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現代國際政治理論

現代國際政治理論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李基鐸
서명 / 저자사항
現代國際政治理論 / 李基鐸 著.
발행사항
서울 :   傳英社 ,   1997.  
형태사항
xvi, 462 p. : 연표 ; 25 cm.
ISBN
8910400986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536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962149
005 20100807041717
007 ta
008 971023s1997 ulkj 001a kor
020 ▼a 8910400986 ▼g 93340: ▼c \23,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49638 ▼l 151049639
082 0 4 ▼a 327 ▼2 21
090 ▼a 327 ▼b 1997b
100 1 ▼a 李基鐸
245 1 0 ▼a 現代國際政治理論 / ▼d 李基鐸 著.
260 ▼a 서울 : ▼b 傳英社 , ▼c 1997.
300 ▼a xvi, 462 p. : ▼b 연표 ; ▼c 25 cm.
500 ▼a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7 1997b 등록번호 1510496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7 1997b 등록번호 1510496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현대의 국제정치사회와 국제정치의 동태를 설명하면서 국제정치라는 사고를 자극하고 함양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기택(지은이)

서울 출생으로 일본 도쿄대 대학원을 졸업한 후 한국은행 외국부를 시작으로 주일 및 주프랑스 공보관 등을 거쳐 국무총리 정책자문위원, 국가안전보장회의 비상임자문위원을 역임했다. 2007년 12월 영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전환기의 국제정치와 국제정치이론

