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의 기본문제 = 13
제1절 교육의 개념 = 13
1. 교육과 교육학 = 13
2. 교육의 어원 = 16
3. 교육의 정의 = 17
4. 교육의 필요성 = 21
5.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24
제2절 교육의 성립 요소 = 28
1. 교사 = 28
2. 학습자 = 30
3. 매체, 교재, 교육내용 = 31
제3절 교육의 형태 = 34
1.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 = 34
2.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 = 36
제2장 교육의 목적 = 43
제1절 교육목적의 기초 = 43
1. 교육목적의 의의 = 43
2. 교육목적의 일반적 기준 = 44
3. 교육목적의 설정 요건 = 46
4. 교육목적의 변천 = 47
제2절 여러 가지 교육목적 = 48
1. 민주주의의 교육목적 = 48
2. 교육법에 나타난 교육이념과 교육목적 = 53
3. 각급 학교의 교육목적 = 54
4. 교육기본법(발췌) = 55
제3장 교육의 역사 = 65
제1절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 = 65
1. 원시시대 교육 = 65
2. 고조선시대 교육 = 66
3. 삼국시대 교육 = 67
4. 고려시대 교육 = 70
5. 조선시대 교육 = 74
6. 근대의 교육 = 81
제2절 서양교육의 역사 = 83
1. 고대의 교육 = 83
2. 중세의 교육 = 90
3. 근대의 교육 = 94
4. 현대의 교육 = 103
5. 현대 교육사조 = 106
제4장 교육철학의 이해 = 113
제1절 철학과 교육철학의 탐구 = 113
1. 철학과 교육철학의 의미 = 113
2. 철학의 기본 영역 = 116
3. 교육철학의 기능 = 118
제2절 전통철학과 교육 = 120
1. 관념론과 교육 = 120
2. 실재론과 교육 = 122
3. 실용주의와 교육 = 123
제3절 현대 교육철학 = 125
1. 진보주의와 교육 = 125
2. 본질주의와 교육 = 127
3. 항존주의와 교육 = 129
4. 재건주의와 교육 = 131
제4절 새로운 교육이론 = 133
1. 실존주의와 교육 = 133
2. 분석철학과 교육 = 134
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 135
4. 신자유주의와 교육 = 138
제5장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 143
제1절 인간발달과 교육 = 143
1. 인간 이해의 심리학적 관점 = 143
2. 인간 발달의 의미와 원리 = 147
3. 발달단계와 발달과업 = 149
4. 발달의 결정적 시기와 민감기 = 153
제2절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과 교육 = 155
1. 지능과 IQ = 155
2. 창의성 = 161
3. 인지양식과 학습양식 = 164
4.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168
제3절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교육 = 171
1. 감성지능과 EQ = 171
2. 동기와 성취동기 = 173
3. 자아개념 = 175
4.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 = 176
제6장 사회와 교육의 이해 = 181
제1절 사회와 교육 = 181
1. 사회의 특성 = 181
2. 사회의 기능 = 183
3. 교육의 사회적 기능 = 184
제2절 사회화와 교육 = 188
1. 사회화의 의미 = 188
2. 사회화의 역할 = 189
3. 사회화와 교육 = 191
제3절 사회계층과 교육 = 192
1. 사회계층의 의미 = 193
2. 사회계층의 구분 = 194
3. 사회계층 이동과 교육 = 195
4. 학교교육과 사회계층 = 200
제4절 미래사회의 교육 = 201
1. 미래의 의미 = 201
2. 미래사회의 인간문제 = 203
3. 미래사회의 인간상 = 206
제7장 학습과 교수 = 209
제1절 학습의 개념 = 209
1. 학습의 의미 = 209
2. 학교학습의 특성 = 210
제2절 학습의 조건 = 213
1. 준비성 = 213
2. 동기유발 = 214
제3절 학습이론 = 217
1. 조건형성이론 = 217
2. 인지론 = 222
3. 관찰이론 = 225
4. 정보처리 이론 = 226
제4절 교수의 개념 = 228
1. 교수의 의미 = 228
2. 교수와 학습의 관계 = 230
제5절 교수이론 = 232
1. 글레이저의 교수절차모형 = 232
2. 브루너의 교수이론 = 235
3.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 = 238
4.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이론 = 241
제8장 교육과정 = 245
제1절 교육과정의 개념 = 245
1. 교육과정의 어원 = 245
2. 교육과정의 정의 = 246
제2절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 248
1. 교육목표의 설정 = 248
2. 교육내용의 선정 = 250
3. 교육내용의 조직 = 252
제3절 교육과정의 유형 = 255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257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260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262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265
제9장 교육평가 = 269
제1절 교육평가의 개념과 절차 = 269
1. 교육평가의 개념 = 269
2. 교육평가의 영역과 기능 = 270
3. 평가의 절차 = 271
제2절 교육평가의 분류 = 272
1. 평가시기에 따른 분류 = 272
2.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 = 275
제3절 평가도구의 조건 = 278
1. 측정오차 = 278
2. 교육측정의 난점 = 279
3. 측정도구의 조건 = 280
제4절 평가 문항의 제작과 활용 = 283
1. 문항제작을 위한 설계 = 283
2. 문항제작의 실제 = 285
3. 문항 분석 = 293
4. 채점의 기술 = 298
5. 측정점수의 표시 방법 = 300
제10장 생활지도와 상담 = 305
제1절 생활지도 = 305
1. 생활지도의 의미와 개념 = 305
2. 생활지도의 목표와 영역 = 308
3. 생활지도의 활동 = 311
4. 생활지도 활동의 계획 및 운영 = 320
제2절 상담 = 322
1. 상담의 개념 = 322
2. 상담의 기술 = 324
3. 상담이론 = 327
4. 집단상담 = 337
제11장 교육행정과 교육제도 = 343
제1절 교육행정 = 343
1. 교육행정의 개념 = 343
2. 교육행정의 특성 = 345
3. 교육행정의 원리 = 348
4. 교육행정의 조직 = 352
제2절 교육제도 = 354
1. 교육제도와 학교제도 = 355
2. 교육제도의 원리 = 357
3. 교육제도의 유형 = 359
4. 한국의 교육제도 = 361
5. 주요국가의 교육제도 = 364
제12장 교직과 교사 = 373
제1절 직업과 교직 = 373
1. 직업의 기준과 교직 = 373
2. 교직의 특징 = 374
3. 교직의 전문성 = 375
4. 교직에 대한 세 가지 관점 = 376
제2절 교사의 역할과 자질 = 379
1. 교사의 역할 = 379
2. 교사의 자질 = 384
3. 이상적 교사의 특성 = 386
제3절 교사의 윤리 = 389
사도헌장 = 390
사도강령 = 390
제13장 평생교육의 이해 = 395
제1절 평생교육의 의미 = 395
제2절 평생교육의 특성 = 400
제3절 평생교육 유사 용어 = 402
1. 사회교육 = 403
2. 계속교육 = 403
3. 성인교육 = 404
4. 비형식교육 = 405
5. 생애교육 = 405
6. 순환교육 = 406
제4절 평생교육의 필요성 = 407
1. 사회적 차원에서 평생교육 = 407
2. 개인적 측면에서 평생교육 = 408
3. 교육 제도적 측면에서 평생교육 = 409
제5절 평생교육의 내용 = 411
제6절 평생교육체제 = 415
1. 바람직한 미래 평생교육의 모습 = 418
2. 지역사회 중심의 평생교육 = 418
3. 교육수요자 중심의 열린 평생교육 = 419
제7절 평생교육의 과제 = 420
참고문헌 =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