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편 文化와 社會化
제1장 문화와 사회 = 17
1. 왜 문화인가 = 17
2. 문화의 뜻 = 20
1) 문화 개념의 성립과 발전 = 20
2) 오늘의 문화인식 = 25
3. 문화와 이데올로기 = 29
1) 맑스주의와 문화 = 29
2)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개념 = 32
4. 자본주의와 문화 = 35
1) 자본주의의 문화구조 = 35
2)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 38
5. 우리 문화의 현주소 = 42
제2장 가족과 여성 = 49
1. 새로운 자각 = 49
2. 구조기능주의, 정통 맑스주의 가족이론 = 51
1) 구조기능주의이론의 가족관 = 51
2) 정통 맑스주의 이론의 가족관 = 53
3) 구조기능주의, 정통 맑스주의 가족관의 한계 = 55
3. 페미니즘과 가족, 여성 = 59
1) 페미니즘의 가족관 = 59
2) 자본주의화와 가족의 변화 = 62
3) 가족의 크기와 형태 = 69
4) 가족 내 여성의 위치 = 70
4. 한국가족변화의 성격 = 71
제3장 사회화와 인간 = 75
1. 사회화의 문제 영역 = 75
1) 사회화의 뜻 = 75
2) 사회화 연구의 흐름 = 77
2. 자아와 퍼스낼리티 발달 = 80
1) 프로이트 = 80
2) G. H. 미드 = 83
3) 탈콧트·파슨즈 = 85
4) 에릭·에릭슨 = 87
3. 사회화와 일탈 = 89
1) 사회적 학습으로서의 일탈 = 90
2) 아노미(anomie)와 사회화 = 92
4. 사회적 성격 = 95
1) 에릭·프롬의 사회적 성격론 = 96
2) 데이빗·리즈만의 퍼스낼리티 유형론 = 100
5. 한국사회의 변동과 사회적 성격 = 101
제2편 社會集團과 社會組織
제4장 사회집단과 조직체 = 107
1. 사회집단의 개념 = 107
1) 사회집단의 개념 = 108
2) 사회집단의 일반적 성격 = 110
3) 사회집단의 분류방식 = 113
2. 사회집단의 종류 = 117
1) 원초집단과 이차집단 = 117
2) 내집단과 외집단 = 120
3) 준거집단 = 121
4) 자발적 결사체 = 123
5) 현대사회의 대중집단 = 124
3. 조직체 = 126
1) 조직체의 개념 = 126
2) 조직체의 유형 = 128
3) 조직체의 목표 = 130
4) 조직체의 리더십 = 131
4. 관료조직체 = 133
1) 합법적 지배와 관료조직체 = 133
2) 관료조직체 및 관료의 특징 = 136
3) 관료조직체의 장점과 문제점 = 138
5. 한국사회의 집단과 조직 = 140
1)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집단생활의 변모 = 140
2) 준거집단과 상대적 박탈감 = 141
3) 지역주의와 내집단의식 = 142
4) 한국사회의 관료주의 = 144
제5장 국가와 시민사회 = 147
1. 국가란 무엇인가? = 147
1) 국가를 보는 다양한 시각 = 147
2) 국가 개념의 이해를 위하여 = 151
2. 시민사회란 무엇인가? = 157
1) 시민사회론 : 고전사회학의 시각 = 158
2) 시민사회의 역사적 발달과정 = 160
3. 자본주의적 민주주의국가 = 163
1) 국가의 형태 = 163
2) 국가권력의 기반 = 165
3) 국가의 역할 = 167
4) 국가의 문제 = 168
제6장 기업과 노동 = 171
1. 현대사회의 노동문제 = 171
1) 노동문제란 무엇인가? = 171
2) 노동문제의 여러 영역 = 175
2. 노동과정 = 176
1) 공장제 수공업하의 노동과정 = 177
2) 기계제 대공업하의 노동과정 = 177
3) 제3세계의 노동과정 = 180
3. 기업과 노동문제 = 181
1) 기업가와 기업 = 181
2) 산업민주주의 = 183
3) 국가와 노동정책 = 184
4) 한국의 노동정책 = 185
4. 노동조합과 노동운동 = 188
1) 노동조합이란 무엇인가? = 188
2) 노동조합조직의 기능과 유형 = 190
3) 노동조합운동의 노선 = 196
4) 우리나라의 노동운동 = 199
제3편 社會構造
제7장 농촌 및 공동체 = 205
1. 농촌사회의 특징 = 205
1) 전근대 촌락공동체 사회의 특징 = 206
2) 근대 농촌사회의 성립과 유형 = 208
2. 농촌사회의 구조 = 214
1) 영농구조 = 214
2) 사회관계와 조직 = 215
3) 계층구성과 분화 = 218
3. 농촌사회의 변화 = 221
1) 도시화 = 221
2) 농촌의 저발전 = 223
4. 농촌개발 = 227
