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말 = ⅲ
지은이의 말 = ⅴ
머리말 = ⅷ
Ⅰ부 관찰자와 물체
Ⅰ부에 대한 개론 = 1
1장 이론 = 2
1.1. 이론의 가치 = 2
1.2. 이론의 약점 = 4
1.3. 이론의 선택 = 5
2장 문법소론의 개관 = 8
2.1. 서술을 뒷받침하는 확신 = 8
2.2. 관점의 상호보완성 = 10
2.3. 알려진 것으로의 단위 = 12
2.4. 맞물린 계층들의 계층 = 13
2.5. 관련된 것으로의 맥락 = 16
3장 입자 = 20
3.1. "물체"로 보는 물체와 비물체 = 20
3.2. 언어의 입자 = 22
3.3. 선과 공간 순서상의 입자 = 26
4장 파동 = 27
4.1. 연속된 음의 합병 = 27
4.2. 파동의 핵과 주변 = 29
4.3. 파동의 종류 = 30
5장 장 = 33
5.1. 맥락 관계로 결정되는 단위 = 34
5.2. 차원형으로 나타낸 음 = 35
5.3. 차원형으로 나타낸 절 = 39
5.4. 장 구조로 본 시 = 40
5.5. 언어적 실마리 = 42
Ⅱ부 단위
Ⅱ부에 대한 개론 = 45
6장 대조와 확인 = 45
6.1. 장속에서의 대조와 유사성을 통한 인지 = 45
6.2. 대조를 위한 배합 = 47
6.3. 맥락틀에서의 대조 = 49
6.4. 행렬로 본 대조 = 54
6.5. 언어의미의 대조와 행동의 대조 = 55
7장 변이 = 57
7.1.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시적으로 동일한 본체 = 58
7.2. 발음의 변화 = 61
7.3. 문법의 변화 = 62
7.4. 불확정한 분절 = 65
8장 분포 = 68
8.1. 개체성에 관련된 단위의 분포 = 68
8.2. 치환류의 일원으로서의 분포 = 70
8.3. 구조 순서의 한 부분으로서의 분포 = 71
8.4. 체계의 한 점으로서의 분포 = 74
Ⅲ부 계층
Ⅲ부에 대한 개론 = 77
9장 문법 계층 = 78
9.1. 복합성에 대한 심리적 제약 = 78
9.2. 문법구조 층위의 역할과 그에 따른 의미적 상관성 = 80
9.3. 행동 영향을 공유하는, etic 혹은 emic 계층 층위의 쌍 = 81
9.4. 화맥 단위 (문법소) = 84
9.5. 화맥 단위의 도형과 형태 = 89
10장 음운 계층 = 97
10.1. 공동경계가 없는 음운 계층과 문법 계층 = 97
10.2. 층위 쌍에 대한 상관성 기준 = 98
10.3. 초점 관심의 제약 = 99
10.4. 용어 이믹(emic)과 에딕(etic)의 근원 = 100
10.5. 동시적 자질-어디에서 멈출 것인가? = 101
10.6. 음운 단위의 파동 특징 = 103
10.7. 억양을 통해 본 음운론의 장 특성 = 107
11장 지시 계층 = 116
11.1. 지시 계층의 층위 = 116
11.2. 지시 문법소 = 120
11.3. 지시적 말하기 공간의 표현에 있어서 몇 가지 다른 문법·음운 형태 = 125
11.4. 참고기준에 관련된 현실 대 문법형태 = 126
Ⅳ부 맥락
Ⅳ부에 대한 개론 = 131
12장 형식과 의미 = 133
12.1. 단위 속에 있는 물리적 성분에 본질적으로 묶여 있는 의미 = 133
12.2. 동시에 세 계층의 형식을 표현하는 실질로서 계층적으로 확장된 어휘목록 = 134
12.3. 계층상 교차하는 형식과 의미의 초점을 통한 유머 = 138
12.4. 시에서 맞물리는 형식과 의미 = 139
13장 변화의 선행조건으로서의 공유 = 142
13.1. 입자 공유를 수반하는 변화 = 143
13.2. 파동 구성요소의 공유를 수반하는 변화 = 144
13.3. 장 구성요소의 공유를 수반하는 변화 = 148
14장 담화우주 = 152
14.1. 화자-청자 상호작용 안에서의 일관성 부족 = 153
14.2. 다른 사람이 본 현실과 화자의 일관성 실패 = 156
14.3. 언어학습에 있어서 행동적 보편소 = 158
14.4. 왜 번역이 가능한가 = 159
14.5. 시는 담화우주의 신호법을 집약시킬 수 있다. = 164
14.6. 결론 : 맥락 안에서의 화맥단위 = 165
참고문헌 = 167
찾아보기(한국어) = 173
찾아보기(영어) =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