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소비의 사회

소비의 사회 (12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audrillard, Jean, 1929-2007 임문영, 역주
서명 / 저자사항
소비의 사회 / 장 보드리야르 저 ; 임문영 역주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출판부,   1998  
형태사항
ix, 350 p. ; 23 cm
총서사항
계명교양총서 ;13
원표제
(La) société de consommation : ses mythes, ses structures
ISBN
8975851346
일반주제명
Consumption (Economic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885252
005 20150206115551
007 ta
008 030326s1998 tgk SEr000c kor
020 ▼a 8975851346 ▼g 03330
035 ▼a KRIC07157086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290079 ▼l 111290080
082 0 4 ▼a 339.47 ▼2 23
085 ▼a 339.47 ▼2 DDCK
090 ▼a 339.47 ▼b 1998
100 1 ▼a Baudrillard, Jean, ▼d 1929-2007 ▼0 AUTH(211009)77255
245 1 0 ▼a 소비의 사회 / ▼d 장 보드리야르 저 ; ▼e 임문영 역주
246 1 9 ▼a (La) société de consommation : ▼b ses mythes, ses structures
260 ▼a 대구 : ▼b 계명대학교출판부, ▼c 1998
300 ▼a ix, 350 p. ; ▼c 23 cm
440 0 0 ▼a 계명교양총서 ; ▼v 13
650 0 ▼a Consumption (Economics)
700 1 ▼a 임문영, ▼e 역주
900 1 0 ▼a 보드리야르, 장,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47 1998 등록번호 1112900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장 보드리야르(지은이)

프랑스의 대표적 사상가 중의 한 사람으로 1929년 7월 27일 프랑스 랭스에서 태어났다. 낭테르 대학과 도팽 대학의 사회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박사 논문 『사물의 체계』(1968)에서부터 『파타피직스』(2007)에 이르기까지 40여 년간 50여 권에 이르는 저서를 출판했으며, 그중 『시뮬라시옹』(1981)은 그의 독창적 이론을 완성해 낸 가장 중요한 저서로 손꼽힌다. 이미지와 미디어가 지배하는 세상에 대해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사유를 펼쳐 온 보드리야르는 2000년대에 한국을 두 차례 방문해 이미지와 기호, 시뮬라크르들이 지배하는 세상에 대해 진술하고 비판의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2007년 3월 6일 장티푸스로 세상을 떠났다. 지은 책으로 『소비의 사회』, 『기호의 정치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생산의 거울』, 『상징적 교환과 죽음』, 『푸코 잊기』, 『침묵하는 다수의 그늘 아래서』, 『유혹에 대하여』, 『숙명적 전략』, 『신성한 좌익』, 『차가운 기억들』, 『악의 투명성』, 『완전 범죄』, 『이타성의 형태들』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옮긴이의 말 = ⅲ
서문 = ⅴ
제1부 사물의 형식적 의례 = 11
 풍부함과 파노플리(panoplie) = 13
 드럭스토아(drugstore) = 15
 파를리 2 = 18
 Ⅰ. 소비의 기적적 현황 = 22
  카고(Cargo)의 신화 = 24
  카타스트로프(catastrophe)의 현혹(眩惑) = 26
 Ⅱ. 경제성장의 악순환 = 33
  집단적 지출과 재분배 = 33
  공해 = 38
  경제성장의 부기화 또는 GNP의 신화 = 42
  낭비 = 44
제2부 소비이론 = 57
 Ⅰ. 소비의 사회적 논리 = 57
  복지(福祉)의 평등주의적 이데올로기 = 57
  산업체계와 빈곤 = 67
  새로운 차별 = 71
  계급제도 = 74
  구원(救援)의 차원 = 75
  차이화와 성장사회 = 76
  구석기시대(Le pal olithique) 또는 최초의 풍요사회 = 87
 Ⅱ. 소비이론을 위하여 = 91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해부 = 91
  사물의 유동성 - 욕구의 유동성 = 103
  향수(享受)의 부인(否認) = 106
  구조적 분석? = 108
  오락체계 또는 향수의 강제 = 110
  새로운 생산력의 출현 및 통제로서의 소비 = 112
  개인의 연산기능(演算機能) = 116
  소비적 자아(自我) = 119
 Ⅲ. 개성화 또는 최소한계차이 = 122
  자기 자신이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To be or not to be myself) = 122
  차이(差異)의 산업적 생산 = 124
  메타소비(metaconsommation) = 128
  구별인가 또는 순응인가? = 132
  코드와 혁명 = 134
  구조적 모델 = 136
  남성모델과 여성모델 = 139
제3부 대중매체, 섹스 그리고 여가(餘暇) = 147
 Ⅰ. 대중매체문화 = 147
  새로운(Neo) 부활 또는 시대착오적인 부활 = 147
  문화의 르시클라주(recyclage) = 149
  띠를리뽀(Tirlipot)와 컴퓨터게임 또는 최소공통문화(P.P.C.C. = La Plus Petite Commune Culture) = 153
  최소공배수(最小公倍數. P.P.C.M. = Les Plus Petits Communs Multiples) = 158
  키취(kitsch) = 166
  가제트와 유희(遊戱) = 170
  팝(pop) : 소비의 예술? = 175
  메시지의 편성 = 188
  미디어는 메시지이다 = 189
  광고의 미디어 = 194
  의사(擬似)-이벤트와 네오(neo)-리얼리티 = 196
  진위(眞僞)를 넘어서 = 197
 Ⅱ. 육체 : 소비의 가장 아름다운 대상 = 202
  당신의 육체의 비밀열쇠 = 203
  기능적인 아름다움 = 207
  기능적 에로티시즘 = 209
  쾌감원칙과 생산력 = 212
  육체의 현대적 전략 = 213
  육체는 여성적인 것인가? = 216
  의료숭배 : 체형(體型) = 219
  날씬함에 대한 강박관념 : (몸매) = 222
  섹스교환기준 = 227
  광고 속의 상징과 환각 = 231
  성기가 달린 인형 = 237
 Ⅲ. 여가의 비극 또는 시간낭비의 불가능 = 241
 Ⅳ. 배려의 성사 = 256
  사회적 전이(轉移)와 모성적 전이 = 257
  미소에의 파토스(pathos) = 259
  『플레이타임』 또는 서비스의 패러디 = 261
  광고와 증여의 이데올로기 = 265
  진열창(쇼윈도) = 268
  치료사회 = 269
  배려의 애매함과 테러리즘 = 271
  사회측정학적 융통성 = 275
  자기확증(自己確證)과 동의(同意) = 277
  성실성의 신앙-기능적 관용 = 279
 Ⅴ. 풍요사회의 아노미 = 283
  폭력 = 283
  비폭력의 하위문화 = 294
  피로 = 297
결론 = 313
 현대인의 소외 또는 악마와의 계약의 종결에 관하여 = 313
  『프라하의 대학생』 = 313
  초월성의 종언(終焉) = 320
  망령(亡靈)에서 망령으로 = 323
  소비의 소비 = 324
 해설 = 331
  1. 장 보드리야르는 어떤 사람인가? = 331
  2. 장 보드리야르의 사상의 흐름 = 332
  3. 소비개념과 「소비사회」 = 338
  4. 시대적 배경과 의의 = 344
 장 보드리야르의 저서목록 = 34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