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고영근
서명 / 저자사항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 고영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   1995.  
형태사항
819 p. ; 23 cm.
ISBN
8930303056
일반주기
붙임:외솔논저목록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찾아보기 수록
주제명(개인명)
최현배  
000 00613camccc200229 k 4500
001 000000954169
005 20100807023328
007 ta
008 961127s1995 ulk 001c kor
020 ▼a 8930303056 ▼g 03440: ▼c \25,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495.7092 ▼2 21
090 ▼a 497.092 ▼b 1995a1
100 1 ▼a 고영근
245 1 0 ▼a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 ▼d 고영근 지음.
260 ▼a 서울 : ▼b 집문당 , ▼c 1995.
300 ▼a 819 p. ; ▼c 23 cm.
500 ▼a 붙임:외솔논저목록 수록
504 ▼a 참고문헌과 찾아보기 수록
600 1 4 ▼a 최현배
950 0 ▼b \25,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092 1995a1 등록번호 1510317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092 1995a1 등록번호 1510327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092 1995a1 등록번호 1510317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092 1995a1 등록번호 1510327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3

출판에 즈음하여 = 7

일러두기 = 15

들어가기 = 17

제1장 생장과 수학 = 19

제2장 제1기(1922∼1934): 초기의 사상과 학문 = 29

 제1절 둘러보기 = 31

 제2절 외솔의 초기사상 = 34

  2.1. 들어가기 = 34

  2.2. 교육사상 = 34

  2.3. 민족개조사상 = 40

  2.4. 간추림 = 50

 제3절 수학시기의 우리말과 글에 대한 인식의 세계 = 51

  3.1. 들어가기 = 51

  3.2. 우리말과 글의 발전을 위한 소묘 = 53

  3.3. 한글개량론과 가로풀어쓰기안의 배태(胚胎) = 64

  3.4. 간추림 = 75

 제4절 우리말에 대한 총설적 접근 = 76

  4.1. 들어가기 = 76

  4.2. 언어에 대한 계통·형태적 접근 = 78

  4.3. 우리말에 대한 계통적 접근 = 82

  4.4. 간추림 = 84

 제5절 음성/문자이론 = 85

  5.1. 들어가기 = 85

  5.2. 음성이론 = 86

  5.3. 문자론과 문자사 = 93

   5.3.1. 문자론 = 94

   5.3.2. 문자사 = 103

  5.4. 간추림 = 110

 제6절 음학체계의 특수성과 그 형성에 관한 문제 = 112

  6.1. 들어가기 = 112

  6.2. 「유인본」의 체재와 내용검토 = 115

  6.3. 「첫재매」의 체재와 「유인본」과의 비교 = 149

   6.3.1. 내용의 비교 = 151

   6.3.2. 용어와 맞춤법의 비교 = 165

  6.4. 간추림 = 171

 제7절 품사/형태이론의 모색 = 173

  7.1. 들어가기 = 173

  7.2. 품사이론의 정립 = 174

  7.3. 명사형태론 = 188

  7.4. 동사형태론 = 190

  7.5. 간추림 = 197

 제8절 정서법이론의 전개와 그 응용 = 197

  8.1. 들어가기 = 197

  8.2. 정서법이론의 전개 = 198

  8.3. 외솔과 「언문철자법」 = 204

  8.4. 외솔과 「한글마춤법통일안」 = 210

  8.5. 외솔과 조선어학연구회 = 212

 제9절 교육문법(1) = 214

제3장 제2기(1934∼1937): 음성이론, 품사/형태이론, 통사이론의 정립 = 221

 제1절 둘러보기 = 223

 제2절 맞춤법 보급 및 표준말 사정 관여와 실천적 연구 = 225

  2.1. 들어가기 = 225

  2.2. 맞춤법의 보급활동 = 226

  2.3. 자모배열론(1) = 232

 제3절 문법용어론 = 237

 제4절 교육문법(2) = 243

 제5절 (우리말본)의 완성과 그 체계의 특수성 = 249

  5.1. 들어가기 = 249

  5.2. 언어관과 문법관 = 259

