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32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936607 | |
005 | 20100807122127 | |
007 | ta | |
008 | 960509s1995 ulkfg 001a kor | |
020 | ▼a 8935630489 ▼g 94670 : ▼c \30,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9 | 0 | ▼l 151028656 ▼l 151028655 |
082 | 0 4 | ▼a 780.9519 ▼2 21 |
090 | ▼a 780.953 ▼b 1995b ▼c 1 | |
100 | 1 | ▼a 노동은 |
245 | 1 0 | ▼a 한국근대음악사. ▼n 1 / ▼d 노동은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길사 , ▼c 1995. | |
300 | ▼a 814 p. : ▼b 도판, 악보 ; ▼c 24 cm. | |
440 | 0 0 | ▼a 한길문학예술총서 ; ▼v 15 |
504 | ▼a 참고문헌 : p.745-757 | |
504 | ▼a 찾아보기수록 | |
950 | 0 | ▼b \30,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1995b 1 | Accession No. 15102865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노동은(지은이)
1946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나 한양대 음대, 연세대 대학원을 마쳤고, 목원대 관현악과 교수와 음대 학장을 거쳐 1999년부터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하였다. 한국음악학회 회장,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음악연구소 소장, 정율성국제음악제 조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2016년 12월 2일 지병으로 타계하였다. 한국 근현대 음악 관련 30여 권의 단행본과 400여 편의 논문을 남겼으며 항일음악과 친일음악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업적을 쌓았다. 2004년 ‘한국의 미래를 열어갈 100인’으로 선정되었으며, 단재학술상(1996)·녹조근정훈장(2011)·KBS국악대상 특별공로상(2012)·박헌봉 국악상(2015)을 수상했다. 주요 저작으로 <한국영아음악연구>, <한국민족음악현단계>, <김순남 그 삶과 예술>, <한국근대음악사1>, <노동은의 음악상자>, <한국근대음악사론>, <지영희평전>, <항일음악 330곡집>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근대음악사』제1권을 내면서 = 35 제1장 한국음악사의 인식과 과제 = 51 1. 한국음악의 역사인식 = 51 2. 시대구분 = 65 제2장 근대음악사의 전기 전개 = 69 1. 근대음악사의 전기 개관 = 69 1) 음악사회의 변화 = 69 2) 근대 전기의 시기별 구분과 전개상황 = 71 3) 19세기 사회상황 = 72 가. 사회경제적 상황 = 72 나. 외세의 침략과 조선의 대응 = 84 2. 근대음악 사회의 구성 = 88 1) 기층민중들의 음악 = 92 2) 신청과 음악예술인 = 128 가. 구성·명칭·조직 = 129 나. 신청의 음·악 세계 = 137 나-1. 삶의 날과 세계관 = 139 나-2. 삶의 씨와 세계관 = 145 나-3. 음·악의 특징 = 149 나-3.1 신청 음·악의 대중화 = 149 나-3.2 신청의 음·악교육 = 154 나-3.3 음악 기학으로서 신청음악-한국 민악의 기화성 = 156 나-4. 살의 풀이로서 신청 음·악 = 164 다. 신청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 = 170 3) 예인집단과 음악예술인 = 175 가. 떠돌이 예인집단 = 178 가-1. 사당패 = 182 가-2. 초라니패 = 187 가-3. 솟대쟁이패 = 188 가-4. 걸립패 = 191 가-5. 중매구패 = 193 가-6. 광대패 = 193 가-7. 대광대패 = 197 가-8. 무동패 = 199 가-9. 얘기장사 = 199 가-10. 