1) 기술혁신과 전파 = 227
2) 마을개발(지역사회개발사업) = 228
3) 통합적 농촌개발 = 228
5. 한국농촌의 사회구조와 전망 = 229
1) 독점자본과 농업 = 229
2) 농촌사회의 지배구조 = 231
6. 농촌사회의 전망 = 232
제8장 도시화와 도시문제 = 235
1. 도시화와 도시이론 = 235
1) 도시화의 추세 = 235
2) 도시이론 : 고전사회학의 시각 = 238
2. 도시성과 도시체계 = 239
1) 생활양식으로서의 도시성 = 240
2) 집합적 소비단위로서의 도시체계 = 242
3. 도시의 공간구조 = 244
1) 생태학의 관점 = 245
2) 신베버주의의 관점 = 247
3) 정치경제학의 관점 = 250
4. 한국의 도시문제 = 253
1) 수도권 집중 = 253
2) 도시의 빈곤문제 = 256
제9장 계급과 계층 = 259
1. 현대사회와 사회불평등 = 259
1)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심 = 259
2) 사회불평등에 대한 용어 : 계층과 계급 = 261
3) 사회불평등의 실태 = 264
2. 사회이동과 사회불평등 = 268
1) 사회이동의 개념 = 268
2) 사회이동과 사회유형 = 269
3) 사회이동의 원인과 통로 = 272
4) 사회이동과 사회체제 = 275
3. 계급이론, 계층이론 = 276
1) 사회불평등에 대한 두 가지 입장 = 276
2) 맑스의 계급이론 = 278
3) 베버의 다차원적 불평등이론 = 287
4) 기능주의 계층이론 = 291
4.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성 = 295
1) 한국사회의 계급 및 계층구분 = 295
2) 한국사회의 계급구성 = 297
제4편 社會變動
제10장 현대사회변동의 이론 = 305
1. 사회변동이란 무엇인가 = 305
1) 머리말 = 305
2) 사회변동을 보는 눈 = 308
2. 사회변동의 이론 = 314
1) 진화론 = 314
2) 구조기능주의이론 = 316
3) 맑스주의(사적유물론) = 318
3. 사회변동이론의 비판적 이해 = 322
1) 안정과 균형 / 모순과 투쟁 = 323
2) 결정론(환원론) / 우연성 = 323
3) 제3세계와 서구사회학 = 325
제11장 사회운동과 사회변동 = 329
1. 사회운동이론과 혁명이론 = 329
1) 사회운동의 의미 = 329
2) 사회운동이론 = 329
3) 혁명이론 = 333
2. 사회운동의 진행 = 339
1) 사회운동의 주동 요인 = 339
2) 사회운동론의 적용문제 = 341
3. 오늘의 사회운동론 = 342
1) 자원동원론 = 343
2) 새로운 사회운동론 = 344
3) 대화의 가능성 = 346
제12장 현대사회와 탈현대 = 351
1. 산업사회론 = 352
1) 산업화와 사회의 변모 = 352
2) 산업사회론의 특징 = 352
3) 현대산업사회론 = 354
2. 자본주의사회론 = 359
1) 자본주의사회의 구조와 발전 = 359
2) 자본주의의 발전단계 = 360
3) 현대자본주의론 : 국가독점자본주의론 = 362
3. 현대사회의 미래에 대한 전망 = 371
1) 탈산업사회론과 수렴이론 = 371
2) 맑스주의 = 378
3) 탈근대(post-modern)의 사회이론 = 382
제5편 社會學論
제13장 사회학의 성립과 발달 = 393
1. 근대사회의 성립과 사회학의 형성 = 393
1) 중세봉건제의 성격과 학문의 질식 = 393
2) 근대사회의 성립과 사회학의 출현 = 394
3) 사회학의 두 흐름 = 395
2. 아카데미 사회학의 형성과 전개 = 397
1) 아카데미 사회학의 형성과정 = 397
2) 현대 아카데미 사회학의 전개 = 409
3. 비판사회학의 형성과 전개 = 415
1) 비판사회학의 형성과정 = 415
2) 비판사회학의 기초 개념 = 426
4. 두 흐름의 현대적 의미 = 430
제14장 한국사회와 사회학 = 433
1. 한국사회학의 생성과 전개 = 433
1) 주류 사회학의 성립과 발달 = 434
2) 비판적 사회학의 형성과 전개 = 442
2. 한국의 국가와 사회 = 451
1) 주류 사회학의 관점 = 452
2) 식민지반봉건사회론의 관점 = 455
3) 신식민지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관점 = 458
3. 한국사회학의 과제 = 462
1) 주류 사회학의 공과 = 462
2) 비판적 사회학의 현재적 한계와 과제 = 467
연구문헌 = 473
필자소개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