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2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2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갑수
서명 / 저자사항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 박갑수 지음 . 2.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   1995.  
형태사항
361 p. ; 23 cm.
ISBN
8930303161
일반주기
부록 : 표준어 규정  
서지주기
찾아보기 수록
000 00563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940410
005 20100807123643
007 ta
008 960419s1995 ulk 001a kor
020 ▼a 8930303161 ▼g 03710: ▼c \7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82 0 4 ▼a 495.75 ▼2 21
090 ▼a 497.15 ▼b 1995g ▼c 2
100 1 ▼a 박갑수
245 1 0 ▼a 우리말, 바로 써야 한다 / ▼d 박갑수 지음 . ▼n 2.
260 ▼a 서울 : ▼b 집문당 , ▼c 1995.
300 ▼a 361 p. ; ▼c 23 cm.
500 ▼a 부록 : 표준어 규정
504 ▼a 찾아보기 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410027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2(동양서)/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211226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51028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510285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410027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2(동양서)/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211226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51028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97.15 1995g 2 등록번호 1510285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갑수(지은이)

서울대 명예교수, 연변대 과기학원 겸직교수 일본 天理大學, 筑波大學, 중국 洛陽外國語大學 초빙교수 역임 국어심의위원, 방송심의위원, 방송언어심의위원장, 법제처 정책자문위원 (재)한국어 세계화재단 이사, 한국어능력시험 자문위원장 (재)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상임대표, (사)한국문화국제교류운동본부 이사장 역임 국어교육학회·이중언어학회·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한국문화 국제교류운동본부 고문 저서 『문체론의 이론과 실제』, 『현대문학의 문체와 표현』, 『고전문학의 문체와 표현』, 『일반국어의 문체와 표현』, 『신문·광고의 문체와 표현』, 『한국방송언어론』,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성찰』, 『한국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교육』, 『재외동포 교육과 한국어교육』, 『언어·문화, 그리고 한국어교육』, 『통일대비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인과 한국어의 발상과 표현』, 『국어순화와 법률 문장의 순화』, 『신문·방송의 언어와 표현론』, 『우리말 우리 문화』(상·하), 『재미있는 속담과 인생』, 『교양인을 위한 언어·문학·문화, 그리고 교육 이야기』, 『재미있는 곁말 기행』(상·하)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발음상의 문제들