 제1장 국제정치서론

  1. 새로운 국제정치현상과 국제정치이론 = 3

  2. 전후질서의 붕괴 = 4

  3. 새로운 국제사회 전환의 본질 = 5

  4. 새로운 국제사회와 국제정치이론문제 = 7

  5. 국제정치이론의 수정과 새로운 관점 = 9

  6. 탈냉전 이후의 국가체제 = 14

  7. 국제정치의 가르침 = 16

 제2장 국제관계론의 개념과 발전

  1. 국제관계론의 개념 = 17

  2. 국제관계의 이론과 접근 = 19

   1) 다원주의적 접근방법과 상대주의적 접근방법 = 19

   2) 이론과 용어의 문제 = 20

   3) 분석의 수준 = 22

   4) 이론의 범위 = 23

   5) 이론의 역할 = 24

  3. 국제관계론의 학문적인 탄생과 발전 = 25

   1) 유토피아니즘의 단계 = 26

   2) 현실주의에로의 이행 = 27

   3) 권력이론의 단계 = 29

   4) 이론화의 단계 = 30

    (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정치의 양적·질적 변화 = 30

    (2) 행태과학의 도입 = 31

    (3) 분석수준에 따른 이론화의 분류 = 31

   5) 고르바초프현상 이후의 국제정치이론 = 33

  4. 국제관계론의 세 가지 이미지와 학파 = 34

   1) 현실주의, 다원주의, 글로벌리즘 = 34

   2) 국제관계론의 학파분류 = 35

 제3장 국제사회의 형성과 발전

  1. 웨스트팔리아체제와 유럽국가체제 = 40

  2. 국제정치사와 국제체제 = 42

  3. 유럽협조체제 = 43

  4. 비스마르크체제 = 44

  5. 베르사이유체제 = 45

  6. 얄타체제 = 47

  7. 새로운 국제질서 = 49

 제4장 국제질서

  1. 서론 = 51

  2.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 52

  3. 서구의 국제질서 = 54

   1) 서구 국제사회의 형성 = 54

   2) 서구적 국가평등사상의 특징 = 55

   3) 국가주권, 국제법의 원리, 세력균형 = 56

  4. 사회주의권의 국제질서 = 57

  5. 이슬람의 국제질서 = 58

  6. 새로운 국제질서 = 60

제2편 국제정치이론

 제5장 국력의 요소

  1. 국가와 힘의 개념 = 65

   (1) 방어적 힘과 공격적 힘의 성격 = 67

   (2) 군사적인 자원이나 힘의 성격 = 68

   (3) 힘의 정치와 권력정치 = 68

   (4) 잠재적인 힘과 실제적인 힘 = 68

   (5) 평화시의 힘과 전시의 힘 = 70

   (6) 강대국의 이득과 소국의 손실 = 70

  2. 국력의 성격 = 70

  3. 국력의 요소 = 73

   1) 지리적인 요인 = 75

   2) 인구적 요인 = 77

   3) 경제적 요인 = 78

   4) 제도적인 요인 = 79

   5) 사회심리적인 요인 = 79

   6) 군사적인 요인 = 80

    (1) 국가정책 = 81

    (2) 군사정책 = 82

    (3) 군사력의 성격 = 82

 제6장 세력균형이론

  1. 세력균형의 정의와 구성요건 = 84

   1) 정의 = 84

   2) 구성요건 = 86

  2. 세력균형의 수단 = 87

   1) 감시와 경계 = 88

   2) 동맹 = 89

   3) 분할통치 = 91

   4) 개입정책 = 92

   5) 균형자 = 93

   6) 행동의 기동성 = 93

   7) 전쟁 = 95

  3. 세력균형의 형태 = 95

 제7장 지정학과 국제정치

  1. 지정학의 기원 = 98

  2. 지정학의 이론들 = 101

   1) 매킨더의 대륙국가우세론 = 101

   2) 마한의 이론 = 104

   3) 하우스호퍼의 생존공간론 = 105

   4) 스페크만의 주변지대론 = 107

  3. 우주핵시대의 지정학 = 108

   1) 전략방위구상과 우주라는 지리적 공간 = 109

   2) 인공위성과 우주의 군사적 이용 = 110

  4. 지정학과 대외정책 및 국가전략 = 111

   1) 영국의 해양력의 개념 = 112

   2) 먼로주의와 지정학 = 113

   3) 봉쇄정책과 주변지역 = 113

   4) 전후 일본의 안전보장정책의 기본구상과 지정학 = 114

   5) 일본의 대동아공영권 = 115

   6) 조선책략과 지정학 = 116

   7) 인도양 = 117

   8) 중부유럽개념의 지정학적 중요성 = 118

 제8장 국제정치와 핵이론

  1. 핵무기와 그 역사 = 120

   1) 핵무기의 정의 = 120

   2) 핵무기의 역사 = 121

   3) 맨하탄 계획 = 122

  2. 핵억지이론 = 123

   1) 억지이론 = 123

   2) 핵억지력의 정의 = 124

   3) 핵억지력의 조건과 요인 = 125

    (1) 의사소통 = 125

    (2) 능력 = 126

    (3) 신뢰성 = 127

   4) 핵억지론의 변화와 전개 = 128

    (1) 소극적 핵억지력 = 129

    (2) 적극적 핵억지력 = 131

    (3) 전략적 충분성 = 133

    (4) 레이건 정부와 전략적 방위구상 = 134

    (5) 드골의 핵전략과 중국의 핵억지력 = 134

  3. 새로운 국제질서와 핵 = 140

   1) 냉전체제와 핵억지력 = 140

   2) 새로운 국제질서와 핵 = 142

   3) 냉전 이후의 핵억지력 = 144

   4) 새로운 세계질서하의 지역분쟁과 핵 = 150

   5) 냉전 이후의 핵기술과 핵확산 = 153

   6) 새로운 국제질서와 한반도의 비핵화 = 154

 제9장 통합이론

  1. 통합이론의 배경 = 159

  2. 통합이론의 정의 = 160

