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편역자 서문 = 3
제1장 교육조직의 모형 = 13
1. 조직의 다양성에 대한 접근방법들 = 14
2. 기본모형 : 합리적 체제 대 자연적 체제 = 21
3. 기본모형 : 개방모형 대 폐쇄모형 = 36
4. 변형모형 = 48
5. 조직에 대한 제약요인들 = 62
6. 결론 = 73
참고문헌 = 74
제2장 조직이론 : 새로운 관점과 학교에 대한 시사점 = 87
1. 조직학과 행정직 = 88
2. 사회적 실제에 대한 두 가지 관점 = 93
3. 시사점 = 110
참고문헌 = 120
제3장 교육조직의 구조 = 125
1. 교육조직에 있어서 통제의 유형 = 128
2. 학교조직에 대한 관례적 설명 = 135
3. 학교교육의 조직 : 대안적 해석 = 140
4. 조직적 대응 : 분리와 신뢰의 논리 = 147
5. 연구와 이론에 대한 시사점 = 154
참고문헌 = 161
제4장 학교조직 연구의 몇 가지 논쟁점 = 165
1. 연구 방법들 : 주장과 결과들 = 166
2. 이론과 연구 = 178
3. 연구와 실제 = 187
참고문헌 = 191
제5장 공식조직으로서의 학교 : 몇 가지 새로운 생각들 = 199
1. 학교조직 : 재검토 = 199
2. 조직변화에 관한 연구 = 205
3. 학교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 221
참고문헌 = 226
제6장 조직으로서의 학교 : 재검토 = 229
1. 조직으로서의 학교 = 230
2. 관료제로서의 학교 = 233
3. 무정부 조직으로서의 학교 = 236
참고문헌 = 245
제7장 학교의 조직적 본질에 대한 이해 = 247
1. 학교, 시계, 구름 그리고 이미지 = 249
2. 학교와 조직 : 잘못 일치된 경우 = 254
3. 학교의 이미지화 : 몇 가지 기본적인 전략 = 259
4. 결론 = 272
참고문헌 = 273
제8장 학교의 조직구조 = 287
1. 서론 = 288
2. 복잡한 조직으로서의 학교 = 292
3. 상호작용 질서와 학교조직 = 306
4. 종합에 대하여 = 313
5. 결론 = 318
참고문헌 = 319
제9장 고전적 교육조직이론 = 329
1. 합리적 모형 = 330
2. 자연체제 모형 = 334
3. 개방체제 모형 = 338
참고문헌 = 342
제10장 현대의 교육조직이론 = 347
1. 조직화된 무정부 = 348
2. 이완결합 체제 = 350
참고문헌 = 355
제11장 교육조직에 관한 이론들 : 비판적 관점 = 357
1. 조직이론과 교육행정 = 361
2. 반성된 조직의 실체 : 유리의 흠집 = 375
3. 대안이론 = 379
참고문헌 = 385
제12장 조직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 = 389
1. 개념적 틀 = 390
2. 관료제 = 391
3. 체제적 접근방법 = 396
4. 사회체제이론 : 사회심리학과 조직 = 398
5. 현대적 접근방법 : 은유로서의 과정 = 402
6. 조직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415
7. 종합 = 420
참고문헌 =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