 「가랭이」와 「가랑이」 = 9

 「가상자리」와 「가장자리」 = 10

 「갱신」과 「경신」 = 12

 「갱정」과 「경정」 = 13

 「걸르다」와 「거르다」 = 14

 「게자」와 「겨자」 = 16

 「그머리」와 「거머리」 = 17

 「기뿌다」와 「기쁘다」 = 19

 「꼬추」와 「고추」 = 20

 「내중」과 「나중」 = 21

 「다리다」와 「데리다」 = 23

 「대이다」와 「달이다」 = 24

 「딴족치다」와 「딴죽치다」 = 25

 「-박이」와 「-배기」 = 27

 「-상싶다」와 「-성싶다」 = 28

 「십성」과 「십상」 = 29

 「어스름달밤」과 「으스름달밤」 = 31

 「어여쁘다」와 「예쁘다」 = 32

 「여닐곱」과 「예닐곱」 = 33

 「여드래」와 「여드레」 = 34

 「음달」과 「응달」 = 35

 「의례」와 「으레」 = 37

 「일체」와 「일절」 = 38

 「자내」와 「자네」 = 39

 「자블음」과 「졸음」 = 40

 「지개」와 「지게」 = 42

 「지내다」와 「지나다」 = 43

 「짐치」와 「김치」 = 44

 「채쭉」과 「채찍」 = 45

 「초생」과 「초승」 = 47

 「표식」과 「표지」 = 48

 「한참」과 「한창」 = 49

 「해정」과 「해장」 = 51

 「헷갈리다」와 「헛갈리다」 = 52

Ⅱ. 철자상의 문제들

 「가엽다」와 「가엾다」 = 55

 「가ㅎ다 부ㅎ다」와 「가타부타」 = 56

 「갈무지」와 「갈묻이」 = 57

 「개」와 「걔」 = 59

 「깃빨」과 「깃발」 = 60

 「까끄럽다」와 「깔끄럽다」 = 62

 「꼿깔」와 「고깔」 = 63

 「낯바다기」와 「낯바대기」 = 65

 「눈섭」과 「눈썹」 = 66

 「댕기다」와 「당기다」 = 67

 「둘러리」와 「들러리」 = 69

 「디리」와 「들이」 = 70

 「떫덜하다」와 「떨떨하다」 = 72

 「머릿말」과 「머리말」 = 73

 「바뜰다」와 「받들다」 = 75

 「비들기」와 「비둘기」 = 76

 「비치다」와 「삐치다」 = 77

 「사이시옷」의 용법 = 78

 「석냥」과 「성냥」 = 80

 「소고기」와 「쇠고기」 = 81

 「쓰였다」와 「씌었다」 = 82

 「아름아리」와 「알음알이」 = 84

 「어름」과 「얼음」 = 85

 「-열」과 「-렬」 = 86

 「우큼」과 「움큼」 = 87

 「-율」와 「-률」 = 89

 「입때」와 「접때」 = 90

 「-장이」와 「-쟁이」 = 91

 「줏다」와 「줍다」 = 92

 「처신없다」와 「채신없다」 = 94

 「풋나기」와 「풋내기」 = 95

 「하루걸이」와 「하루거리」 = 96

 「호랭이」와 「호랑이」 = 98

Ⅲ. 형태상의 문제들

 「가락엿」과 「가래엿」 = 101

 「가리마」와 「가르마」 = 102

 「가시라기」와 「가시랭이」 = 103

 「가치」와 「개비」 = 105

 「가팔막」과 「가풀막」 = 107

 「갈구리」와 「갈고리」 = 108

 「감기」와 「고뿔」 = 109

 「강냉이」와 「옥수수」 = 110

 「갯주머니」와 「호주머니」 = 111

 「걸거치다」와 「거치적거리다」 = 113

 「검지」와 「집게손가락」 = 114

 「고즈너기」와 「고즈넉이」 = 115

 「곰탕」과 「곰국」 = 117

 「구시」와 「구유」 = 118

 「귀밑머리」와 「귓머리」 = 119

 「기와집」과 「개와집」 = 121

 「까까중」과 「중대가리」 = 122

 「까래기」와 「까끄라기」 = 123

 「깍다귀」와 「각다귀」 = 125

 「깔때기」와 「딸국질」 = 126

 「껍질」과 「껍데기」 = 127

 「꼬이다」와 「꾀다」 = 129

 「꾀보」와 「꾀자기」 = 130

 「나리다」와 「내리다」 = 131

 「남우새」와 「남우세」 = 133

 「낭」과 「낭떠러지」 = 134

 「낱말 맞히기」와 「낱말 마추기」 = 135

 「누리」와 「우박」 = 136

 「눈귀」와 「눈초리」 = 137

 「대사롭다」와 「대수롭다」 = 139

 「도까비」와 「도깨비」 = 140

 「따뱅이」와 「또아리」 = 141

 「땀때기」와 「땀띠」 = 143

 「마…」와 「저…」 = 144

 「맛갖다」와 「맞갖다」 = 145

 「망가지다」와 「망그러지다」 = 147

 「멧돼지」와 「산돼지」 = 148

 「멱서리」와 「멱살」 = 149

 「뫼뚜기」와 「메뚜기」 = 150

 「무서리」와 「무색옷」 = 151

 「버레」와 「벌레」 = 153

 「사금팽이」와 「사금파리」 = 154

 「세대」와 「가구」 = 156

 「소꼽질」과 「소꿉질」 = 157

 「아옥」과 「아욱」 = 158

 「안까님」과 「안간힘」 = 159

 「안해」와 「아내」 = 160

 「앙갚음」과 「안갚음」 = 162

 「얄개」와 「야살이」 = 163

