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근대음악학의 형성과정과 음악학의 시원
1. 1977년-1885년 = 2
2. 1886년-1910년 = 5
3. 1910년-1930년 = 9
4. 2차대전 이후 = 11
5. 음악학의 시원으로 다시 돌아와서 = 26
Ⅱ. 음악학의 시조 피타고라스
1. 피타고라스 = 31
2. 피타고라스 구파와 신파 = 32
3. 피타고라스 학파의 정신세계와 생활양식 = 33
4. 피타고라스 학파의 형이상학과 수학 = 34
5. 피타고라스 수학과 음악 = 36
5-1. 홀수와 짝수에 관하여 = 37
5-2. 완전수와 친화수 = 38
5-3. 삼각수와 사각수 = 40
5-4. 유리수와 무리수, 그리고 비(ratio) = 47
5-5. 피타고라스 음계와 비(比, ratio) = 51
5-6. 피타고라스 음계와 순정조 = 59
Ⅲ. 플라톤의 「국가」와 음악
1. 플라톤 = 67
2. 플라톤의 저작 = 70
3. 플라톤 음악관의 사상적 기본전제 = 74
3-1. 플라톤의 영혼론 = 75
3-2. 플라톤의 이데아론 = 78
3-3. 플라톤이 도덕성, 그리고 에토스론 = 82
4. 플라톤의 「국가」와 음악 = 85
Ⅳ.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와 음악
1. 「티마이오스」 = 107
2. 「티마이오스」에 드러난 플라톤의 기본입장 = 111
3. 「티마이오스」에 나타난 우주의 형태와 영혼 = 114
3-1. 「티마이오스」가 말하는 우주의 신체 및 형태 = 114
3-2. 「티마이오스」가 말하는 우주의 영혼 = 123
4. 「티마이오스」에 나타난 우주의 형태와 영혼, 그리고 음악 = 132
Ⅴ.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음악
1. 아리스토텔레스 = 139
2.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 142
3. 아리스토텔레스 음악론의 사상적 기본 전제 = 146
3-1.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eidos)와 질료(hyle) = 146
3-2.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 = 150
3-3.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 159
4.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속에 설정된 음악의 위치 = 161
5.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음악 = 168
Ⅵ. 아리스토크세누스와 그의 하모니론(Elements of Harmony)
1. 아리스토크세누스 = 211
2. Elements of Harmony, 제1권 = 214
2-1. 음악적 소리 = 215
2-2. 긴장, 이완, 높이, 깊이, 음높이 = 218
2-3. 음, 음정, 테트라코드의 종류, 음계 = 222
2-4. 지속과 연속 = 241
3. Elements of Harmony, 제2권 = 243
3-1. 현실비판과 음지각의 중요성 = 244
3-2. 하모니 과학의 7개 부분 = 249
3-3. 기보, 음계, 악기, 선법, 음이름, 협화와 불협화의 문제들 = 252
4. Elements of Harmony, 제3권 = 265
5. 아리스토크세누스 = 271
Ⅶ. 아리스토크세누스의 리듬론(Elementa Rythmica)
1. 리듬과 리드미쪼메논 = 276
2. 리드미쪼메논의 갈래와 시간의 나뉨 = 281
3. 리드모포이아, 복합·비복합·혼합적 시간 = 285
4. 음보의 정의 및 이성·비이성적 음보 = 292
5. 음보의 분류방법 = 299
Ⅷ. 유클리드의 Sectio Canonis
1. 유클리드 = 309
2. Sectio Canonis 개관 = 312
3. Sectio Canonis의 20명제와 그 증명의 이해 = 316
참고문헌 =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