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어 조응 의미론

영어 조응 의미론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미애
Title Statement
영어 조응 의미론 / 정미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   1997.  
Physical Medium
391 p. ; 23cm.
ISBN
8977354072
General Note
부록 : 개념관계 약어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포함
000 00597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965272
005 20100807050953
007 ta
008 971106s1997 ulk 001a kor
020 ▼a 8977354072 ▼g 93740 : ▼c \15,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53838 ▼l 151053839
082 0 4 ▼a 420.143 ▼2 21
090 ▼a 420.143 ▼b 1997
100 1 ▼a 정미애
245 1 0 ▼a 영어 조응 의미론 / ▼d 정미애 지음.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1997.
300 ▼a 391 p. ; ▼c 23cm.
500 ▼a 부록 : 개념관계 약어표
504 ▼a 참고문헌 포함
950 0 ▼b \15,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0.143 1997 Accession No. 1510538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0.143 1997 Accession No. 1510538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미애(지은이)

<영어 조응 연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 서론 = 9

2. 조응구문의 의미론적 분석 = 12

 2.1. Montague 문법에 의한 분석 = 12

 2.2. 상황의미론적 분석 = 21

 2.3. 담화표상이론적 분석 = 45

 2.4. 화용론적 분석 = 68

 2.5. 역동적 술어논리에 의한 분석 = 95

 2.6. 역동적 결속에 의한 분석 = 111

3. 언어이해와 개념도식 = 130

 3.1. 자연언어처리와 개념구조 = 130

  3.1.1. 개념도식의 형성 = 131

  3.1.2. 지시체 = 134

  3.1.3. 개념관계 = 137

  3.1.4. 유형과 유형계층 = 139

  3.1.5. 스키마 = 142

 3.2. 상황과 문맥 = 145

  3.2.1. 존재도식과 개념도식 = 145

  3.2.2. 상황과 문맥 = 147

 3.3. 동일지시 = 154

  3.3.1. 개념의 동일지시 연결 = 155

  3.3.2. 문맥의 동일지시 연결 = 160

 3.4. 개념도식과 연산 = 162

  3.4.1. 형성규칙 = 163

  3.4.2. 추론규칙 = 167

4. 문맥구조와 조응 = 172

 4.1. 단문에서의 조응 = 174

  4.1.1. 대명사 = 174

  4.1.2. 고유명사 = 176

  4.1.3. 재귀대명사 = 201

 4.2. 비한정 명사구 = 217

  4.2.1. 지시적 해석과 비지시적 해석 = 219

  4.2.2. 이접 = 228

 4.3. 한정 명사구 = 231

  4.3.1. 한정성 = 231

  4.3.2. 직접조응 = 239

  4.3.3. 간접조응 = 248

 4.4. That-절에서의 조응 = 267

  4.4.1. 주어 that-절 = 267

  4.4.2. 목적어 that-절 = 274

 4.5. 조건문에서의 조응 = 276

  4.5.1. 조건절 선행 조건문 = 277

  4.5.2. 조건절 후행 조건문 = 290

 4.6. 양화 구문에서의 조응 = 302

  4.6.1. 문맥과 영향권 = 304

  4.6.2. 조건문에서의 양화사 = 328

참고문헌 = 341

개념관계 약어표 = 365

한영대조표 = 366

영한대조표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