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개념

언어개념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Pike, Kenneth L. 주신자 신현숙
Title Statement
언어개념 / Kenneth L. Pike 지음 ; 주신자 ; 신현숙 [공]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   1994.  
Physical Medium
182 p. ; 23 cm.
Varied Title
Linguistic concepts
ISBN
897735075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167-172)과 찾아보기 수록
000 00720camccc200265 k 4500
001 000000933372
005 20100807120330
007 ta
008 951229s1994 ulk 001a kor
020 ▼a 8977350751 ▼g 93740 : ▼c \6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1 1 ▼a kor ▼h eng
049 0 ▼l 151024626 ▼l 151024627
082 0 4 ▼a 410 ▼2 21
090 ▼a 410 ▼b 1994d
100 1 ▼a Pike, Kenneth L.
245 1 0 ▼a 언어개념 / ▼d Kenneth L. Pike 지음 ; ▼e 주신자 ; ▼e 신현숙 [공] 옮김.
246 1 9 ▼a Linguistic concepts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1994.
300 ▼a 18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167-172)과 찾아보기 수록
700 1 ▼a 주신자
700 1 ▼a 신현숙
950 0 ▼b \6,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10 1994d Accession No. 1510246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410 1994d Accession No. 1510246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KENNETH L.PIKE(지은이)

<언어개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말 = ⅲ
지은이의 말 = ⅴ
머리말 = ⅷ
Ⅰ부 관찰자와 물체
 Ⅰ부에 대한 개론 = 1
  1장 이론 = 2
   1.1. 이론의 가치 = 2
   1.2. 이론의 약점 = 4
   1.3. 이론의 선택 = 5
  2장 문법소론의 개관 = 8
   2.1. 서술을 뒷받침하는 확신 = 8
   2.2. 관점의 상호보완성 = 10
   2.3. 알려진 것으로의 단위 = 12
   2.4. 맞물린 계층들의 계층 = 13
   2.5. 관련된 것으로의 맥락 = 16
  3장 입자 = 20
   3.1. "물체"로 보는 물체와 비물체 = 20
   3.2. 언어의 입자 = 22
   3.3. 선과 공간 순서상의 입자 = 26
  4장 파동 = 27
   4.1. 연속된 음의 합병 = 27
   4.2. 파동의 핵과 주변 = 29
   4.3. 파동의 종류 = 30
  5장 장 = 33
   5.1. 맥락 관계로 결정되는 단위 = 34
   5.2. 차원형으로 나타낸 음 = 35
   5.3. 차원형으로 나타낸 절 = 39
   5.4. 장 구조로 본 시 = 40
   5.5. 언어적 실마리 = 42
Ⅱ부 단위
 Ⅱ부에 대한 개론 = 45
  6장 대조와 확인 = 45
   6.1. 장속에서의 대조와 유사성을 통한 인지 = 45
   6.2. 대조를 위한 배합 = 47
   6.3. 맥락틀에서의 대조 = 49
   6.4. 행렬로 본 대조 = 54
   6.5. 언어의미의 대조와 행동의 대조 = 55
  7장 변이 = 57
   7.1.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시적으로 동일한 본체 = 58
   7.2. 발음의 변화 = 61
   7.3. 문법의 변화 = 62
   7.4. 불확정한 분절 = 65
  8장 분포 = 68
   8.1. 개체성에 관련된 단위의 분포 = 68
   8.2. 치환류의 일원으로서의 분포 = 70
   8.3. 구조 순서의 한 부분으로서의 분포 = 71
   8.4. 체계의 한 점으로서의 분포 = 74
Ⅲ부 계층
 Ⅲ부에 대한 개론 = 77
  9장 문법 계층 = 78
   9.1. 복합성에 대한 심리적 제약 = 78
   9.2. 문법구조 층위의 역할과 그에 따른 의미적 상관성 = 80
   9.3. 행동 영향을 공유하는, etic 혹은 emic 계층 층위의 쌍 = 81
   9.4. 화맥 단위 (문법소) = 84
   9.5. 화맥 단위의 도형과 형태 = 89
  10장 음운 계층 = 97
   10.1. 공동경계가 없는 음운 계층과 문법 계층 = 97
   10.2. 층위 쌍에 대한 상관성 기준 = 98
   10.3. 초점 관심의 제약 = 99
   10.4. 용어 이믹(emic)과 에딕(etic)의 근원 = 100
   10.5. 동시적 자질-어디에서 멈출 것인가? = 101
   10.6. 음운 단위의 파동 특징 = 103
   10.7. 억양을 통해 본 음운론의 장 특성 = 107
  11장 지시 계층 = 116
   11.1. 지시 계층의 층위 = 116
   11.2. 지시 문법소 = 120
   11.3. 지시적 말하기 공간의 표현에 있어서 몇 가지 다른 문법·음운 형태 = 125
   11.4. 참고기준에 관련된 현실 대 문법형태 = 126
Ⅳ부 맥락
 Ⅳ부에 대한 개론 = 131
  12장 형식과 의미 = 133
   12.1. 단위 속에 있는 물리적 성분에 본질적으로 묶여 있는 의미 = 133
   12.2. 동시에 세 계층의 형식을 표현하는 실질로서 계층적으로 확장된 어휘목록 = 134
   12.3. 계층상 교차하는 형식과 의미의 초점을 통한 유머 = 138
   12.4. 시에서 맞물리는 형식과 의미 = 139
  13장 변화의 선행조건으로서의 공유 = 142
   13.1. 입자 공유를 수반하는 변화 = 143
   13.2. 파동 구성요소의 공유를 수반하는 변화 = 144
   13.3. 장 구성요소의 공유를 수반하는 변화 = 148
  14장 담화우주 = 152
   14.1. 화자-청자 상호작용 안에서의 일관성 부족 = 153
   14.2. 다른 사람이 본 현실과 화자의 일관성 실패 = 156
   14.3. 언어학습에 있어서 행동적 보편소 = 158
   14.4. 왜 번역이 가능한가 = 159
   14.5. 시는 담화우주의 신호법을 집약시킬 수 있다. = 164
   14.6. 결론 : 맥락 안에서의 화맥단위 = 165
참고문헌 = 167
찾아보기(한국어) = 173
찾아보기(영어) = 17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