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Loan 28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우철구, 편 박건영, 편 김태현, 저 김우상, 저 백창재, 저 류석진, 저 최진우, 저 남궁곤, 저 최영종, 저 이호철, 저 정진영, 저 진재성, 저 신욱희, 저 구갑우, 저 강윤희, 저 강정인, 저
Title Statement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 우철구, 박건영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사회평론,   2004   (2016 10쇄)  
Physical Medium
632 p. ; 24 cm
Series Statement
국제관계학총서 ;1
ISBN
8956023913 9791185617336
General Note
필자: 우철구, 박건영, 김태현, 김우상, 백창재, 류석진, 최진우, 남궁곤, 최영종, 이호철, 정진영, 진재성, 신욱희, 구갑우, 강윤희, 강정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00885301
005 20180116102843
007 ta
008 040622s2004 ulk b 000c kor
020 ▼a 8956023913 ▼g 03340
020 ▼a 9791185617336 ▼g 03340
035 ▼a KRIC09258224
040 ▼a 245011 ▼c 245011 ▼d 245011 ▼d 211009 ▼d 244002 ▼d 211009
049 1 ▼l 111288211 ▼l 111288212
082 0 4 ▼a 327.519 ▼2 23
085 ▼a 327.53 ▼2 DDCK
090 ▼a 327.53 ▼b 2004d
245 0 0 ▼a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 ▼d 우철구, ▼e 박건영 편
246 1 1 ▼a Contemporary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Korea
260 ▼a 서울 : ▼b 사회평론, ▼c 2004 ▼g (2016 10쇄)
300 ▼a 632 p. ; ▼c 24 cm
440 0 0 ▼a 국제관계학총서 ; ▼v 1
500 ▼a 필자: 우철구, 박건영, 김태현, 김우상, 백창재, 류석진, 최진우, 남궁곤, 최영종, 이호철, 정진영, 진재성, 신욱희, 구갑우, 강윤희, 강정인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우철구, ▼e▼0 AUTH(211009)135070
700 1 ▼a 박건영, ▼e▼0 AUTH(211009)71759
700 1 ▼a 김태현, ▼e
700 1 ▼a 김우상, ▼e
700 1 ▼a 백창재, ▼e
700 1 ▼a 류석진, ▼e
700 1 ▼a 최진우, ▼e
700 1 ▼a 남궁곤, ▼e
700 1 ▼a 최영종, ▼e
700 1 ▼a 이호철, ▼e
700 1 ▼a 정진영, ▼e
700 1 ▼a 진재성, ▼e
700 1 ▼a 신욱희, ▼e
700 1 ▼a 구갑우, ▼e
700 1 ▼a 강윤희, ▼e
700 1 ▼a 강정인,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112882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117338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1178415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9-2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4103511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College Administration Office/ Call Number 사범대교학과 327.53 2004d Accession No. 111463390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6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212295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513031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112882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117338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1178415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9-2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4103511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College Administration Office/ Call Number 사범대교학과 327.53 2004d Accession No. 111463390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212295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53 2004d Accession No. 1513031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 국제관계학계의 16명의 교수들이 한국의 입장과 고민을 반영하는 국제관계 이론을 제시했다.

1,2부에서는 미국과 유럽 등 패권국 중심으로 전개됐던 세력균형이론, 세력전이이론, 억지이론, 패권안정론, 지역통합론, 외계정책결정이론, 국제제도론, 민주평화론 등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적 국제관계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다. 각각의 이론에 역사적 배경을 깊이 있게 서술하고 한국적 상황과의 관련 속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3부는 강대국의 입장을 정당화하는 현실주의를 비판하며 형성되어온 구성주의 이론, 여성주의, 문명충돌론 등의 대안적 국제관계 이론들을 검토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정인(지은이)

서울대학교 법대 졸업(1977)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정치학 박사(1987)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89-2020) 저서 : 『자유민주주의의이념적초상』(1993), 『소크라테스, 악법도법인가?』(1994),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2004),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교차와 횡단의 정치사상』(2019 : 편저) 역서 : 『플라톤의 이해』(1991), 『마키아벨리의 이해』(1993), 『홉즈의 이해』(1993), 『마르크스에 있어서 필요의 이론』(1990), 『현대 민주주의론의 경향과 쟁점』(1994 : 공역), 『로크의 이해』(1995 : 공역), 『로마사 논고』(2003 : 공역), 『군주론』(2008 : 공역)