 「어데」와 「어디」 = 164

 「얼게미」와 「어레미」 = 166

 「얼기빗」과 「얼레빗」 = 167

 「업수이여기다」와 「업신여기다」 = 168

 「연신」과 「연방」 = 169

 「웃옷」과 「윗옷」 = 171

 「잎새」와 「잎」 = 172

 「주전부리」와 「군것질」 = 174

 「중의」와 「고의」 = 175

 「철때기」와 「철딱서니」 = 176

 「추켜올리다」와 「추어올리다」 = 177

 「컬레」와 「켤레」 = 179

 「허방-치다」와 「허탕-치다」 = 181

Ⅳ. 의미상의 문제들

 「거멍」과 「검댕」 = 183

 「곱다」와 「꼽다」 = 184

 「관계치 않다」와 「괜찮다」 = 185

 「근사하다」와 「같잖다」 = 186

 「금혼식」과 「금강석혼식」 = 188

 「까불다」와 「까부르다」 = 189

 「농장지희」와 「농와지희」 = 190

 「눈매」와 「눈찌」 = 192

 「눌은밥」과 「누룽지」 = 193

 「두락」과 「마지기」 = 194

 「뒤안」과 「뒤꼍」 = 195

 「막말로」와 「마기말로」 = 197

 「명태」와 「북어」 = 198

 「모래」와 「모새」 = 199

 「목」과 「몫」 = 201

 「몫돈」과 「목돈」 = 202

 「발자국 소리」와 「발걸음 소리」 = 203

 「벽창우」와 「벽창호」 = 205

 「변」과 「변돈」 = 206

 「보듬다」와 「안다」 = 207

 「산모퉁이」와 「산모롱이」 = 209

 「송사리」와 「피라미」 = 210

 「스스로 자각」과 「자각」 = 211

 「스승」과 「교사」 = 212

 「신」과 「검」 = 214

 「야채」와 「채소」 = 215

 「여위다」와 「여의다」 = 216

 「외양간」과 「마구간」 = 217

 「위두」와 「우두머리」 = 219

 「-일」과 「-일날」 = 220

 「자당」과 「자친」 = 221

 「조림」과 「지짐이」 = 222

 「짓아비」와 「지아비」 = 224

 「창난젓」과 「명란젖」 = 225

 「쳐부시다」와 「쳐부수다」 = 226

 「하나도」와 「조금도」 = 227

 「하얀 백발」과 「백발」 = 229

 「한겻」과 「한나절」 = 231

 「핫옷」과 「홑옷」 = 232

 「허무감을 느낀다」와 「허무를 느낀다」 = 233

 「허잘것없다」와 「하잘것없다」 = 235

Ⅴ. 문법상의 문제들

 「고지듣다」와 「곧이듣다」 = 237

 「-구료」와 「-구려」 = 238

 「그러므로」와 「그럼으로」 = 240

 「그리고」와 「그러고」 = 241

 「기어히」와 「기어이」 = 242

 「-길래」와 「-기에」 = 244

 「나름대로」와 「내나름대로」 = 246

 「내노라」와 「내로라」 = 247

 「다리미질」과 「다림질」 = 249

 「딴에는」과 「딴은」 = 250

 「돋구다」와 「돋우다」 = 251

 「-ㄹ런지」와 「-ㄹ는지」 = 253

 「-마자」와 「-마저」 = 254

 「무지」와 「되게」 = 256

 「부퍼」와 「부풀어」 = 257

 「빽빽히」와 「빽빽이」 = 258

 「뿐」과 「밖에」 = 260

 「새려」과 「새로에」 = 261

 「-싶이」와 「-시피」 = 263

 「아람드리」와 「아름드리」 = 264

 「안 되」와 「안 돼」 = 266

 「-았다/-었다」와 「-였다」 = 267

 「애닯다」와 「애달프다」 = 269

 「어집잖다」와 「어쭙잖다」 = 270

 「-에」와 「-에게」 = 272

 「여쭈옵다」와 「여쭈다」 = 274

 「옛」과 「예」 = 275

 「우럴어」와 「우러러」 = 276

 「채다」와 「채우다」 = 278

 「척하다」와 「체하다」 = 279

 「티인」와 「트인」 = 280

Ⅵ. 외래어의 문제들

 「가라」와 「무늬」 = 283

 「간스메」와 「통조림」 = 284

 「곤로」와 「화로」 = 286

 「곱뿌」와 「컵」 = 287

 「깡패」와 「깡통」 = 288

 「낭만주의」와 「노만주의」 = 289

 「다바꼬」와 「담배」 = 290

 「덴푸라」와 「비로드」 = 291

 「돈 까스」와 「포크 커틀릿」 = 293

 「레이디」와 「레지」 = 294

 「미싯가루」와 「미숫가루」 = 295

 「바바리 코트」와 「스프링 코트」 = 296

 「버버리」와 「벙어리」 = 296

 「부」와 「푼」 = 298

 「빈자떡」과 「빈대떡」 = 300

 「사분」과 「비누」 = 301

 「사쿠라」와 「회색분자」 = 302

 「설롱탕」과 「설렁탕」 = 304

 「십팔번」과 「장기」 = 305

 「카레라이스」와 「카레이라이스」 = 306

 「호치키스」와 「바리캉」 = 307

[부록] 표준어규정 = 309

찾아보기 = 34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