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3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3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갑수
서명 / 저자사항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 박갑수 지음 . 3.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   1996.  
형태사항
354 p. ; 23 cm.
ISBN
893030317X
일반주기
부록 :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서지주기
찾아보기 수록
000 00612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940421
005 20100807123644
007 ta
008 960419s1996 ulk 001a kor
020 ▼a 893030317X ▼g 03710: ▼c \7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82 0 4 ▼a 495.75 ▼2 21
090 ▼a 497.15 ▼b 1995g ▼c 3
100 1 ▼a 박갑수
245 1 0 ▼a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 ▼d 박갑수 지음 . ▼n 3.
260 ▼a 서울 : ▼b 집문당 , ▼c 1996.
300 ▼a 354 p. ; ▼c 23 cm.
500 ▼a 부록 :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504 ▼a 찾아보기 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410027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285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285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431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431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410027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285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285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431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3 등록번호 1510431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갑수(지은이)

서울대 명예교수, 연변대 과기학원 겸직교수 일본 天理大學, 筑波大學, 중국 洛陽外國語大學 초빙교수 역임 국어심의위원, 방송심의위원, 방송언어심의위원장, 법제처 정책자문위원 (재)한국어 세계화재단 이사, 한국어능력시험 자문위원장 (재)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상임대표, (사)한국문화국제교류운동본부 이사장 역임 국어교육학회·이중언어학회·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한국문화 국제교류운동본부 고문 저서 『문체론의 이론과 실제』, 『현대문학의 문체와 표현』, 『고전문학의 문체와 표현』, 『일반국어의 문체와 표현』, 『신문·광고의 문체와 표현』, 『한국방송언어론』,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성찰』, 『한국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교육』, 『재외동포 교육과 한국어교육』, 『언어·문화, 그리고 한국어교육』, 『통일대비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인과 한국어의 발상과 표현』, 『국어순화와 법률 문장의 순화』, 『신문·방송의 언어와 표현론』, 『우리말 우리 문화』(상·하), 『재미있는 속담과 인생』, 『교양인을 위한 언어·문학·문화, 그리고 교육 이야기』, 『재미있는 곁말 기행』(상·하)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발음상의 문제들