풍각장이패 = 200 가-11. 남사당패 = 203 가-12. 굿중패 = 212 나. 붙박이 예인집단 = 213 4) 악단의 음·악 = 225 가. 정치/성(性)·정(情)/성(聲)·음(音)·악(樂) = 227 나. 국가 기관의 아악 = 244 나-1. 예악의 제도화와 미학성 = 244 나-2. 정부 음·악기관의 조직화 = 272 나-2.1. 장악원 = 272 나-2.2. 중앙군영 = 277 나-2.3. 지방관아와 병영 = 290 다. 기회 = 296 라. 악회 = 304 마. 시회 = 308 제3장 근대 전기: 제1기 음악 = 315 1. 근대전기: 제1기 민족음악사회의 전개 = 315 2. 기층민중들의 새로운 음악전개 = 323 1) 음악의 새로운 인식 = 323 2) 음악인들의 신분성 해방 기획 = 328 3) 민악의 예술적 기반확립과 아악의 민간화 = 334 4) 민중 예술인들의 새로운 역사 평가 = 338 3. 제국주의의 침략과 민족이의 음악대응 = 340 1) 동학가사 = 341 2) 유교가사 = 344 3) 신재효의 단가「괘심하다 서양되놈」 = 345 4) 서양음악의 수용 = 346 가. 개신악학자들의 자주적 양악 수용 = 346 나. 천주교의 양악문화 수용 = 363 5) 최한기 음·악 기학론 = 369 제4장 근대전기: 제2기 음악 = 375 1. 근대전기: 제2기의 시기구분과 성격 = 375 2. 근대화의 두 가지 방법 = 378 3. 서양음악의 사회화 = 384 1) 서양식 악대발달 = 384 가. 청국 주도의 나팔수 양성 = 387 나. 이은돌과 개화당이 주도한 나팔수 양성 = 391 다. 제2기 군제에서 악대 발달 상황 = 394 2) 교회-학교를 통한 서양음악소통 = 398 3) 서양음악문화의 교류 = 405 4. 조선음악의 근대 대응 = 408 1) 민중들의 두레 풍물과 노래 = 409 2) 신청과 예인집단 = 411 3) 시회와 아악권 = 414 4) 삼현육각 음악의 일반화 = 416 5) 민족음악양식의 새로운 발전-산조의 출현 = 425 제5장 근대전기: 제3기 음악 = 453 1. 근대전기: 제3기의 시기구분과 성격 = 453 2.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의 음악 = 457 3. 왕권 강화와 군악대·곡호대 강화 = 478 1) 악대 직제 개편과 군악 교사 프란츠 에케르트 = 478 2) 대한제국의 상징, 국가 제정 = 494 3) 군가 보급의 대중화 = 498 4. 민간 '애국가'의 제정 운동 = 500 5. 민족음악의 새로운 발전 = 504 1) 상설 무대화 = 505 2) 민족음악 형식의 새로운 발전과 수용 = 508 3) 협률사 조직 활동과 판소리의 창극화 = 509 가. 궁내부 소속 협률사 = 509 나. 민간 협률사 = 518 제6장 근대전기: 제4기 음악(상) = 523 1. 근대전기: 제4기의 시기구분과 성격 = 523 2. 음악의 식민지 위기 = 527 1) 제도개편 = 528 2) 군악대와 곡호대 직제 변경 = 536 3) 음악예술인들의 사회화 = 543 4) 식민지 전진기지로서 학교음악교육의 구축 = 568 가. 통감부의 제1차·제2차 학교령 시행과 음악교과 = 570 나. 제1, 2차 통감부 학교령과 음악 교과목의 성격 = 588 나-1. '창가'·'음악'·'국악'의 의미 = 589 나-2. 음악 교과 목표의 성격 = 599 나-3. 음악 교과 도서의 성격 = 603 제7장 근대전기: 제4기 음악(하) = 637 1. 근대 전기: 제4기의 음악 사회 개관 = 637 1) 근대 전기: 제4기의 음악사회 = 639 가. 학교와 교회 = 640 나. 양악 음악회의 일반화 = 647 다. 축음기 문화 형성 = 655 라. 전통 음악 공간 = 664 2) 일본 통감부의 통제 = 670 2. 민족음악으로서의 국권회복운동 = 672 1) 음악 사회 비판 = 672 2) 노래운동 = 679 가. 항일의병노래 = 681 나. 계몽운동노래 = 686 나-1. 배움과 운동노래 = 689 나-2. 계몽노래 = 704 다. 친일비판의 노래 = 722 라. 봉건타파의 노래 = 733 3) 음악운동 = 737 참고문헌 = 745 노동은의 글·저서 목록 = 758 찾아보기(1) 1. 표 찾아보기 = 777 2. 악보 찾아보기 = 779 3. 사진 찾아보기 = 781 4. 그림 찾아보기 = 783 찾아보기(2) 1. 용어 찾아보기 = 787 2. 사람이름 찾아보기 = 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