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담화와 비유어

담화와 비유어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희자
서명 / 저자사항
담화와 비유어 = Discourse & figurative languages/ 정희자 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04.  
형태사항
518 p. : 삽도 ; 24 cm.
ISBN
8957261230
일반주기
색인: p. 503-507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83-501
000 00623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85104
005 20100806103045
007 ta
008 040621s2004 ulka 001a kor
020 ▼a 8957261230 ▼g 93700: ▼c \25000
035 ▼a KRIC09291800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82 0 4 ▼a 401.41 ▼2 21
090 ▼a 401.41 ▼b 2004
100 1 ▼a 정희자 ▼0 AUTH(211009)107802
245 1 0 ▼a 담화와 비유어 = ▼x Discourse & figurative languages/ ▼d 정희자 저.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4.
300 ▼a 518 p. : ▼b 삽도 ; ▼c 24 cm.
500 ▼z 색인: p. 503-507
504 ▼a 참고문헌: p. 483-501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112882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112882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113863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410537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211341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512195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112882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112882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113863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410537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211341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01.41 2004 등록번호 1512195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희자(지은이)

<담화와 문법>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부 개념과 언어
 제1장 경험과 개념 = 13
  1.1 개념의 통합 = 15
  1.2 개념의 확장 = 19
  1.3 힘 역학 관계 = 23
  1.4 이상화된 인지모형 = 31
  1.5 윤곽과 활성역 = 35
  1.6 영상 도식 = 41
   1.6.1 그릇 도식 = 42
   1.6.2 부분-전체 도식 = 47
   1.6.3 중심-주변 도식 = 48
   1.6.4 연결 도식 = 49
   1.6.5 경로 도식 = 50
   1.6.6 균형 도식 = 52
   1.6.7 방향 도식 = 54
  1.7 요약 = 57
 제2장 비유어와 관용어 = 59
  2.1 의미와 맥락 = 59
  2.2 비유어 = 61
   2.2.1 직유 = 61
   2.2.2 제유 = 64
   2.2.3 반어 = 68
   2.2.4 은유 = 80
   2.2.5 환유 = 84
  2.3 관용어 = 89
   2.3.1 관용어와 분석 가능성 = 92
   2.3.2 관용어와 개념화 = 96
   2.3.3 관용어와 맥락 = 98
   2.3.4 관용어와 은유 = 98
   2.3.5 관용어와 환유 = 104
   2.3.6 관용어의 이해 = 105
  2.4 요약 = 106
제2부 은유
 제3장 연구의 흐름 = 111
  3.1 철학적 견해 = 111
  3.2 언어학적 견해 = 126
  3.3 인지언어학적 견해 = 139
  3.4 요약 = 140
 제4장 은유의 이론 = 142
  4.1 개념적 은유 이론 = 142
   4.1.1 두 개념 영역 = 143
   4.1.2 은유적 사상 = 154
  4.2 개념적 혼성 이론 = 158
   4.2.1 네 가지 정신 공간 = 159
   4.2.2 개념적 혼성 과정 = 160
   4.2.3 은유와 개념적 혼성 = 166
  4.3 요약 = 182
 제5장 은유의 개념과 특성 = 183
  5.1 은유의 개념 = 183
  5.2 은유의 구조 = 185
  5.3 은유의 분류 = 186
   5.3.1 관습성에 따른 분류 = 186
   5.3.2 인지 기능에 따른 분류 = 188
   5.3.3 본질에 따른 분류 = 197
   5.3.4 보편성에 따른 분류 = 203
  5.4 은유의 특성 = 209
   5.4.1 관습성 = 209
   5.4.2 체계성 = 211
   5.4.3 계층성 = 215
   5.4.4 창조성 = 218
   5.4.5 비대칭성 = 219
   5.4.6 문화 관련성 = 220
  5.5 요약 = 225
제3부 환유
 제6장 환유의 개념과 특성 = 229
  6.1 환유의 개념 = 229
  6.2 환유의 모형 = 231
   6.2.1 전체-부분 관계 = 232
   6.2.2 부분-부분 관계 = 238
  6.3 환유의 본질 = 245
   6.3.1 개념적 현상 = 245
   6.3.2 인지 과정의 산물 = 246
   6.3.3 개념적 토대 = 247
  6.4 환유의 작용 원리 = 249
   6.4.1 인지적 원리 = 249
   6.4.2 의사소통 원리 = 258
  6.5 환유의 특성 = 260
   6.5.1 인접성 = 260
   6.5.2 관습성 = 262
   6.5.3 초점성 = 263
   6.5.4 창조성 = 265
   6.5.5 계층성 = 266
   6.5.6 맥락 관련성 = 268
   6.5.7 문화 관련성 = 271
  6.6 환유의 분류 = 274
   6.6.1 사용 양상에 따른 분류 = 275
   6.6.2 기능에 따른 분류 = 277
  6.7 환유와 개념적 혼성
  6.8 환유와 사고 = 298
  6.9 요약 = 301
 제7장 환유와 은유 = 304
  7.1 환유와 은유의 유사성 = 304
   7.1.1 개념적 현상 = 305
   7.1.2 개념적 사상 = 306
   7.1.3 새로운 개념의 창조 = 307
   7.1.4 관습적 사용 = 309
   7.1.5 문화 관련성 = 311
   7.1.6 의사소통의 수단 = 313
  7.2 환유와 은유의 이질성 = 316
   7.2.1 연결 양상 = 316
   7.2.2 연결 범위 = 318
   7.2.3 개념적 관계 = 320
   7.2.4 예측 가능성 = 321
   7.2.5 제유와의 관계 = 322
   7.2.6 연계 어법과의 관계 = 322
  7.3 환유와 은유의 상호 작용 = 324
   7.3.1 은유/환유로 해석되는 경우 = 325
   7.3.2 환유로부터 생겨난 은유 = 326
   7.3.3 은유 속에 포함된 환유 = 331
   7.3.4 은유 속에 포함된 은유 = 332
   7.3.5 환유 속에 포함된 은유 = 334
   7.3.6 환유 속에 포함된 환유 = 334
  7.4 요약 = 335
제4부 사례연구
 제8장 신체 기관 = 339
  8.1 Head = 340
  8.2 Face = 348
  8.3 Eye = 352
  8.4 Mouth = 359
  8.5 Heart = 363
  8.6 Hand = 368
  8.7 Foot = 378
  8.8 요약 = 383
 제9장 감정 = 386
  9.1 Love = 391
  9.2 Anger = 404
  9.3 Pride = 412
  9.4 Depression = 418
  9.5 Happiness = 424
  9.6 Fear = 433
  9.7 Shame = 441
  9.8 요약 = 447
 제10장 친족 = 448
  10.1 친족 = 448
  10.2 친족 구성원 = 454
   10.2.1 은유적 개념 = 454
   10.2.2 은유의 추론 방식 = 458
   10.2.3 은유적 표현 = 465
  10.3 요약 = 480
참고문헌 = 483
찾아보기 = 503
은유·환유 개념 = 50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