 「개나리봇짐」과 「괴나리봇짐」 = 9

 「거드럼」과 「거드름」 = 10

 「게슴치레하다」와 「거슴츠레하다」 = 11

 「골목자기」와 「골목쟁이」 = 13

 「과즐」과 「과줄」 = 14

 「구먹」과 「구멍」 = 15

 「깜쪽같이」와 「감쪽같이」 = 16

 「깡술」과 「강술」 = 18

 「깨까다롭다」와 「꾀까다롭다」 = 19

 「께름찍하다」와 「꺼림칙하다」 = 20

 「끈아불」과「끄나풀」 = 21

 「끌다」와 「그을다」 = 23

 「나래」와 「날개」 = 24

 「나리다」와 「내리다」 = 25

 「널판찌」와 「널빤지」 = 27

 「놀」과 「노을」 = 28

 「다종」과 「찻종」 = 30

 「대이다」와 「대다」 = 31

 「더케」와 「더께」 = 32

 「도로혀」와 「도리어」 = 33

 「도리채」와 「도리깨」 = 35

 「디립다」와 「들입다」 = 36

 「매디」와 「매지」 = 37

 「맨드래미」와 「맨드라미」 = 39

 「멍우리」와 「멍울」 = 40

 「메이다」와 「메다」 = 41

 「백어포」와 「뱅어포」 = 43

 「버즘」과 「버짐」 = 44

 「벌거지다」와 「벌개지다」 = 45

 「부지팽이」와 「부지깽이」 = 47

 「부헝이」와 「부엉이」 = 48

 「부화」와 「부아」 = 49

 「뺨다귀」와 「뺨따귀」 = 51

 「상채기」와 「생채기」 = 52

 「아랫묵」과 「아랫목」 = 53

 「아지랭이」와 「아지랑이」 = 55

 「어르다」와 「으르다」 = 56

 「오릇하다」와 「오롯하다」 = 57

 「외자」와 「외상」 = 59

 「왼」과 「온」 = 60

 「요지음」과 「요즈음」 = 62

 「웨치다」와 「외치다」 = 63

 「으스레하다」와 「어스레하다」 = 65

 「입설」과 「입술」 = 66

 「조이다」와 「죄다」 = 68

 「지심매다」와 「김매다」 = 69

 「찔래꽃」과 「찔레꽃」 = 71

 「채리다」와 「차리다」 = 72

 「치루다」와 「치르다」 = 73

 「켱기다」와 「켕기다」 = 74

 「트기」와 「튀기」 = 76

 「티각태각」과 「티격태격」 = 77

 「하마트면」과 「하마터면」 = 78

 「허잘것없는」과 「하잘것없는」 = 80

Ⅱ. 철자상의 문제들

 「가름하다」와 「갈음하다」 = 83

 「간난이」와 「갓난이」 = 84

 「댄님」과 「대님」 = 86

 「덧이」와 「덧니」 = 87

 「덩지」와 「덩치」 = 88

 「뒤잡이」와 「드잡이」 = 90

 「들컹거리다」와 「들큰거리다」 = 91

 「삽바」와 「샅바」 = 93

 「생강」과 「새앙」 = 94

 「설비심」과 「설빔」 = 95

 「손꼬락」과 「손가락」 = 96

 「숨이다」와 「스미다」 = 98

 「쌀아기」와 「싸라기」 = 99

 「쓸다」와 「슬다」 = 101

 「악마구리」와 「악머구리」 = 102

 「애띠다」와 「앳되다」 = 103

 「어름짱」과 「얼음장」 = 105

 「에이다」와 「에다」 = 106

 「오랫만에」와 「오랜만에」 = 107

 「오려송편」과 「오례송편」 = 108

 「외우다」와 「외다」 = 110

 「재이다」와 「재다」 = 112

 「재털이」와 「재떨이」 = 113

 「제」와 「쟤」 = 114

 「진누깨비」와 「진눈깨비」 = 116

 「진작」과 「진즉」 = 117

 「할일없이」와 「하릴없이」 = 118

 「햇님」과 「해님」 = 120

 「헤염」과 「헤엄」 = 121

 「호들기」와 「호드기」 = 122

Ⅲ. 형태상의 문제들

 「가으말다」와 「가말다」 = 125

 「강짜」와 「강샘」 = 126

 「개구녁」과 「개구멍」 = 127

 「개발쇠발」과 「괴발개발」 = 129

 「거러지」와 「거지」 = 130

 「거시키」와 「거시기」 = 131

 「건뜻하면」과 「걸핏하면」 = 132

 「걸빵」과 「멜빵」 = 134

 「고까옷」과 「때때옷」 = 135

 「고쟁이」와 「속곳」 = 136

 「곱실머리」와 「곱슬머리」 = 137

 「관대」와 「관디」 = 138

 「구닥다리」와 「구년묵이」 = 139

 「귀쌈」과 「귀싸대기」 = 141

 「까무느다」와 「까뭉개다」 = 142

 「꼬느다」과 「꼲다」 = 143

 「꾸중」과 「꾸지람」 = 145

 「나시」와 「냉이」 = 146

 「날가루」와 「생무지」 = 148

 「날벼락」과 「생벼락」 = 149

 「노고지리」와 「종다리」 = 150

 「대공」과 「대」 = 151

 「도령님」과 「도련님」 = 153

 「동가리」와 「동강」 = 154

 「두둑」과 「둔덕」 = 155

 「마기」와 「막상」 = 156

 「말짱」과 「말끔」 = 158

 「머스마」와 「머슴」 = 159

