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원전 연구를 통해 본)음악학의 시원

(원전 연구를 통해 본)음악학의 시원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춘미
서명 / 저자사항
(원전 연구를 통해 본)음악학의 시원 / 김춘미 저.
발행사항
서울 :   음악춘추사 ,   1995.  
형태사항
357 p. : 도표,악보 ; 23 cm.
ISBN
891300304X
서지주기
참고문헌: p.336-345 색인 수록
000 00593camccc200217 k 4500
001 000000938057
005 20100807122634
007 ta
008 960513s1995 ulkdg 001a kor
020 ▼a 891300304X ▼g 93670 : ▼c \16,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029636 ▼l 151029635
082 0 4 ▼a 780.1 ▼2 21
090 ▼a 780.1 ▼b 1995
100 1 ▼a 김춘미
245 2 0 ▼a (원전 연구를 통해 본)음악학의 시원 / ▼d 김춘미 저.
260 ▼a 서울 : ▼b 음악춘추사 , ▼c 1995.
300 ▼a 357 p. : ▼b 도표,악보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336-345
504 ▼a 색인 수록
950 0 ▼b \16,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1 1995 등록번호 1510296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춘미(지은이)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초대 소장. 한국음악학학회 회장. 학술진행재단 프로그램 매니저,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 운영위원, 한국음악협회 국제교류분과위원, TAC 예술감독을 지냈다. 현재 모임 '오작' 대표,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발행인을 맡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근대음악학의 형성과정과 음악학의 시원

 1. 1977년-1885년 = 2

 2. 1886년-1910년 = 5

 3. 1910년-1930년 = 9

 4. 2차대전 이후 = 11

 5. 음악학의 시원으로 다시 돌아와서 = 26

Ⅱ. 음악학의 시조 피타고라스

 1. 피타고라스 = 31

 2. 피타고라스 구파와 신파 = 32

 3. 피타고라스 학파의 정신세계와 생활양식 = 33

 4. 피타고라스 학파의 형이상학과 수학 = 34

 5. 피타고라스 수학과 음악 = 36

  5-1. 홀수와 짝수에 관하여 = 37

  5-2. 완전수와 친화수 = 38

  5-3. 삼각수와 사각수 = 40

  5-4. 유리수와 무리수, 그리고 비(ratio) = 47

  5-5. 피타고라스 음계와 비(比, ratio) = 51

  5-6. 피타고라스 음계와 순정조 = 59

Ⅲ. 플라톤의 「국가」와 음악

 1. 플라톤 = 67

 2. 플라톤의 저작 = 70

 3. 플라톤 음악관의 사상적 기본전제 = 74

  3-1. 플라톤의 영혼론 = 75

  3-2. 플라톤의 이데아론 = 78

  3-3. 플라톤이 도덕성, 그리고 에토스론 = 82

 4. 플라톤의 「국가」와 음악 = 85

Ⅳ.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와 음악

 1. 「티마이오스」 = 107

 2. 「티마이오스」에 드러난 플라톤의 기본입장 = 111

 3. 「티마이오스」에 나타난 우주의 형태와 영혼 = 114

  3-1. 「티마이오스」가 말하는 우주의 신체 및 형태 = 114

  3-2. 「티마이오스」가 말하는 우주의 영혼 = 123

 4. 「티마이오스」에 나타난 우주의 형태와 영혼, 그리고 음악 = 132

Ⅴ.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음악

 1. 아리스토텔레스 = 139

 2.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 142

 3. 아리스토텔레스 음악론의 사상적 기본 전제 = 146

  3-1.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eidos)와 질료(hyle) = 146

  3-2.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 = 150

  3-3.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 159

 4.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속에 설정된 음악의 위치 = 161

 5.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음악 = 168

Ⅵ. 아리스토크세누스와 그의 하모니론(Elements of Harmony)

 1. 아리스토크세누스 = 211

 2. Elements of Harmony, 제1권 = 214

  2-1. 음악적 소리 = 215

  2-2. 긴장, 이완, 높이, 깊이, 음높이 = 218

  2-3. 음, 음정, 테트라코드의 종류, 음계 = 222

  2-4. 지속과 연속 = 241

 3. Elements of Harmony, 제2권 = 243

  3-1. 현실비판과 음지각의 중요성 = 244

  3-2. 하모니 과학의 7개 부분 = 249

  3-3. 기보, 음계, 악기, 선법, 음이름, 협화와 불협화의 문제들 = 252

 4. Elements of Harmony, 제3권 = 265

 5. 아리스토크세누스 = 271

Ⅶ. 아리스토크세누스의 리듬론(Elementa Rythmica)

 1. 리듬과 리드미쪼메논 = 276

 2. 리드미쪼메논의 갈래와 시간의 나뉨 = 281

 3. 리드모포이아, 복합·비복합·혼합적 시간 = 285

 4. 음보의 정의 및 이성·비이성적 음보 = 292

 5. 음보의 분류방법 = 299

Ⅷ. 유클리드의 Sectio Canonis

 1. 유클리드 = 309

 2. Sectio Canonis 개관 = 312

 3. Sectio Canonis의 20명제와 그 증명의 이해 = 316

참고문헌 = 33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