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3
서론 = 13
제1장 현대 행정을 둘러싼 환경 = 29
제1절 대외적 환경 = 31
제2절 대내적 환경 = 43
제2장 행정의 역사와 행정이론의 발전 = 61
제1절 역사를 보는 시각 = 63
제2절 고대문화와 행정 = 65
제3절 행정분석 관점의 체계 내에서의 행정사의 위치 = 67
제4절 로마시대의 행정 = 69
제5절 봉건국가(8∼14세기) = 78
제6절 절대주의국가 행정(16∼18세기) = 79
제7절 프랑스의 행정 = 85
제8절 자유주의국가 = 89
제9절 직능국가(職能國家)의 등장 = 91
제10절 미국 행정의 탄생과 성장의 시대적 배경 = 92
제11절 미국 행정의 발달 = 95
제12절 미국 행정이론의 발달 = 105
제3장 사회주의국가의 행정개혁과 그 한계 = 145
제1절 사회주의국가의 관료제 = 147
제2절 사회주의국가의 관료제 개혁 = 159
제3절 사회주의국가 관료제 개혁의 한계 = 169
제4절 사회주의국가 관료제의 전망 = 176
제4장 비교 및 발전행정의 재조명 = 187
제1절 비교행정 탄생의 시대적 배경 = 188
제2절 비교행정의 개념과 주요 이슈 = 190
제3절 비교행정 발전 단계의 시기적 특성 = 191
제4절 비교행정의 의미 = 198
제5절 비교행정의 발전과정과 그 내용 = 200
제6절 비교행정 연구기관의 활동상 = 204
제7절 발전행정의 발전 과정과 그 내용 = 206
제8절 발전행정의 모형 = 211
제9절 비교·발전행정의 반성과 새로운 전망 = 218
제5장 기획의 본질과 성격 = 229
제1절 기획과 민주주의 = 231
제2절 기획의 의미 = 233
제3절 발전기획의 의미 = 252
제4절 기획의 이념 = 262
제5절 기획의 유형 = 266
제6절 기획이론의 의미 = 270
제7절 기획의 과정 = 271
제8절 기획지표의 의미 = 281
제9절 기획의 접근방법 = 292
제10절 기획기구 = 309
제6장 조직발전의 나아갈 방향 = 325
제1절 조직이론의 발전 배경과 조직발전의 위치 = 327
제2절 조직발전의 개념 = 330
제3절 조직발전의 특징 및 목적 = 334
제4절 조직발전의 과정 및 전략 = 336
제5절 조직발전의 공공 부문 적용에의 한계점 = 340
제6절 한국 행정조직에의 적용가능성 = 341
제7장 신 행정학의 새로운 정향 = 351
제1절 신 행정학의 태동과 제반 이론 = 352
제2절 롤스의 정의관에서 제시하는 사회형평론 = 360
제3절 롤스의 정의관에서 본 신 행정학 = 367
제8장 정책과학의 새로운 지평 = 383
제1절 정책 과정의 의미 = 384
제2절 정책형성의 개념과 이론적 전망 = 386
제3절 정책집행의 개념과 이론적 전망 = 398
제4절 정책평가의 개념과 이론적 전망 = 405
제9장 복지행정의 어제와 오늘 = 429
제1절 사회복지의 이론 정립 = 431
제2절 미국 사회복지정책의 개관 = 444
제3절 한국의 사회복지 정책의 나아갈 방향 = 469
제10장 에너지 행정 = 485
제1절 자원 및 에너지 위기의 도래 = 488
제2절 한국의 에너지 정책의 실태 = 493
제3절 한국의 석탄정책 = 499
제4절 한국의 에너지 보존정책 = 502
제11장 지방자치 시대의 지방 행정 = 513
제1절 지방자치 계층구조와 행정구역 개편의 이론적 의미 = 515
제2절 현 지방자치 계층구조와 행정구역 개편의 평가 = 522
제3절 2000년대를 대비한 지방자치 계층구조와 행정구역 개편의 방향 = 539
제12장 2000년대 대두될 행정학의 미래상 = 555
제1절 연구분석 준거와 행정학의 미래전망 = 558
제2절 행정학의 미래전망 = 562
제3절 2000년대 행정학의 미래상 = 580
이름 찾아보기 = 589
내용 찾아보기 =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