  3. 유럽의 통합과 독일문제 = 163

  4. 통합이론과 접근방법 = 167

   1) 연방주의적 접근방법 = 167

   2) 상호작용적 접근방법 = 169

   3) 기능주의적 접근 = 171

    (1) 파급이론 = 172

    (2) 정치화 가설 = 173

    (3) 외부화 가설 = 174

  5. 통합에 대한 이론과 실제 = 174

   1) 통합논리와 조건 = 174

   2) 통합이론과 수렴이론 = 176

 제10장 외교정책결정이론

  1. 외교정책결정이론과 국제관계 = 179

  2. 프랑켈의 모델 = 182

  3. 스나이더의 모델 = 185

  4. 앨리슨의 모델 = 194

   1) 합리적 선택이론 = 194

   2) 조직적 과정모델 = 194

   3) 정치과정모델 또는 관료정치모델 = 196

   4) 인식과정모델 = 198

   5) 쿠바위기와 정책결정과정 = 199

 제11장 국제기구론

  1. 국제기구의 성격과 중요성 = 201

  2. 국제기구의 발달 = 203

  3. 국제연합의 형성과 기능 = 204

   1) 국제연합의 탄생과 원칙 = 204

    (1) 대서양헌장 = 204

    (2) 모스크바선언 = 205

    (3) 던버튼 오크스회의 = 205

    (4) 얄타회담 = 206

    (5) 샌프란시스코회의 = 206

   2) 국제연합의 목적과 원칙 = 206

  4. 국제연합의 주요 기구와 기관 = 207

   (1) 총회 = 207

   (2) 안전보장이사회 = 208

   (3) 경제사회·신탁통치이사회 = 209

   (4) 국제사법재판소 = 210

   (5) 사무국, 전문기관 = 212

  5. 국제연합과 안전보장체제 = 212

   1) 집단안전보장체제 = 213

   2) 평화유지군과 활동 = 214

   3) 군축과 군비관리 = 216

  6. 국제연합과 경제·사회·인권 = 217

  7. 환경, 인구, 식량, 인권, 난민구제와 재해문제 = 219

 제12장 소국과 국제정치

  1. 소국과 국제정치이론 = 221

  2. 소국의 범위와 정의 = 223

  3. 소국의 기준 = 226

  4. 국제사회와 소국의 생존양식 = 230

  5. 결론 = 239

 제13장 분단국가론

  1. 국제정치와 분단국가 = 240

  2. 분단국가의 분단의 성격과 차이 = 242

   1) 독일 분단의 기원과 정치사상 = 242

   2) 동독의 통일정책 = 244

   3) 한반도 분단의 발상과 기원 = 244

   4) 북한의 통일정책 = 245

  3. 분단국가론에 대한 연구와 접근 = 245

   1) 분단국가의 특수성과 사적인 접근 = 246

   2) 탈냉전 이후의 분단국가의 성격과 접근 = 246

    해체국가 = 246

  4. 분단국에 대한 고찰과 접근방법 = 248

   1) 분단국가의 법적인 문제 = 248

   2) 분단국가에 대한 사적인 고찰 = 249

   3) 분단국가에 대한 정치적 접근 = 250

   4) 분단국가에 대한 사회적 접근 = 251

  5. 분단의 형성과 해소 = 252

   1) 동서독분단의 해소 = 252

   2) 인지반도의 통일 = 252

   3) 중국의 분단과 통일 = 253

   4) 비아프라의 분단과 통일 = 254

   5) 한반도의 통합과 해체 = 254

 제14장 국제정치사상

  1. 국제정치사상 = 256

   국제정치사상의 세 가지 분류 = 256

    (1) 홉스의 국제정치사상 = 257

    (2) 칸트주의 = 258

    (3) 그로티우스학파 = 259

  2. 국제사회와 국제정치사상 = 260

   1) 서구의 국제사회와 민족국가의 형성 = 260

   2) 셍 피에르의 평화론 = 262

   3) 루소의 영구평화론과 칸트의 영구평화를 위하여 = 263

   4)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 266

 제15장 사회주의의 국제정치이론

  1. 사회주의사회의 국제정치 정의 = 268

  2. 새로운 사고 = 270

  3.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 272

  4. 일국사회주의이론 = 273

  5. 평화공존론 = 273

  6. 주권제한론과 신베오그라드선언 = 274

  7. 이데올로기협정과 사회주의4원칙 = 277

 제16장 국제정치와 경제

  1. 국제정치와 국제정치경제 = 280

  2. 국제정치경제와 접근방법 = 283

   1) 현실주의의 관점과 접근 = 283

   2) 자유주의의 관점과 접근 = 286

    (1)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 = 286

    (2) 국제상호의존론 = 287

    (3) 국제레짐론 = 289

    (4) 현실주의와 자유주의간의 논쟁과 신자유주의제도론 = 290

   3) 마르크스주의 관점과 접근 = 290

    (1) 종속이론 = 290

    (2) 세계체제론 = 292

    (3) 세계통치론 = 293

 제17장 국제정치와 지역연구

  1. 지역연구의 의의와 성격 = 295

  2. 지역연구의 방법론 = 297

   1) 종합적 접근문제 = 298

   2) 비교연구의 시각 = 299

   3) 지역연구의 접근 = 299

  3. 지역연구의 대상 = 302

 제18장 지구환경과 국제정치

  1. 동서냉전의 해소와 지구환경 안전보장문제의 출현 = 304

  2. 지구환경정치연구의 시작 = 305

  3. 지구환경문제의 연구영역과 분야 = 306

   1) 오존층의 파괴와 국제정치 = 306

   2) 지구 온난화문제 = 308