김우상(지은이)

現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로체스터 대학 정치학 박사 歷任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 이사장 주 호주 대한민국 특명전권 대사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 특별자문관 호주 퀸즈랜드대학 명예교수(Honorary Professor)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장 숙명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텍사스 A&M 대학 정치학과 종신교수 미국 스탠퍼드 대학 후버연구소 연구원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동아일보 객원논설위원 대한민국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대한민국 공군정책자문위원 한국해로연구회 집행위원장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전문위원 대한민국 국회 입법지원위원 저서 <중견국책략 : 미·중 사이 한국의 스마트 외교> <신한국책략 III : 대한민국 중견국 외교> <신한국책략 II : 동아시아 국제관계> <신한국책략> <국제관계론 강의> I, II (공역) <동북아 질서와 미·중관계>(영문 공편) <한반도 정치와 합리적 선택>(영문 공편) 논문 <World Politic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Journal of Peace Research>,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등에 다수 게재

우철구(지은이)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제1대학 정치학 박사를 거쳤다. 저서로는 <19세기 열강과 한반도> <정치적 현실주의의 역사와 이론> 등이 있다.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07년 8월에 정년퇴임했다.

정진영(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역임. 현 경희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현대 정치경제학의 주요 이론가들』(2000) 등과 “시장개방, 구조조정, 사회적보상의 정치경제: 한국통상정치의 경우”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박건영(지은이)

1989년 University of Colorado에서 ‘카를 도이치 상(Karl Deutsch Award)’ 수상자인 스티브 챈(Steve Chan), 마이클 워드(Michael Ward) 교수의 지도하에 박사학위(“Political Economy of Rapid Development”)를 취득하고, Texas A&M University에서 알렉스 민츠(Alex Mintz) 교수와 협업하여 국제정치이론, 미국정치, 정치학 방법론 등을 가르쳤다. 이 시기 연구 성과는 Journal of Peace Research, Defence Economics, International Interactions, Asian Perspective 등에 실렸다. 1997년부터 가톨릭대학교에 부임하여 국제학부장, 국제정치경제연구센터장, 인문사회연구소장, 국제대학원장을 역임하고 국제관계이론·외교사·미중관계특강 등을 가르치며 최우수 강의상을 수상하였다. 2000년 『한반도의 국제정치』로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받았으며, 2003년에는 『동아일보』에 국제정치부문 제3세대 대표학자로 언급되었다. 2004년에는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코리아 펠로우로, 2014년에는 「미중관계와 한반도의 통일」로 UNESCO-Korea Commission(Korea Journal)의 제1회 ‘Korea Journal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그는 “자기 사회에 대한 독자적인 문제의식을 형성하지 못하거나 자기 사회의 맥락과 유리된 문제의식”을 갖게 만드는 서구의 관념적, 가치관적 지배력을 경계하면서 국제정치의 보편성 아래 구체적 시공간의 맥락을 반영하는 분석과 처방을 제시해왔다. 이러한 접근법과 문제의식은 『국제관계사: 사라예보에서 몰타까지』(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국제정치이론』(공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외교정책결정의 이해』(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조선이 한국에게 보내는 편지: 한반도의 국제정치』(사회평론아카데미, 2021)에 일관되게 반영되어 있다.

김태현(지은이)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플로리다 대학교 조교수, 일리노이 대학교 연구위원, 세종연구소 외교안보연구실장,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외교와 정치』, 『세계화 시대의 국제안보』, 『상호주의와 국제협력』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결정의 본질』, 『20년의 위기』, 『북핵위기의 전말』, 『과학적 인간과 권력정치』, 『독일통일과 유럽의 변환』(공역) 등이 있다.

신욱희(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미국 예일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삼각관계의 국제정치: 중국, 일본과 한반도』, 『한미일 삼각 안보체제: 형성, 영향, 전환』,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의미와 한계”

최진우(지은이)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 (前) 한국정치학회 회장, (前) 한국유럽학회 회장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정치학 박사 전공 분야: 국제정치, 유럽정치, 비교정치 대표 논저: “What Kind of Power is the EU? The EU’s Policies toward North Korea’s WMD Programs and the Debate about EU’s Role in the Security Arena”(2019, 공저), 「지역의 선택: 우크라이나와 몰도바의 국내정치와 지역무역협정 정책」(2018, 공저), 「하니문의 동학(動學)과 구조의 정학(靜學):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 변화와 연속성」(2018), 『다양성의 시대, 환대를 말하다: 이론, 제도, 실천』(2018, 책임편저), 『호모 쿨투랄리스, 문화적 인간과 인간적 문화』(2018, 책임편저)

