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序論 = 15
1. 연구의 정의 : 國學으로서의 歷事地理論 = 15
2. 연구의 주제와 방법론 = 16
1) 文化的 適應 = 17
2) 生能系 = 19
3) 制度的 要因 = 20
3. 연구내용의 개요 = 21
제2장 分析의 理論的 基礎 = 23
1. 歷事地理論의 정의 = 23
2. 歷事地理論의 제반유형 = 25
3. 기존 이론의 주요내용 = 29
1) 人口基礎理論 = 30
2) 技術基礎理論 = 31
3) 市場基礎理論 = 33
4) 기존 이론의 비판적 검토 = 34
4. 새로운 모색 : 文化生能理論 = 37
5. 文化生能理論의 용어와 개념 = 38
1) 地域人間生能系 = 38
2) 文化的 適應 = 39
6. 生能的 地帶의 구분 = 42
1) 湖南平野의 자연환경 = 42
2) 生能的 地帶區分 : 고지대와 저지대 = 46
7. 文化的 適應의 시기구분 = 50
제3장 前産業時期 = 55
1. 人口趨勢의 공간적 차이 = 55
1) 인구성장률의 차이 : 고지대와 저지대 = 56
2) 인구밀도 = 56
3) 家口의 평균규모 = 59
4) 性比 = 60
2. 制度的 要因 = 61
1) 小作制度와 市場制度 = 62
2) 兩班의 集姓村 = 63
3) 兩班集姓村의 사례 : 金堤 趙氏 = 66
4) 저지대의 제도적 제약 = 70
3. 都市와 農村의 定期市 = 72
1) 행정구역의 공간조직 = 72
2) 全州府의 도시형태 = 73
3) 金堤의 邑聚落形態 = 79
4) 交通路와 結節點의 공간적 구성 = 81
5) 場市와 都市의 공간적 구성 = 83
6) 中心地階層의 공간적 구성 = 85
7) 시장경제의 발달과 水田農業의 상업화 = 86
4. 水田農業과 旱田農業의 발달 = 88
1) 고지대의 灌漑施設 : 샘과 堤堰 = 88
2) 저지대의 灌漑施設 : 洑와 溝渠 = 89
3) 堤堰과 洑의 修築과 管理 = 91
4) 저지대의 灌漑改善傾向 = 92
5) 水田農業生産力의 정체 = 95
6) 旱田農業生産力의 발전 = 96
5. 結論 = 98
제4장 準産業時期 = 99
1. 人口趨勢의 공간적 차이 = 99
1) 인구변천 : 높은 출생률과 낮아지는 사망률 = 100
2) 인구증가율 : 저지대와 고지대 = 101
3) 인구밀도, 가구평균규모, 性比 = 104
2. 制度的 要因 = 105
1) 土地所有制度와 小作制度 = 106
2) 저지대의 일본인 地主와 小作制度 = 109
3) 小作制度가 농업활동에 가한 제약 = 111
4) 고지대의 조선인 양반 = 112
3. 都市와 農村의 市場 = 114
1) 행정구역의 식민지적 개편 = 114
2) 湖南線 개통 이전의 일본인 유입경로 = 115
3) 湖南線 개통 이후의 식민지도시 성장 = 117
4) 中心地階層의 분류체계에 대한 재검토 = 118
5) 定期市의 공간적 분포와 중심지의 계층구성 = 119
6) 유통의 식민지적 공간구성의 형성 = 122
7) 교통발달의 4단계설의 재해석 = 123
8) 공간의 이중구조와 사회의식의 이중구조 = 125
9) 식민지적 도시형태의 발달 = 126
10) 시장경제의 발달과 쌀의 상품화 = 132
4. 灌漑의 개선과 水田農業의 발달 = 135
1) 灌漑와 排水의 근대적 조직과 기술 = 135
2) 萬頃江 유역에 있어서 灌漑와 排水의 개선 = 137
3) 東陳江 유역에 있어서 灌漑와 排水의 개선 = 143
4) 海岸平地의 干拓과 水田의 開墾 = 149
5) 저지대에 있어서 水田農業技術의 진보 = 151
6) 저지대에 있어서 水田農業의 집약화 과정 = 152
7) 고지대에 있어서 旱田農業의 발달 = 154
5. 結論 = 155
제5장 産業時期 = 157
1. 人口趨勢의 공간적 차이 = 157
1) 인구변천 : 감소하는 출생률과 사망률 = 158
2) 인구감소율의 공간적 차이 : 都市地帶와 農村地帶 = 159
3) 인구밀도, 가구평균규모, 性比 = 161
2. 制度的 要因 = 162
1) 토지개혁 = 162
2) 대도시중심의 산업화 우선정책 = 164
3) 교육중심지로서의 대도시 = 165
4) 산업도시형태의 발달 = 167
3. 都市와 農村의 市場 = 172
1) 행정구역의 공간조직 = 172
2) 中心地階層의 분류체계의 관한 재검토 = 173
3) 中心地階層의 수직적 통합과정 = 173
4) 자동차교통의 발달과 旱田農業의 상업화 = 175
5) 식민지적 物流體系의 개편 = 178
4. 水田農業과 旱田農業의 발달 = 179
1) 물管理의 산업화 = 180
2) 水田農業의 탈집약화 과정 = 183
3) 旱田農業의 특화와 농업활동의 다양화 = 184
5. 結論 = 185
제6장 結論 = 187
參考文獻 = 197
색인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