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
제Ⅰ부 敎育行政學 序說
제1장 敎育行政 槪說 = 13
1. 敎育行政의 槪念 = 15
2. 敎育行政의 職務 = 29
3. 敎育行政과 敎育指導性 = 36
4. 敎育行政職의 專門化 = 42
5. 敎育行政의 規範과 原理 = 49
제2장 敎育行政學의 學問的 性格 = 55
1. 學問의 要件 = 57
2. 理論과 模型 = 59
3. 敎育行政學의 硏究範圍 = 72
4. 敎育行政學의 硏究方法 = 76
5. 敎育行政學의 學問的 性格 = 88
제3장 敎育行政學 理論의 發達 = 91
1. 古典的 組織理論 = 92
2. 人間關係論 = 110
3. 行動科學的 接近 : 理論化 運動 = 121
4. 開放體制論 : 組織과 環境 = 138
5. 政策決定論 = 155
6. 새로운 動向 = 159
제Ⅱ부 敎育政策과 制度
제4장 敎育政策論 = 173
1. 敎育政策의 槪念 = 175
2. 政策形成에 관한 諸理論 = 180
3. 敎育政策形成에 影響을 주는 諸變因 = 198
4. 敎育政策形成過程 模型 = 209
제5장 敎育制度論 = 213
1. 敎育理念과 敎育制度 = 214
2. 敎育制度의 原理 = 226
3. 學校制度 = 235
4. 우리나라 學制變遷過程 = 247
5. 學制論議의 焦點 = 255
6. 學制發展의 方向 = 258
7. 學校外 敎育制度 = 259
제Ⅲ부 敎育行政 및 經營의 過程
제6장 敎育企劃論 = 265
1. 敎育企劃의 槪念 = 266
2. 敎育企劃의 接近方法 = 271
3. 敎育計劃의 類型 = 280
4. 敎育企劃의 原則과 過程 = 284
5. 未來豫測 技法 = 295
6. 企劃의 效用性과 限界 = 300
제7장 敎育組織論 = 303
1. 組織의 槪念 = 304
2. 組織의 原理 = 309
3. 組織의 類型 = 315
4. 組織文化, 組織風土 및 組織發展 = 321
5. 組織健康 = 330
6. 敎育行政組織 = 334
7. 社會體制로서의 學校組織 = 343
제8장 敎育人事行政論 = 348
1. 敎育人事行政의 槪念 = 349
2. 採用 = 358
3. 能力 開發 = 364
4. 士氣 = 375
제9장 意思疏通論 = 393
1. 意思疏通의 槪念 = 395
2. 意思疏通의 類型 = 398
3. 意思疏通의 模型 = 405
4. 意思疏通의 理論 = 412
5. 意思疏通의 改善 = 418
제10장 敎育財政論 = 423
1. 敎育財政의 槪念 = 424
2. 敎育豫算의 意義와 原則 = 433
3. 敎育豫算의 種類와 分類 = 436
4. 敎育豫算의 過程 = 440
5. 敎育財源 = 447
6. 豫算管理技法 = 453
제11장 敎育行政評價論 = 463
1. 評價의 槪念 = 465
2. 敎育體制의 評價基準 = 467
3. 敎育行政의 評價 = 473
4. 計劃의 評價 = 476
5. 過程 및 産出의 評價 = 483
제Ⅳ부 學校經營管理
제12장 學校行政家의 課業 = 495
1. 組織發展과 維持 = 496
2. 敎育課程과 授業의 管理 = 501
3. 敎職員人事 = 506
4. 學生人事 = 510
5. 敎育財政과 經營管理 = 513
6. 學校施設管理 = 517
7. 學校와 地域社會의 關係 = 520
8. 評價·硏究·責務性 = 524
제13장 學校經營論 = 530
1. 學校經營의 槪念 = 532
2. 學校經營의 企劃 = 536
3. 學校經營의 實踐 = 545
4. 學校經營의 評價 = 554
5. 學校經營의 展望 = 563
제14장 學級經營論 = 568
1. 學級經營過程 = 569
2. 學級環境管理 = 582
3. 學級의 事務管理 = 594
제15장 敎育指導性 = 617
1. 指導性의 槪念 = 618
2. 指導性에 관한 理論 : 指導性 硏究에 대한 諸接近 = 620
3. 敎育指導性 = 651
제16장 奬學論 = 658
1. 奬學의 槪念 = 659
2. 奬學의 發達 = 667
3. 奬學의 類型 = 670
4. 奬學擔當者 = 683
參考文獻 = 695
索引 = 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