최영종(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정치학 석사를, 그리고 미국 워싱턴 대학(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2003년부터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국제교류처장을 역임하였다. 한국정치학회 총무이사와 부회장을 지낸 바 있다. 그리고 현재 제60대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으로 재임 중이다. 전공분야는 지역통합, 국제제도, 국제정치경제이다. 최근의 관심사는 한중일 협력 및 지역 공동체 형성이며, 아울러 한국의 정치경제에 대한 개괄적이고 역사적이며 비교론적인 저술을 준비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단행본으로 '동아시아 지역통합과 한국의 선택'(아연출판부 2003)과 '글로벌 한국의 신외교전략'(오름 2008)이 있으며, 그 외에도 다수의 논문이 있다.

유석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Yale University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정보통신혁명과 국가주권>,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제도주의적 관점>, <세계화와 국가주권> 등이 있다.

전재성(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2019) 등이 있다.

백창재(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거쳐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미국 패권 연구』, 『미국 무역정책 연구』, 『미국 정치 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미국 사회과학의 기원 1, 2』(공역), 『미국의 자유주의 전통』(공역) 등이 있다.

남궁곤(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커네티컷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 21세기평화연구소 연구위원과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근대국제질서와 한반도』(공저, 2003),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공저, 2004),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2004),『네오콘 프로젝트』(편저, 2005),『한국 외교정책: 역사와 쟁점』(공편, 2010) 등이 있다.

이호철(지은이)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후, 미국 Rutgers Universitiy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Realpolitik Swinging Between Interdependence and Nationalism: China's Foreign Policy in the Post-Cold War Northeast Asia>, <비대칭 권력구조 하에서의 양면게임: 한국, 미국, EC간 농산물 협상 비교> 등이 있다. 2004년 현재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구갑우(지은이)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평화번영 분과위원장 前 통일부 자문위원 前 일본 릿교대학교 방문연구원