 「멧기슭」과 「산기슭」 = 161

 「모욕」과 「미역」 = 162

 「미꾸리」와 「미꾸라지」 = 164

 「바구리」와 「바구니」 = 165

 「버들강아지」와 「버들개지」 = 166

 「버러지」와 「벌레」 = 167

 「벙글다」와 「벌다」 = 169

 「부스럼」과 「부럼」 = 170

 「부지르다」와 「부러뜨리다」 = 171

 「불갈비」와 「가리구이」 = 172

 「불티나다」와 「불티같다」 = 174

 「사마귀」와 「버마재비」 = 175

 「샛밥」과 「곁두리」 = 176

 「소리개」와 「솔개」 = 177

 「손때-맵다」와 「손끝-맵다」 = 179

 「쇠혀」와 「쇠서」 = 180

 「숫더리다」와「수떨다」 = 181

 「신」과 「신발」 = 182

 「싻」과 「싹」 = 184

 「아귀차다」와 「아귀세다」 = 185

 「아주까리」와 「피마자」 = 186

 「알타리 김치」와 「총각김치」 = 188

 「열적다」와 「열없다」 = 190

 「오랍-동생」과 「오라비」 = 191

 「오죽」과 「오죽이나」 = 193

 「욕삼태기」와 「욕감태기」 = 194

 「움벼」와 「그루벼」 = 195

 「잎나무」와 「섶나무」 = 197

 「정박이」와 「정수리」 = 198

 「종지리새」와 「종달새」 = 199

 「찌끼」와 「찌꺼기」 = 201

 「착살스럽다」와 「착살맞다」 = 202

 「풀무하다」와 「풀무질하다」 = 203

 「품팔이꾼」과 「삯팔이꾼」 = 205

 「헛것」과 「허깨비」 = 206

 「혀짜른소리」와 「혀짜래기소리」 = 207

 「회리바람」과 「회오리바람」 = 208

Ⅳ. 의미상의 문제들

 「가르치다」와 「가리키다」 = 211

 「각가지」와 「갖가지」 = 212

 「고부리다」와 「고푸리다」 = 214

 「그저」와 「거저」 = 216

 「나누다」와 「노느다」 = 217

 「나부랑이」와 「오라기」 = 219

 「너덧」과 「네댓」 = 220

 「늘그막」과 「늙바탕」 = 222

 「도착하고 있습니다」와 「도착하겠습니다」 = 223

 「마」와 「장마」 = 224

 「막걸리」와 「모주」 = 225 

 「매무시」와 「매무새」 = 226

 「멥쌀」과 「입쌀」 = 228

 「사태」와 「양지머리」 = 229

 「서리」와 「성에」 = 230

 「소금쟁이」와 「물매암이」 = 232

 「손돌멩이추위」와 「손돌이추위」 = 233

 「쓴나물」과 「씀바귀」 = 234

 「엉결」과 「엉겁결」 = 236

 「엉클다」와 「헝클다」 = 237

 「자기」와 「당신」 = 238

 「작다」와 「적다」 = 240

 「작은집」과 「적은집」 = 242

 「조짐」과 「빌미」 243

 「지새다」와 「지새우다」 = 244

 「팔작집」과 「맞배집」 = 246

 「흠뻑」과 「흠씬」 = 247

Ⅴ. 문법상의 문제들

 「-걸랑요」와 「-거든요」 = 249

 「-게시리」와 「-게끔」 = 250

 「-겠다」와 「-것다」 = 251

 「너네들」과 「너희들」 = 253

 「-다마다」와 「-고말고」 = 254

 「-대다」와 「-거리다」 = 256

 「-드키」와 「-듯이」 = 257

 「-만치」와 「-만큼」 = 259

 「바깥사돈」과 「밭사돈」 = 260

 「배워 주다」와 「가르쳐 주다」 = 261

 「부지런해라」와 「부지런해져라」 = 263

 「상앗대」와 「삿대」 = 264

 「새」와 「사이」 = 266

 「샘하다」와 「새암하다」 = 267

 「시골-뚜기」와 「시골-뜨기」= 268

 「싣다」와 「태우다」 = 270

 「알맞게」와 「알맞추」 = 271

 「-트리다」와 「-뜨리다」 = 272

Ⅵ. 외래어의 문제들

 「가라아게」와 「제물튀김」 = 275

 「겜뻬이」와 「편가르기」 = 276

 「기라성」과 「반짝별」 = 277

 「꼴인」과 「득점」= 279

 「노가다」와 「노동자」 = 280

 「니스」와 「바니시」 = 281

 「다꾸앙」과 「단무지」 = 283

 「미시즈」와 「기혼여성」 = 284

 「백-미러」와 「리어뷰-미러」 = 285

 「비지(BG)」와 「오피스 걸」 = 286

 「샤프」와 「오토매틱 펜슬」 = 287

 「스텐」과 「스테인리스」 = 289

 「아르바이트」와 「부업」= 290

 「이노시까죠」와 「저녹접」 = 291

 「자꾸」와 「지퍼」 = 292

 「지리」와 「매운탕」 = 293

 「콘센트」와 「플럭 소킷」 = 295

 「타임 아웃」과 「타임즈 아웃」 = 296

 「하꼬방」과 「판잣집」 = 297

 「핸들」과 「휠」 = 29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