   5.2.1. 언어관의 해석 = 259

   5.2.2. 문법관의 해석 = 266

   5.2.3. 간추림 = 275

  5.3. 문법체계와 음성이론의 정립 = 276

   5.3.1. 「초판본」의 형성과 그 특징 = 276

   5.3.2. "들어가는말"의 「초판본」과 「첫재매」의 비교 = 280

   5.3.3. "소리갈"의 「초판본」과 「첫재매」의 비교 = 282

   5.3.4. 간추림 = 294

  5.4. 품사/형태이론의 정립 = 296

   5.4.1. 「초판본」 "씨갈"의 형성문제 = 296

   5.4.2. "씨의 가름"과 "조선어의 품사분류론"의 비교 = 297

   5.4.3. 품사론적 주제들의 이론적 특수성 = 304

   5.4.4. 형태론적 주제들의 이론적 특수성 = 332

  5.5. 통사이론의 정립 = 387

   5.5.1. 들어가기 = 387

   5.5.2. 문장론의 범위 = 389

   5.5.3. 문장성분의 소재 = 391

   5.5.4. 성분론 = 398

   5.5.5. 성분의 상웅 = 413

   5.5.6. 구성상으로 본 문장의 종류 = 418

   5.5.7. 구두점 사용법 = 430

  5.6. <우리말본>의 외국문법과의 교섭문제 = 433

   5.6.1. 들어가기 = 433

   5.6.2. 야마다-외솔 = 435

   5.6.3. 야마다와 하이제, 스위트 등 = 442

   5.6.4. 간추림 = 449

 제6절 방언이론의 전개와 방언수집 = 451

  6.1. 방언론의 전개 = 451

  6.2. 방언수집 방법론과 방언수집 = 455

  6.3. 일본방언연구와의 교섭문제 = 459

  6.4. 간추림 = 462

제4장 제3기(1937∼1945): 정음학이론의 정립 = 465

 제1절 둘러보기 = 467

 제2절 가로풀어쓰기이론의 전개와 응용 = 470

 제3절 교육문법(3) = 480

 제4절 문자발전사와 문자연구사 및 문자론과 문자사/음운사 = 485

  4.1. 들어가기 = 485

  4.2. 문자발전사와 문자연구사 = 492

  4.3. 문자론 = 497

  4.4. 문자사/음운사 = 516

  4.5. 간추림 = 522

제5장 제4기(1945∼1955): 문자개혁이론의 정립과 문법이론의 보완 = 525

 제1절 둘러보기 = 527

 제2절 문자개혁이론의 정립 = 532

  2.1. 들어가기 = 532

  2.2. 한자 폐지론 = 535

  2.3. 가로풀어쓰기 = 546

  2.4. 간추림 = 555

 제3절 해석학적 언어철학의 전개와 사상체계의 발전 = 556

  3.1. 들어가기 = 556

  3.2. 해석학적 언어철학의 전개 = 557

  3.3. 사상체계의 발전 = 573

  3.4. 간추림 = 578

 제4절 문법이론의 보완 = 579

  4.1. 들어가기 = 579

  4.2. 음성이론의 보완 = 583

  4.3. 품사/형태이론의 보완 = 588

  4.4. 통사이론의 보완 = 607

  4.5. 간추림 = 622

 제5절 교육문법(4) = 624

제6장 제5기(1955∼1970): 사상·학설의 정비와 한글전용론의 전개 = 635

 제1절 둘러보기 = 637

 제2절 교육문법(5) = 640

 제3절 외솔의 말기사상 = 658

  3.1. 들어가기 = 658

  3.2. 「나라사랑의 길」과 애국애족사상 = 659

  3.3. 「나라 건지는 교육」과 도덕교육사상 = 664

 제4절 정음학이론의 보완 = 666

  4.1. 들어가기 = 666

  4.2. 역사편의 보완문제 = 671

  4.3. 이론편의 보완문제 = 677

  4.4. 용어 및 표현상의 차이 = 685

  4.5. 간추림 = 687

 제5절 한글전용론의 정립 = 689

 제6절 그 밖의 부문의 연구 = 701

  6.1. 정서법이론의 정립 = 701

  6.2. 문자론 = 711

   6.2.1. 가로풀어쓰기 = 711

   6.2.2. 문자배열론(2) = 716

  6.3. 방언론과 언어사 = 718

   6.3.1. 방언론의 보완 = 718

   6.3.2. 언어사에 대한 탐색 = 722

  6.4. 문법론의 보완 = 726

   6.4.1. (우리말본)의 보완 = 726

   6.4.2. 단어의 책정기준을 위한 새로운 시도 = 730

   6.4.3. 지정사의 정립을 위한 변론 = 734

 제7절 교육문법(6) = 738

휘갑 = 749

붙임 = 767

 1. 외솔논저목록 = 769

  제1기: 1922∼1934 = 770

  제2기: 1934∼1937 = 774

  제3기: 1937∼1945 = 775

  제4기: 1945∼1955 = 776

  제5기: 1955∼1970 = 780

  유고 = 797

  발표연대미상자료 = 798

 2. 참고문헌 = 799

찾아보기 = 81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