   3) 열대림의 파괴와 국제적 영향 = 309

   4) 산성비와 사막화 = 311

   5) 해양오염과 생물다양성의 강조 = 312

  4. 지구환경과 국제정치문제 = 313

   1) 유해 폐기물의 국경이동 = 313

   2) 남북대립과 개발도상국의 공해문제 = 314

 제19장 국제사회학

  1. 국제관계론과 국제사회학 = 316

   1) 국제사회학의 분야와 관심 = 317

   2) 국제사회학의 연구대상과 범위 = 319

    (1) 탈국가와 초국가적인 국제정치현상 = 319

    (2) 문화와 문명의 국제적인 측면 = 319

    (3) 국제사회의 변화 = 320

    (4) 다문화사회와 국제사회학적인 고찰 = 321

    (5) NGO의 국제사회학 = 322

    (6) 국제사회와 국제환경문제 = 323

    (7) 분단국가의 통합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과 고찰 = 324

  2. 국제사회학의 전망과 시각의 필요성 = 324

제3편 국제정치와 한반도문제

 제20장 한반도의 지정학

  1. 한반도의 지정학적인 평가 = 329

  2. 한반도의 국제정치와 지정학 = 329

   1) 한반도의 부속적-주변적 위치 = 330

   2) 한반도의 관계적 위치 = 331

  3. 한반도의 대륙정치성과 해양정치성 = 334

 제21장 북한의 핵의 기원과 문제점

  1. 서론 = 337

  2. 핵정책과 연구의 기원 = 339

  3. 북한의 핵정책과 개발체제 = 342

  4. 북한의 대외적인 원자력 협력 = 343

  5. 북한 핵문제의 정치적 제문제 = 346

  6. 북한의 핵문제와 한반도의 국제적 지위 = 351

 제22장 유엔과 한반도문제

  1. 서론 = 354

  2. 남북한의 유엔가입과 관련되는 제문제 = 356

   1) 북한의 하나의 조선정책과 그 문제점 = 356

   2) 한반도의 안전체제와 유엔 = 358

   3) 유엔의 새로운 기능과 한반도 = 360

   4) 한국전쟁의 종결과 북한의 연방안 = 361

   5) 북한의 유엔가입과 한일관계 및 교차승인 = 364

   6) 유엔가입과 한미동맹관계의 장래 = 364

  3. 결론 = 365

 제23장 한반도의 통일과 주변 4강의 태도

  1. 서론 = 367

  2. 4강의 아시아정책 = 369

   1) 미국의 극동정책 = 369

    (1) 패권의 저지 = 369

    (2) 세력균형의 유지 = 370

    (3) 다원적인 개입 = 371

    (4) 탈냉전 이후 미국의 아시아정책 = 373

   2) 일본의 아시아정책 = 374

    (1) 아시아주의 = 374

    (2) 동서문명결합론 = 375

    (3) 탈아입구론 = 375

    (4) 전후 일본의 아시아정책 = 376

    (5) 전후민주주의와 새로운 대동아공영권 = 378

    (6) 태평양헌장과 동경선언 = 379

   3) 중국의 아시아정책 = 379

    (1) 중화사상과 중국외교 = 379

    (2) 사회주의 4원칙 = 380

    (3) 탈냉전과 중국의 세계관 = 380

    (4) 중화사상과 중화경제권의 형성 = 381

   4) 러시아의 아시아정책 = 382

    (1) 러시아의 대외정책의 양면성 = 382

    (2) 러·중관계와 극동정책 = 383

  3. 4강의 대한반도정책과 한반도통일 = 384

   1) 미국의 이익과 한반도의 정치통합 = 388

    (1) 한미관계의 기원과 본질 = 388

    (2) 새로운 한미관계 = 391

   2) 일본과 한반도통일 = 393

    (1) 한일관계의 특수관계와 전략적 관점 = 393

    (2) 한반도통일에 대한 일본의 태도 = 394

    (3) 일본의 군사적 의의 = 395

    (4) 북한의 중간공작기지 = 395

    (5) 미국을 대신하는가? = 396

    (6) 일본과 중국 사이의 한반도 = 396

   3) 중국과 한반도통일 = 397

    (1) 중국과 한국전쟁과 통일 = 397

    (2) 중국의 두 개의 한국정책 = 398

  4. 러시아와 한반도통일 = 398

 제24장 한미관계연구

  1. 한미관계의 역사적 기원 = 401

   1) 한국의 독립과 상업적 이익 = 401

   2) 일본과 미국의 대한 접근 = 402

   3) 조선책략과 한미관계 = 402

   4) 카츠라-태프트조약과 한미관계 = 403

   5) 미국의 기독교와 한미관계 = 403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한미관계 = 404

   1) 한국전쟁과 한미관계 = 404

   2) 한미관계와 일본 = 406

   3) 북한의 권력체계의 성격과 한미관계 = 407

  3. 탈냉전 이후의 한미관계 = 408

   1) 탈냉전과 한반도문제 = 408

   2) 한반도의 민주화와 한미관계 = 408

   3) 북한의 핵문제와 한미관계 = 409

   4) 미국의 새로운 대북한정책과 한미동맹 = 410

  4. 앞으로의 한미관계와 그 전망 = 410

   1) 한미관계와 정치적 가치문제 = 411

   2) 한미관계와 자유시장경제 = 411

   3) 한미군사동맹과 한미간의 전략적 연계 = 412

   4) 한반도의 통일과 한미관계 = 412

   5) 한미관계의 내용과 네덜란드형 = 412

  5. 결론 = 413

국제정치 연표 = 415

국제정치 용어해설 = 425

인명색인 = 445

사항색인 = 447



관련분야 신착자료

민귀식 (2022)
임갑수 (2023)
五百旗頭薫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