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세계화와 지구촌관리
제1장 세계화시대의 지구촌관리 = 15
1. 지구적 경향과 지구촌관리 = 15
2. 세계화의 특징과 지구촌관리 = 34
제2장 세계사회 = 37
1. 세계사회의 경향 = 37
2. 빈곤과 부유 = 40
3. 세계인구와 도시화 = 42
4. 여성문제와 여성정책 = 44
제3장 세계문화 = 46
1. 세계문화의 경향 = 46
2. 인권과 사회개발 = 48
3. 미디어와 지식사회 = 51
4. 문화갈등과 간문화적 대화 = 55
제4장 세계경제 = 60
1. 세계경제의 경향 = 60
2. 생산과 무역 = 61
3. 금융과 채무 문제 = 67
4. 기술과 개발 = 69
제5장 세계생태 = 74
1. 세계생태의 경향 = 74
2. 환경매체와 환경훼손 = 81
3. 환경갈등과 환경안보 = 82
제6장 세계정치와 세계평화 = 84
1. 세계정치의 경향 = 84
2. 개발정책과 세계화 = 90
3. 군비(軍備)와 안보 = 92
4. 갈등과 위기예방 = 95
제2부 세계화시대와 세계시민의식
제1장 세계시민 개념의 역사 = 103
1. 세계시민의 관점과 그 변화 = 103
2. 동양사상과 세계시민 = 107
제2장 세계시민 개념의 현대적 의미 = 111
1. 세계화와 지구촌관리, 그리고 세계시민의식 = 111
2. 세계시민사회의 등장과 기능 = 124
3. 세계시민으로서의 지구적 행위를 위한 전제조건 = 129
4. 시민개념에 대한 사회적 변화요구 = 132
5. 시민교육의 목표와 내용 준거로서의 세계시민 = 134
6. 사회변동의 관점에서 본 세계시민 = 138
제3장 민족의식과 세계시민의식 = 141
1. 민주와 민족의 관계 = 141
2. 민족문화와 민족정체성 = 145
3. 민족정체성과 헌법애국주의 = 158
4. 민족의식과 간문화성 = 169
5. 지구촌문제와 지구촌윤리 = 176
6. 문명충돌과 지구촌윤리 = 188
7. 세계시민의식의 구성요소 = 200
제3부 지구촌학습
제1장 지구촌학습의 개념과 의미 = 227
1. 지구촌학습의 기본틀 = 227
2. 지구촌학습의 이념·목표·교수법 = 228
3. 지구촌학습의 문제점 = 232
4. 지구촌학습과 사회과 교육과정 = 235
제2장 지구촌학습의 주제영역 = 240
1. 세계화 = 242
2. 세계위험사회 = 247
3. 세계시민사회 = 249
4. 지속가능한 개발 = 251
5. 네트워크 세계 = 255
제3장 간문화학습 = 261
1. 간문화학습의 사회적·시대적 배경 = 261
2. 간문화학습의 개념과 함의 = 263
3. 문화적 교차상황과 간문화적 의사소통 = 265
4. 간문화학습 목표로서의 간문화능력 = 271
5. 간문화 학습과정 = 274
6. 간문화 학습지침 = 276
참고문헌 = 279
찾아보기 = 291