강윤희(지은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영국 Glasgow Universoto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lt;스탈린의 산업화 전략과 소련 공산당 기능의 변화, 1928-1932: 레닌그라드의 사례연구&gt;, &lt;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의 소련 공산당 세포조직의 발달-레닌그라드 공장 당세포조직을 중심으로&gt; 등이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국제관계학의 한국적 정체성 모색 / 우철구 = 9
총론 : 국제관계이론의 역사와 계보 / 박건영 = 19
1부 현실주의 국제관계이론
 세력균형이론 / 김태현 = 81
  Ⅰ. 서론 = 81
  Ⅱ. 세력균형의 의의와 관행 = 85
  Ⅲ. 세력균형의 법칙과 이론 = 89
  Ⅳ. 세력균형이론의 검증(1) : 과거 = 93
  Ⅴ. 세력균형이론의 검증(2) : 현재와 미래 = 99
  Ⅵ. 결론 : 세력균형의 정치이론을 위하여 = 104
 세력전이이론 / 김우상 = 118
  Ⅰ. 이론의 등장 배경 = 118
  Ⅱ. 핵심논지 = 123
  Ⅲ. 이론검증 및 구체적 사례 = 132
  Ⅳ. 동아시아 지역적 의미 = 136
  Ⅴ. 추가적 연구 = 141
 게임과 억지이론 / 김태현 = 153
  Ⅰ. 서론 = 153
  Ⅱ. 게임이론과 합리적 억지이론 = 157
  Ⅲ. 억지상황의 종류와 억지의 성공요건 = 165
  Ⅳ. 결론 : 억지이론의 효용과 한계 = 176
 패권안정론 / 백창재 = 190
  Ⅰ. 패권안정론의 성격 = 191
  Ⅱ. 패권안정론의 전개 = 198
  Ⅲ. 국제정치경제질서의 현실과 패권안정론 = 208
 현실주의 국제정치경제이론 / 유석진 = 221
  Ⅰ. 이론의 등장 배경과 핵심 논지 = 221
  Ⅱ. 현실주의 국제정치경제이론의 다양한 전개 = 223
  Ⅲ. 현실주의 국제정치경제이론의 적용 = 237
  Ⅳ. 한국적 의미 = 241
  Ⅴ. 한국에서의 현실주의 국제정치경제이론 동향과 연구방향 = 243
2부 자유주의 국제관계이론
 지역통합의 국제정치이론 / 최진우 = 257
  Ⅰ. 서론 = 257
  Ⅱ. 지역통합연구의 시각 : 국제정치학적 접근과 비교정치학적 관점 = 259
  Ⅲ. 유럽통합의 국제정치이론 = 262
  Ⅳ. 결론 : 지역통합이론과 한국 = 276
 외교정책결정 이론 / 남궁곤 = 291
  Ⅰ. 외교정책결정 이론의 정의 = 291
  Ⅱ. 외교정책결정 이론의 국제정치이론적 의의 = 292
  Ⅲ. 외교정책결정 이론의 등장 배경 = 296
  Ⅳ. 외교정책결정 이론의 선구자들과 이론적 계보 = 299
  Ⅴ. 외교정책결정 이론의 세분화 모델과 핵심 논지 = 307
  Ⅵ. 외교정책결정 이론의 한국적 의미 = 322
 국제제도론 / 최영종 = 332
  Ⅰ. 서론 = 332
  Ⅱ. 국제정치이론과 국제제도 = 333
  Ⅲ. 제도주의적 접근법의 흐름 = 336
  Ⅳ. 국제제도 연구의 주요 쟁점 = 343
  Ⅴ. 국제제도론의 한국적 정체성 모색 = 350
  Ⅵ. 결론 = 358
 민주평화론 / 이호철 = 368
  Ⅰ. 서론 = 368
  Ⅱ. 민주평화론의 주요내용 = 370
  Ⅲ. 민주평화론의 이론적 설명 = 374
  Ⅳ. 민주평화론에 대한 비판 = 380
  Ⅴ. 민주평화론과 국제정치이론 = 381
  Ⅵ. 민주평화론과 국제질서 = 383
 자유주의 국제정치경제이론 / 정진영 = 392
  Ⅰ. 서론 = 392
  Ⅱ. 국제관계에 대한 자유주의 이론 = 395
  Ⅲ. 국제정치경제에 대한 자유주의적 이해 = 400
  Ⅳ. 자유주의 국제정치경제이론의 적용 = 404
  Ⅴ. 결론 = 415
3부 대안적 국제관계이론
 영국의 국제사회학파 이론 / 전재성 = 433
  Ⅰ. 서론 = 433
  Ⅱ. 국제사회학파의 역사 = 435
  Ⅲ. 국제사회학파의 연구주제 및 주요 성과 = 442
  Ⅳ. 한국 국제정치학에 주는 함의 = 449
 구성주의 이론 / 신욱희 = 457
  Ⅰ. 서론 = 457
  Ⅱ. 등장 배경 = 458
  Ⅲ. 핵심 내용 = 460
  Ⅳ. 주요 사례 = 467
  Ⅴ. 동아시아적·한국적 의미 = 470
  Ⅵ. 전망과 제언 = 472
 비판적 국제관계이론 / 구갑우 = 484
  Ⅰ. 문제설정 = 484
  Ⅱ. 비판적 국제관계이론의 공통분모 = 486
  Ⅲ. 비판적 국제관계이론의 내용 = 491
  Ⅳ. 비판적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 503
  Ⅴ. 결론 = 507
 여성주의 국제관계론 / 강윤희 = 515
  Ⅰ. 서론 = 515
  Ⅱ. 여성주의 국제관계론의 등장 배경 = 516
  Ⅲ. 여성주의 국제관계론의 주요 논의 = 520
 문명충돌론 / 강정인 = 562
  Ⅰ. 서론 : 21세기 세계질서의 전망과 문명충돌론 = 562
  Ⅱ. 문명충돌론 : 새로운 이론적 대안인가? = 567
  Ⅲ. 오리엔탈리즘으로 무장한 새로운 냉전질서의 구상 = 575
  Ⅳ. 결론 = 581
 국제관계이론의 한국적 수용과 대안적 접근 / 전재성 ; 박건영 = 592
  Ⅰ. 서론 = 592
  Ⅱ. 국제관계이론의 기능과 가치편향성 = 595
  Ⅲ. 한국적 국제관계이론의 규범적 측면 = 602
  Ⅳ. 한국적 국제관계이론의 설명적 측면 = 609
  Ⅴ. 결론 = 617
필자 소개 = 62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和田春樹 (2023)
Kissinger, Henry (2023)
국중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