합3부분형식의 기악적 파생형식 = 176
8-I 성악적 복합3부분형식: 다 카포 아리아 = 178
8-J 요약 = 183
9 론도 = 185
9-A 론도 = 186
9-B 고전 론도의 전형 = 188
9-C 고전 론도의 다른 구상들 = 195
9-D 지속성이 없는 고전 론도 = 197
9-E 요약 = 200
10 2부분형식 = 201
10-A 2부분형식의 분할 = 203
10-B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연결 = 210
10-C 코데타와 코다 = 211
10-D 복합2부분형식: 오페라 아리아 = 211
10-E 요약 = 213
11 소나타 형식 = 214
11-A 소나타형식의 일반적 면모 = 219
11-B 주요 조성의 단락(제1주제 또는 제1주제군) = 222
11-C 경과부 = 225
11-D 상관 조성의 단락(제2주제 또는 제2주제군) = 235
11-E 상관 조성의 지속(종결주제 또는 종결주제부) = 237
11-F 발전부 = 240
11-G 재현부 = 249
11-H 요약 = 257
12 소나타형식의 부속 단락과 변형들 = 260
12-A 도입부 = 260
12-B 코다 = 267
12-C 소나타형식의 변형들 = 272
12-D 요약 = 275
13 협주곡 = 276
13-A 바로크 협주곡의 외곽 악장: 합주협주곡 악장 = 277
13-B 고전파 협주곡의 제1악장: 콘체르토-소나타 형식 = 283
13-C 고전파 협주곡의 제3악장: 콘체르토-론도 형식 = 294
13-D 요약 = 297
14 푸가와 관련 장르 = 302
14-A 푸가와 그 형식 = 304
14-B 푸가의 특징 = 304
14-C 주제와 응답 = 305
14-D 푸가에서 흔히 나타나는 대위법적 방법 = 313
14-E 푸가의 과정 = 314
14-F 푸가의 형식 = 320
14-G 특별한 유형의 푸가 = 323
14-H 성악 푸가 = 331
14-I 인벤션 = 331
14-J 프랑스 서곡 = 332
14-K 코랄 전주곡 = 335
14-L 요약 = 337
15 특이한 형식 = 339
15-A 표준 형식과 특이한 형식 = 339
15-B 표준 형식과 특이한 복합 형식의 결합 = 340
15-C 두 개의 상이한 조성체계의 표준 형식들을 하나의 표준 형식으로 결합한 구상 = 344
15-D 특이한 조성체계에 적용된 표준형의 구상 = 347
15-E 표준형의 조성체계에 적용된 특이한 구상 = 349
15-F 구상과 조성체계 모두가 특이한 형식 = 354
15-G 요약 = 357
16 회고 = 359
찾아보기: 작곡가와 작품들 = 363
찾아보기: 주요 항목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