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사고.생활

언어.사고.생활 (3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마성식
서명 / 저자사항
언어.사고.생활 / 마성식 저.
발행사항
대전 :   한남대학교출판부 ,   1996.  
형태사항
378 p. ; 23 cm.
ISBN
8970660860
000 00525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962070
005 20100807041609
007 ta
008 971022s1996 ulk MA 000a kor
020 ▼a 8970660860 ▼g 93710 : ▼c \7,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48712 ▼l 151048713
082 0 4 ▼a 401.9 ▼2 21
090 ▼a 401.9 ▼b 1996a
100 1 ▼a 마성식
245 1 0 ▼a 언어.사고.생활 / ▼d 마성식 저.
260 ▼a 대전 : ▼b 한남대학교출판부 , ▼c 1996.
300 ▼a 378 p. ; ▼c 23 cm.
950 0 ▼b \7,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01.9 1996a 등록번호 1510487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401.9 1996a 등록번호 1510487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마성식(지은이)

<국어 어의변화 유형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Ⅰ. 언어의 이해 = 9

 1. 언어란 무엇인가 = 11

  자연 언어와 인공 언어 = 12

  사람의 언어와 자연과 동물의 소리 = 12

  언어의 특성 = 13

 2. 언어의 기원 = 24

  문제의 성격과 내용 = 24

  여러 언어 기원설 = 25

  세 가지 기원설 = 27

  언어의 기원 - 그 영원한 미로 = 36

 3. 언어의 기능 = 37

  언어의 힘 = 37

  언어의 기능 = 39

Ⅱ. 국어의 이해 = 57

 1. 국어란 무엇인가 = 59

  정의에 관한 문제들 = 59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 62

 2. 국어의 문법 특징 = 66

  음운상의 특징 = 84

  형태상의 특징 = 74

  통사상의 특징 = 79

 3. 현대 국어의 닿소리 · 홀소리 체계 = 84

  음성과 음운 = 84

  닿소리와 홀소리 분류 = 86

 4. 훈민정음 이전의 표기법 = 94

  서기체 (誓記體) 표기 = 95

  향찰식 (鄕札式) 표기 = 95

  이두식 (吏讀式) 표기 = 97

  구결식 (口訣式) 표기 = 98

 5. 훈민정음 이해 = 101

  창제 동기 = 103

  훈민정음 창제 경위 = 108

  훈민정음의 조직 (원리) = 111

Ⅲ. 언어와 사고 = 127

 1. 실재 세계와 언어 세계 = 129

 2. 외재적 사고와 내재적 사고 = 135

  외재적 의미와 내재적 의미 = 135

  외재적 사고 = 138

  내재적 사고 = 148

  외재적 사고와 내재적 사고의 조화 = 165

 3. 형식 논리를 뛰어넘어 = 168

  코르지브스키의 비아리스토 체계 = 169

  아리스토 형식 논리학의 원리 검토 = 171

  총칭적 판단에 대한 검토 = 179

  자체 반영의 원리 = 181

 4. 과치적 사고의 언어 = 188

  일치적 사고의 언어 = 188

  이치적 사고의 언어 = 191

 5. 다치적 사고와 열린 마음 = 196

  다치적 사고의 언어 = 196

  열린 마음과 닫힌 마음 = 204

Ⅳ. 국어와 생활 = 211

 1. 국어 순화 = 213

  국어 순화의 뜻 = 213

  국어 순화 이유 = 214

  국어 순화 대상과 방법 = 216

 2. 높임법의 이해와 바른 사용 = 231

  주체 높임법 = 232

  상대 높임법 = 235

  특수 어휘 높임법 = 238

 3. 한글만 쓰기와 한자 섞어쓰기 = 242

  지금까지의 정황 = 242

  서로의 주장 = 243

  한글 전용 앞당기는 길 = 245

  다시 고개 든 한자 쓰기 = 248

  우리의 자세 = 250

 4. 국어의 감화 기능과 언어 생활 = 252

  감화 기능과 의미 형태 = 252

  감화 기능과 언어 생활 = 254

  감화시키는 언어의 이해 문제 = 270

  마무리 = 273

 5. 국어 계층어의 형성 = 276

  사회 언어학의 이해 = 276

  사회 언어학의 시작과 연구 분야 = 277

  사회 계층과 언어 = 279

  마무리 = 296

Ⅴ. 정서법 이해 = 301

 1. 띄어쓰기 = 303

  총칙 = 303

  조사 = 306

  의존명사 = 307

  숫자 및 이어주는 말 = 309

  보조 용언 = 313

  성과 이름 = 314

 2. 표준발음법 = 317

  총칙 = 318

  자음과 모음 = 319

  소리의 길이 = 324

  받침의 발음 = 326

  소리의 동화 = 334

  된소리 되기 = 338

  소리의 첨가 = 342

 3. 혼동하기 쉬운 발음 = 346

 4. 외래어 및 로마자 표기법 = 36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